IonQ
검색 결과
기업
user
JJ
·
3주 전
2
0
테마 움직임을 쫓다 - 미국 시장이 움직이면 한국 시장도 뜬다(9/24)
최근 미국 시장이 주목하는 테마최근 1주일 간 미국 시장에서 주목 받고 있는 투자 테마를 제시한다. 국내 시장에서도 관련 테마 기업은 상관성을 갖고 움직인다. 일부 테마는 거의 동시에 반응이 나타나기도 한다. 그러나 미국 시장에서 이미 관심을 받고 있으나 국내 시장에서는 아직 반응이 나타나지 않고 있는 관련 기업들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Weekly US Theme Radar(9/24) - 금리 인하이후 AI관련 인프라/소프트웨어, 성장 테마 모멘텀이 더 강해짐 - 양자 컴퓨터, 수소 에너저, 원자력은 지난주에 이어 테마 강도 상위에 위치 - 희토류, 유전자치료, 자율주행, 드론/로봇 등 미래 성장 테마도 상위권 - 관심에서 멀어져 있던 스테이블 코인 테마 상승 강도가 높아지는 중 테마1. 수소 에너지    미국 종목: 블룸에너지, 발라드, 플러그파워    한국 종목: 두산퓨얼셀, 에스퓨얼셀, 범한퓨얼셀    트레이딩 아이디어: 전력 수요 상승으로 연료전지도 관심 증가 → 국내시장은 잠시 주춤, 다시 주목 예상 테마2. 원자력      미국 종목: 뉴스케일, 오클로, 센트러스에너지    한국 종목: 두산에너빌리티, 비에이치아이    트레이딩 아이디어: 전력 수요 급증으로 원자력 테마 성장 지속 → 국내 정책으로 부진, 다시 미국 시장 동조 예상 테마3. 양자 컴퓨팅    미국 종목: 아이온큐, 리게팅 컴퓨팅, 디웨이브 퀀텀    한국 종목: 드림시큐리티, 아이퀘스트, 우리넷, 엑스게이트   트레이딩 아이디어: 아이온큐의 옥스포드 아이언스 인수 발표 후 양자 컴퓨터 관심 증가 → 국내 관련 테마 주목
article
매수
매수
356680
엑스게이트
+3
user
JJ
·
1개월 전
0
0
테마 움직임을 쫓다 - 미국 시장이 움직이면 한국 시장도 뜬다(9/17)
최근 미국 시장이 주목하는 테마최근 1주일 간 미국 시장에서 주목 받고 있는 투자 테마를 제시한다. 국내 시장에서도 관련 테마 기업은 상관성을 갖고 움직인다. 일부 테마는 거의 동시에 반응이 나타나기도 한다. 그러나 미국 시장에서 이미 관심을 받고 있으나 국내 시장에서는 아직 반응이 나타나지 않고 있는 관련 기업들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Weekly US Theme Radar(9/17)- AI와 관련된 직접적, 간접적 테마 중심으로 상승- 주춤했던 양자 컴퓨팅이 아이온큐의 영국 양자 컴퓨터 기업 인수 이후 재부각- 수소 에너지/원자력/반도체 등 AI 인프라 테마 상승- 드론 및 로봇, 휴머노이드 로봇 등 미래 성장 산업 테마 꾸준히 상승 중테마1. 수소에너지  미국 종목: 블룸에너지, 발라드, 플러그파워  한국 종목: 두산퓨얼셀, 에스퓨얼셀, 범한퓨얼셀  트레이딩 아이디어: 전력 수요 상승으로 연료전지도 관심 증가 → 국내 시장도 동조화 진행 중테마2. 양자 컴퓨팅  미국 종목: 아이온큐, 리게팅컴퓨팅, 디웨이브  한국 종목: 드림시큐리티, 아이퀘스트, 우리넷  트레이딩 아이디어: 아이온큐의 옥스포드 아이언스 인수 발표 후 양자 컴퓨터 관심 증가 → 국내 관련 테마 주목테마3. 원자력  미국 종목: 뉴스케일, 오클로, 센트러스에너지  한국 종목: 두산에너빌리티, 비에이치아이  트레이딩 아이디어: 전력 수요 급증으로 원자력 테마 성장 지속 → 국내 정책 이슈로 부진하나 글로벌 흐름 동조 예상
article
매수
매수
NWSA
News Class A
+5
user
박재훈투영인
·
2개월 전
0
0
AI가 바꿔놓은 수익성 높은 검색 비즈니스 - 승자를 고르고 패자를 피하는 방법
인공지능으로 인한 웹 트래픽 급감과 이것이 많은 기업에 미칠 영향에 대한 우려는 과장되었을 수 있다. 웹 탐색에서 AI 도구의 확산으로 Google과 검색 결과를 통해 소비자에게 도달하는 기업들의 비즈니스가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Pew Research Center의 연구에 따르면 검색 시 AI 요약을 접한 사용자는 그렇지 않은 사용자보다 기존 검색 결과를 클릭할 가능성이 절반 정도에 불과했다. Bain의 또 다른 조사에서는 소비자의 80%가 검색의 최소 40%에서 이러한 "제로 클릭" 결과에 의존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유기적 웹 트래픽이 약 15%-25% 감소했다고 밝혔다.​하지만 투자자들은 이러한 변화로 인해 이들 기업이 받을 타격을 과대평가하고 있을 수 있다. Wedbush Securities의 애널리스트 Dan Ives는 CNBC에 "검색기업이 죽었다는 표현은 크게 과장되었다"고 말했다. ​그는 Google 모회사 Alphabet의 최근 분기 실적이 검색이 여전히 강세를 보이고 있다는 신호라고 지적했다. 7월 23일 발표된 회사의 2분기 실적과 매출은 애널리스트 예상을 상회했다. 검색 엔진 사업은 542억 달러의 매출을 올렸고, 광고 수익은 10% 증가해 713억 달러를 기록했다.​"Alphabet은 지난 분기와 마찬가지로 계속해서 약세론자들의 예상을 깨고 있으며, 우리의 모든 설문 데이터는 검색이 쿼리 관점에서 꽤 견고함을 보여준다"고 Ives는 말했다. "AI가 분명히 Google에게 단기적으로 잠재적 역풍이지만, 우리는 실제로 그들이 이를 기회로 바꿀 것이라고 믿는다."​Ives는 Google과 Meta Platforms 같은 경쟁사들이 AI 검색을 수익화하는 방법을 배울 것이라고 믿는다. ​Bank of America의 애널리스트 Justin Post는 화요일 노트에서 "Gemini를 포함한 여러 사이트에서 AI 채택이 빠르게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Google의 주요 KPI(트래픽, 검색 점유율, 모바일 DAU)는 7월에 상대적으로 안정적이었다. ​데이터는 AI 기반 사용이 기존 검색 활동을 크게 변경하기보다는 보완하면서 점진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썼다. "우리는 시장이 Google 검색과 YouTube 수익화에 대한 AI 기반 상승 잠재력을 과소평가하고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잠재적 패자들모든 기업이 AI 검색의 부상으로부터 무사할 수는 없을 것이다. 이것이 기업의 수익에 정확히 어떤 영향을 미칠지 정확히 파악하기는 어렵지만, Barclays는 여기서부터 영향이 더 명확하게 나타나기 시작할 것으로 예상했다.​모든 기업이 AI 검색의 부상을 무사히 넘길 수는 없다. 이것이 기업 수익에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칠지 정확히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Barclays는 이제부터 그 영향이 더욱 뚜렷하게 드러나기 시작할 것으로 내다봤다.​Barclays는 7월 고객 노트에서 "검색 추천 트래픽이 점차 줄어들면서 기업들은 난감한 선택을 해야 한다. 첫째, 매출이 정체되거나 감소하는 것을 감수하면서 이익률을 지키거나, 둘째, 검색 트래픽 감소분을 메우기 위해 유료 마케팅 채널에 더 많은 비용을 쏟아붓는 것이다. ​후자를 선택하면 마진은 줄어들지만 성장세는 유지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문제는 이 두 시나리오 모두 현재 시장의 중기 전망치에는 제대로 반영되어 있지 않다는 점이다"라고 지적했다.​Dakota Wealth Management의 Robert Pavlik은 AI 검색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주식으로 eBay, NerdWallet, Wayfair, Booking Holdings, Airbnb, Chegg를 꼽았다. ​Wedbush의 Ives는 Expedia Group 같은 사이트가 Booking Holdings에 비해 불균형적으로 더 많은 역풍을 받는다고 믿었다. 그 이유는 Expedia의 수요 트렌드가 약화되었고, 사이트가 광고 트렌드에 훨씬 더 많이 노출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그는 말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Pavlik과 Ives 모두 AI가 검색에 미치는 영향이 시장이 예상하는 것만큼 부정적이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Pavlik은 AI가 검색 결과를 요약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사용자들은 제품을 검색할 경우 결국 사이트를 클릭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일반적인 검색들이 아마도 앞으로 이러한 기업들을 화나게 할 것이다"라고 그는 덧붙였다. "하지만 AI조차도 어딘가로 당신을 안내해야 할 것이다. ChatGPT는 거실용 의자를 판매하지 않으므로, 아마도 어떤 방식으로든 사이트로 안내해야 할 것이다."​Ives는 검색의 변화 속에서 Pinterest를 낙관적으로 보는 주식으로 꼽기도 했다. "현대화와 참여에 대한 새로운 이니셔티브 때문에 - 시장이 그것이 어떤 모습일지 과소평가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그는 말했다.<출처:CNBC>[Compliance Note]• 셀스마트의 모든 게시글은 참고자료입니다. 최종 투자 결정은 신중한 판단과 개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함을 알려드립니다.• 게시글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수익과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코어16은 본 글에서 소개하는 종목들에 대해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 매수 또는 매도할 수 있습니다.
article
매도
매도
BKNG
Booking Holdings
+6
user
셀스마트 앤지
·
3개월 전
1
0
태피스트리, MZ가 픽한 힙백 브랜드 (모르면 MZ 아님!)
3 key takeaways!1. 합리적 가격의 럭셔리? 표현하는 럭셔리!태피스트리 매출의 75%이상이 코치 브랜드이며 주력은 핸드백. 루이비통, 샤넬, 구찌 등은 급속한 가격인상 후 매출감소, 인플레이션 피로감은 가치소비, 가성비 명품의 매력도 높임 2. 디지털 기반 브랜딩 성공기존 하이엔드 럭셔리 기업들은 온라인 채널에 대해 소극적일 수 밖에 없으나 코치는 다름. 틱톡과 인스타그램을 통한 UGC 마케팅과 구매·검색·클릭 데이터를 하나로 묶어 정밀 추적한 뒤, 개인별 맞춤 추천·타임딜·멤버십 리워드를 자동 제공하는 고도화된 CRM 시스템으로 연결 등 디지털에 진심임. 힙합 아티스트들을 앰버서더로 활용하는 점도 쿨한 디지털 브랜딩의 성공 요소. 3. 아직 안 비싸다LVMH, Kering(구찌 등)은 주가가 올들어 하락했어도 PER이 각각 19.45배, 21.93배이나 태피스트리(코치)는 올들어 주가가 상승했음에도 PER은 22.8배임태피스트리(티커: TPR)는 뉴욕 헤리티지라는 정체성의 COACH(코치) 브랜드를 전개하는 기업이다. COACH는 1941년 뉴욕 맨해튼에서 작은 가족 가죽공방으로 시작해 이어져 온 브랜드이기에 실용적 럭셔리라는 뉴욕 감성을 대표해왔다. 우리가 모르는 사이 이 기업은 콧대 높은 유럽의 하이엔드 럭셔리 하우스, 루이비통(LVMH, 티커:MC)과 구찌(Kering 그룹, 티커:KER)를 압도하는 주가추이를 보여왔다. 이유는 "엄마 가방"에서 "마이 퍼스트 럭셔리 백"으로 성공적인 리브랜딩 한 덕이다. 2025년 연초 이후 태피스트리의 상승률은 32%에 달하는 반면 LVMH는 -23%이다. 주가를 가른건 25년 상반기 실적이었다. 태피스트리의 올해 회계연도 3분기(2025년 1월~3월) 매출액은 전년동기비 6.9%성장했고 EPS는 58% 성장했다. 브랜드 별로는 코치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15% 늘어난 13억달러(약 1조7650원)를 기록했고 유럽지역 매출 성장률이 35%에 달한다. 그룹 내 케이트 스페이드 매출(2억4500만달러)이 13% 빠지고, 스튜어트 와이츠먼(4600만달러)이 18% 줄어든 데 따른 매출 감소분을 코치가 대부분 상쇄했다.태피스트리의 지역별 매출 비중을 보면 북미 60%, 중국 포함 아시아 30~35%(중국 15~20%), 유럽 5~10%이다. LVMH의 중국 비중은 광의로 보면 30~40% 달한다고 볼 때 다른 럭셔리 기업대비 중국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재미있는 부분은 COACH의 유럽에서의 포지션인데 미국 태생 브랜드로서 상대적으로 노출도가 낮았던 점이 유리하게 작용하기도 했다. Tabby, Brooklyn (핸드백 라인업 이름)등 SNS 기반 바이럴 히트 아이템을 연이어 출시하며 유럽에서 강력한 반향을 일으키고 있고, 특히 가격대(€300–600) 대비 높은 트렌드성과 실용성으로 Lyst Top 5 브랜드(영국 런던 기반 글로벌 MZ 소비 트렌드 데이터 기반 랭킹, 검색/관심/판매 강함 의미)에 오르고, 프라다보다 선호도도 높다.디지털 전략에 있어서 COACH는 TikTok과 Instagram을 중심으로 Z세대·밀레니얼을 겨냥한 바이럴 엔진을 돌린다. 특히 Tabby Bag 같은 ‘It Bag’을 내세워 숏폼 챌린지, 실사용 리뷰로 자연스러운 자발 공유를 유도하고, SNS 노출량을 매년 두 자릿수로 끌어올렸다. 오프라인 매장과 글로벌 파트너몰, 공식 온라인몰에서 쌓인 구매·검색·클릭 데이터를 하나로 묶어 정밀 추적한 뒤, 개인별 맞춤 추천·타임딜·멤버십 리워드를 자동 제공하는 고도화된 CRM 시스템으로 연결한다. 이런 디지털-데이터 연동 덕분에 COACH의 온라인 매출 비중은 최근 3년 만에 12%대에서 20% 이상으로 뛰었고, 디지털 고객 재구매율은 50%를 웃돈다.결론적으로 COACH는 가격 프리미엄과 희소성에 의존하는 기존 명품 브랜드들과 달리 더 실용적이고 정서적으로 다가가는 방식으로 Z세대를 사로잡았다. 앞으로도 “경쟁사 대비 가성비 강점과 데이터 활용력”이라는 차별적 경쟁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럭셔리 시장에서 입지를 넓혀 나갈 전망이다. [Compliance Note]셀스마트의 모든 게시글은 참고자료입니다. 최종 투자 결정은 신중한 판단과 개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함을 알려드립니다.게시글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수익과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코어16은 본 글에서 소개하는 종목들에 대해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 매수 또는 매도할 수 있습니다.
article
중립
중립
TPR
Tapestry
user
셀스마트 SIK
·
3개월 전
4
0
실적이 부진한 콘스텔레이션 브랜즈를 버크셔 헤서웨이가 줍는 이유
콘스텔레이션 브랜즈(STZ)는 시장 기대를 밑도는 실적을 발표하며 주가가 시간 외 거래에서 하락했다. 1분기 유기적 순매출은 25억2천만 달러, 주당순이익(EPS)은 3.22달러로 집계돼 팩트셋이 제시한 예상치(매출 25억5천만 달러, EPS 3.31달러)를 모두 소폭 하회했다. 맥주 부문 매출은 출하량 감소로 전년 동기 대비 2% 줄었지만, 점유율 측면에서는 미국 내 상위 브랜드 다수를 보유하며 방어력을 입증했다.와인 및 증류주 부문은 구조조정과 수요 둔화의 영향으로 28% 급감했다. 해당 부문은 저가 브랜드 매각과 시장 약세로 올해 가이던스를 하향 조정한 상태다. 이에 따라 실적 발표 직후 주가는 0.7% 하락했으며, 올해 들어 누적 하락률은 26%를 상회하고 있다. 2024년 3월 고점 대비 낙폭은 약 40%에 달한다.히스토그램은 어떤 이벤트가 발생한 뒤, 과거에 그 종목의 수익률이 얼마나 오르거나 내렸는지를 한눈에 보여주는 그래프다만, 과거 데이터를 보면 실적이 시장 예상을 하회했을 때 평균적인 주가 반응은 비교적 제한적이었다. 2주 후 평균 수익률은 0.13%, 1개월 후 평균 수익률은 1.30%를 기록했다. 이는 하회 폭이 크지 않고 브랜드 파워, 배당 매력, 고정 고객층 등 방어적 요소가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버크셔 해서웨이는 올해 1분기 STZ 지분을 1,200만 주로 늘리며 현재 6.7%를 보유한 3대 주주로 올라섰다.<Constellation brands 실적 하회 이벤트, 2주 뒤 수익률 분포>평균 수익률 +0.13%상위 수익률 +2.82%하위수익률 -2.68%<Constellation brands 실적 하회 이벤트, 1개월 뒤 수익률 분포>평균 수익률 +1.30%상위 수익률 +9.09%하위수익률 -4.15%[Compliance Note]셀스마트의 모든 게시글은 참고자료입니다. 최종 투자 결정은 신중한 판단과 개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함을 알려드립니다.게시글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수익과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코어16은 본 글에서 소개하는 종목들에 대해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 매수 또는 매도할 수 있습니다.
article
중립
중립
STZ
Constellation Brands Class A
user
박재훈투영인
·
4개월 전
0
0
Jim Cramer가 젊은 투자자들에게 인기 있는 주식들에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 ( 26. 06.10)
핵심 요점CNBC의 Jim Cramer는 화요일 젊은 투자자들에게 인기가 있지만 보통 Wall Street 애널리스트들로부터 주목받지 못하는 주식들을 검토했다고 말했다."관련성이 이곳의 회색 수염들에 의해 무관하거나 심지어 왕따 취급받는 회사들을 다뤄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그는 말했다.그는 암호화폐, 양자 컴퓨팅, 원자력 등 몇 가지 핵심 섹터의 주식들을 언급했다.CNBC의 Jim Cramer는 화요일 젊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사로잡았지만 Wall Street 애널리스트들에 의해 항상 주목받지는 못하는 주식들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관련성이 이곳의 회색 수염들에 의해 무관하거나 심지어 왕따 취급받는 회사들을 다뤄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그는 말했다. "아무도 신경 쓰지 않는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 Wall Street에 있는 우리를 제외하고는 모든 사람이 신경 쓴다고 우려한다. 우리는 원자력, 양자, 암호화폐에 대해 더 잘해야 한다. 우리의 젊은 시청자들이 더 나은 대우를 받을 자격이 있기 때문이다."Cramer는 젊은 투자자들이 암호화폐와 관련된 모든 주식을 선호한다고 제안했지만, MicroStrategy, Coinbase, Circle Internet과 같이 크게 과대광고된 이름들만이 아니라고 했다. 대신 이러한 투자자들은 Hut 8, Riot Platforms, CleanSpark, Cipher Mining, Galaxy Digital과 같이 그다지 많은 보도를 받지 못하는 주식들을 보고 있다고 그는 말했다. Cramer는 이러한 회사들 중 많은 곳이 상당한 거래 활동을 보임에도 불구하고 왜 이 집단이 더 많은 인정을 받지 못하는지 궁금하다고 말했다.원자력 주식들도 젊은 세대로부터 비슷한 흥분을 받고 있다고 그는 말했는데, Vistra, Constellation Energy, GE Vernova와 같은 유명한 회사들 외에도 그렇다고 했다. 그는 Oklo, Cameco, BWX Technologies, Centrus Energy, Talen Energy, NexGen을 언급하면서, 새로운 에너지를 대량 소비하는 데이터 센터들이 원자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투자자들이 격려받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수년간 원자로가 없을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인기 있는 주식들을 "투자 가능한" 것으로 보지 않는다고 말했다.양자 컴퓨팅 업체들은 신규 투자자들 사이에서 극도로 인기가 있다고 Cramer는 말했지만, 전체적으로 그 그룹이 논란의 여지가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IONQ, D-Wave Quantum, Rigetti Computing, Quantum Computing을 지목했다. 이러한 회사들을 이해하는 데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지만, 개발된 양자 컴퓨팅이 수년 후의 일이라 할지라도 노력을 기울일 가치가 있다고 했다. Cramer에 따르면 이러한 주식들 중 적어도 몇 개에는 기회가 있다고 한다."당신은 그것을 무법천지라고 비난할 수 있다. 당신은 이러한 회사들을 과대광고에 불과한 것으로 일축할 수 있다"고 Cramer는 말했다. "또는 이렇게 해보는 것은 어떨까. 하루에 5천만 주가 거래되는 회사를 가지고 그냥 거기에 약간의 조명을 비춰보는 것이다."[Compliance Note]• 셀스마트의 모든 게시글은 참고자료입니다. 최종 투자 결정은 신중한 판단과 개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함을 알려드립니다.• 게시글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수익과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코어16은 본 글에서 소개하는 종목들에 대해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 매수 또는 매도할 수 있습니다.
article
중립
중립
RIOT
Riot Platforms
+3
경제 & 전략
user
박재훈투영인
·
1개월 전
0
0
미국 4대 주가지수 동반 사상 최고가는 추가 상승을 의미 그러나 주의할점은?
25번째 동반 신기록 9월 18일 S&P 500, 나스닥, 다우존스, 러셀 2000지수가 동반으로 사상최고가를 기록한 현상은 금세기 들어 25번째 발생한 희귀한 이벤트다. 과거 동반 기록 이후의 주가 흐름을 분석한 결과, 이러한 현상은 단기적 조정 위험에도 불구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시장의 지속적인 상승 모멘텀을 시사하는 긍정적 신호로 해석된다.[그래프 1: 4대 벤치마크 지수 추이 및 동시 신고점 시점]이 차트는 2000년부터 현재까지 4대 주요 지수의 장기 성과를 보여주며, 2021년 11월을 표시한 파란색 수직선이 마지막 동반 기록 시점을 나타낸다. 주목할 점은 러셀 2000이 다른 지수들에 비해 상당히 높은 변동성을 보이면서도 2020-2021년 급등 이후 장기간 횡보하는 패턴을 보인다는 것이다. 반면 대형주 지수들은 2022년 하반기 조정 이후 꾸준한 회복세를 보이며 새로운 고점을 연속 경신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빨간색 점선들로 표시된 과거 동반 기록 시점들의 분포를 보면, 이러한 현상이 주로 강세장 중후반부나 새로운 상승 사이클의 초기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인다.단기 성과: 혼재된 결과와 지수별 차별화동반 기록 이후 1개월 시점에서는 지수별로 상이한 결과를 보인다. S&P 500과 나스닥은 각각 0.01%, 0.25%의 소폭 상승에 그쳤으나, 다우존스는 0.23%의 안정적인 상승을 기록했다. 반면 러셀 2000은 -1.40%의 하락을 보여 소형주의 상대적 취약성을 드러냈다.[그래프 2: 동시 신고점 달성 후 각 지수별 평균 수익률].이 막대 차트는 시간 경과에 따른 각 지수의 평균 수익률 변화를 명확하게 보여준다. 특히 주목할 점은 러셀 2000의 독특한 패턴이다. 1개월과 3개월 시점에서 지속적인 마이너스 수익률을 보이다가 6개월 시점에서 플러스로 전환되지만, 1년 후 다시 큰 폭의 마이너스(-4.10%)로 돌아선다. 이는 소형주가 초기 조정 압력에 취약하면서도, 중기적으로는 회복력을 보이지만 장기적으로는 구조적 한계에 부딪힐 가능성을 시사한다. 반면 다우존스는 모든 구간에서 양의 수익률을 유지하며 시간이 지날수록 수익률이 꾸준히 증가하는 안정적인 패턴을 보인다.3개월 시점에서는 전반적인 개선이 관찰된다. S&P 500(1.31%), 나스닥(0.57%), 다우존스(2.18%) 모두 양의 수익률로 전환되었고, 승률도 50.0%-58.3%로 상승했다. 러셀 2000의 경우 여전히 -1.19%의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했지만, 승률은 41.7%로 개선되었다.[그래프 3: 지수별 기간별 평균 수익률 히트맵]히트맵 분석을 통해 더욱 명확한 패턴이 드러난다. 색상의 강도로 표현된 수익률 분포에서 다우존스와 S&P 500은 시간이 지날수록 점진적으로 녹색이 진해지는 모습을 보이며, 이는 시간 경과에 따른 수익률 개선을 의미한다. 나스닥은 6개월 시점에서 가장 강한 녹색을 보이다가 1년 후 다소 퇴색되는 패턴을 보여, 기술주의 단기 모멘텀 특성과 장기 지속성의 한계를 동시에 보여준다. 러셀 2000은 전 구간에 걸쳐 상당한 변동성을 보이며, 특히 1년 후 진한 주황색으로 표시된 -4.10%는 다른 지수들과 확연히 구별되는 패턴이다.중장기 성과: 명확한 상승 추세 확인6개월 시점에서 동반 기록의 긍정적 의미가 본격적으로 부각된다. 모든 주요 지수가 양의 수익률을 기록했으며, 특히 나스닥이 3.31%로 가장 높은 성과를 보였다. S&P 500(2.75%), 다우존스(2.71%)도 견고한 상승세를 유지했다.[그래프 4: 동시 신고점 이후 기간별 평균 수익률 비교]이 선 그래프는 각 지수의 시간별 수익률 궤적을 통해 투자 전략의 핵심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다우존스의 경우 거의 직선적인 상승 궤도를 보이며, 이는 가치주 중심의 안정적 성장 패턴을 반영한다. S&P 500은 초기 정체 이후 6개월부터 가속화되는 모습으로, 대형주 포트폴리오의 안정성과 성장성을 동시에 보여준다. 나스닥의 경우 6개월 시점에서 정점을 찍고 1년 후 하락하는 역U자 형태를 보이는데, 이는 성장주와 기술주의 전형적인 사이클 패턴으로 해석된다. 러셀 2000의 극단적인 변동성은 소형주 투자 시 타이밍의 중요성을 강조한다.1년 후 결과는 더욱 인상적이다. 다우존스가 4.38%로 최고 성과를 기록했고, S&P 500도 2.97%의 안정적인 상승을 보였다. 나스닥은 1.55%로 상대적으로 낮았지만 여전히 양의 수익률을 유지했다.[그래프 5: 동시 신고점 달성 후 각 지수별 승률 (양의 수익률 확률)]승률 분석은 투자 확률론의 관점에서 중요한 통찰을 제공한다. 빨간 점선으로 표시된 50% 기준선 위에 위치한 구간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수익률 가능성을 나타낸다. 나스닥의 6개월 승률 83.3%는 특히 인상적인데, 이는 25번의 동반 기록 중 약 21번이 6개월 후 양의 수익률을 기록했음을 의미한다. 다우존스의 일관된 54.2% 승률은 변동성이 낮으면서도 안정적인 수익 창출 가능성을 보여준다. 러셀 2000의 경우 6개월 시점에서 70.8%의 높은 승률을 보이지만 1년 후 37.5%로 급락하는 것은, 소형주 투자에서 적절한 차익실현 타이밍이 중요함을 시사한다.지수별 특성과 투자 시사점[그래프 6: 동시 신고점 달성 후 기간별 수익률 분포]박스플롯 분석은 각 지수의 리스크-수익률 프로파일을 심도 있게 보여준다. S&P 500의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박스가 상승하면서 동시에 좁아지는 패턴을 보이는데, 이는 평균 수익률 개선과 동시에 변동성 감소를 의미한다. 나스닥은 6개월 시점에서 상당히 높은 위치에 박스가 형성되지만 상하 꼬리(whisker)가 길어 높은 변동성을 보인다. 1년 후에는 박스가 하락하면서 변동성도 줄어드는 모습이다. 다우존스는 전 구간에 걸쳐 상대적으로 작고 안정적인 박스를 유지하며, 아웃라이어(점으로 표시)도 적어 일관성 있는 성과를 보인다. 러셀 2000의 경우 모든 기간에서 박스가 크고 꼬리가 길며 아웃라이어가 많아, 소형주의 높은 변동성과 불확실성을 명확히 보여준다.분석 결과는 지수별로 뚜렷한 특성 차이를 보여준다. 다우존스는 모든 기간에서 가장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상승 궤도를 보였으며, 1년 후 4.38%의 최고 수익률과 54.2%의 일관된 승률을 기록했다. 이는 우량 대형주의 안정성과 지속 성장력을 반영한다.결론: 동반 기록의 긍정적 신호와 투자 전략[그래프 7: 동시 신고점 이후 전체 평균 vs 개별 지수 수익률]이 비교 차트는 시장 전체의 평균적 성과 대비 각 지수의 상대적 포지션을 보여준다. 회색 막대로 표시된 전체 평균을 기준으로 볼 때, 1개월과 3개월 시점에서는 시장 전체가 소폭 양의 수익률을 보이는 가운데 지수별 편차가 상당하다. 6개월 시점에서는 전체 평균이 크게 상승하면서 대부분의 지수가 양의 성과를 보이지만, 여전히 러셀 2000은 평균을 하회한다. 1년 후에는 전체 평균이 다소 하락하는 가운데 다우존스만이 평균을 크게 상회하고, 러셀 2000은 유일하게 마이너스 영역에 머물러 있다. 이러한 패턴은 동반 기록 이후 시장이 전반적으로는 상승세를 보이지만, 지수별로는 상당한 차별화가 일어난다는 점을 보여준다.4대 지수 동반 사상최고가 달성은 시장의 광범위한 강세를 의미하며, 역사적 데이터는 이러한 현상이 중장기적으로 긍정적인 결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보여준다. 특히 6개월 이후부터 뚜렷한 상승 모멘텀이 확인되는 패턴은 현재의 동반 기록 역시 향후 지속적인 시장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시사한다. 다만 지수별 차별적 접근이 필요하다. 다우존스와 S&P 500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상승 궤도를 보이는 반면, 나스닥은 단기 모멘텀 활용에 적합하고, 러셀 2000은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역사적 패턴을 참고하되, 현재의 거시경제 환경과 개별 섹터 펀더멘털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포트폴리오 구성이 필요하다.<출처:투영인>[Compliance Note]• 셀스마트의 모든 게시글은 참고자료입니다. 최종 투자 결정은 신중한 판단과 개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함을 알려드립니다.• 게시글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수익과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코어16은 본 글에서 소개하는 종목들에 대해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 매수 또는 매도할 수 있습니다.
article
매수
매수
NONE
종목 없음
user
셀스마트 앤지
·
1개월 전
2
0
S&P500 6.8배 vs 금 11배, 킹 골드의 귀환
도이치뱅크 전략가 Jim Reid가 최근 발간한 차트북에는 올해 상반기 금융시장의 변화를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차트들이 실려 있다. 특히 눈에 띄는 것은 미국 달러와 금의 상반된 궤적이다. 달러는 1973년 이후 최악의 상반기 성과를 기록한 반면, 금은 1980년 이후 가장 강력한 상승세를 나타냈다. 이 차트들은 단순한 가격 움직임 이상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 글로벌 투자자들이 달러의 ‘예외성’을 다시 묻는 동시에, 불확실성의 시대에 금이 여전히 가장 본능적인 피난처임을 재확인하고 있기 때문이다.1)달러의 2025년 상반기 성과: 달러의 예외주의의 균열, 1973년 이후 최악의 상반기 성과이 차트는 미국 달러 인덱스의 상반기(H1) 성과를 1971년 이후 연도별로 보여주고 있다. 2025년 상반기, 가장 최근의 막대는 –10%에 가까운 낙폭을 기록하였으며, 1973년 이후 달러에 찾아온 최악의 상반기를 의미한다. 이는 단순한 환율 변동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다. 달러가 ‘유일한 안전통화’라는 인식이 흔들리기 시작했음을 보여주며, 글로벌 투자자들이 미국 경제의 예외적 지위를 재검증하고 있음을 시사한다.2)금의 2025년 상반기 성과: 혼란 속 빛난 금, 1980년 이후 가장 강력한 상반기 랠리이 차트는 금 가격의 상반기 성과를 1980년 이후 연도별로 나타낸다. 2025년 H1 상승률은 30%에 달해, 40여 년 만에 가장 큰 폭의 반등을 기록했다. 이는 불확실성과 변동성이 극대화된 환경에서 여전히 금이 투자자들의 본능적 피난처임을 보여준다.3) 자산 총수익률 비교 (1999.12.31=100): 금, 21세기의 진정한 승자, S&P500을 넘어선 금의 위상이 차트는 1999년 말 100을 기준으로 주요 자산의 총수익률을 비교한다. 2025년 현재, 금은 11배 이상 상승해 6.8배 오른 S&P500을 크게 앞질렀다. 금은 단순한 원자재를 넘어, 장기 투자 성과 측면에서도 글로벌 투자 포트폴리오에서 핵심 축임을 입증하고 있다.4) 실질 금 가격 장기 추이 (1790년~): 역사 속 반복되는 사이클, 실질 금 가격의 1980년대 고점 재현이 차트는 실질 금 가격($/oz)을 18세기 말부터 현재까지 장기적으로 추적한다. 금은 1971년 달러와의 금태환이 종료된 이후 실질 가치가 열 배 가까이 상승했으며, 최근 급등은 1980년대 초반의 고점 수준에 다시 도달하고 있다. 이는 장기적으로 대부분의 원자재가 인플레이션을 상회하기 어렵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금만큼은 예외적으로 화폐제도의 변화와 함께 주기적이지만 강력한 랠리를 반복한다는 점을 시사한다.5)유가는 오르내리지만 결국 평균 회귀: 실질 유가로 본 150년 사이클이 차트는 1870년 이후 WTI 유가를 실질 기준으로 나타낸 것이다. 단기적으로는 1970년대 오일쇼크, 2008년 금융위기 전 급등,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큰 폭의 변동을 보였지만, 장기적으로는 실질 평균치인 약 50달러 선에 수렴하는 모습이 반복된다. 이는 유가가 정치적 충격과 공급 차질에 민감하게 반응하면서도, 장기적으로는 인플레이션을 초과해 상승하기 어려운 원자재라는 구조적 성격을 보여준다.[Compliance Note]셀스마트의 모든 게시글은 참고자료입니다. 최종 투자 결정은 신중한 판단과 개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함을 알려드립니다.게시글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수익과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코어16은 본 글에서 소개하는 종목들에 대해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 매수 또는 매도할 수 있습니다.
article
매수
매수
GLD
SPDR Gold Trust
user
박재훈투영인
·
2개월 전
0
0
고배당 ETF가 갖고 있는 함정을 피해야 합니다
높은 수익률은 변동성 확대와 예측 가능성 저하로 귀결될 수 있다매력적인 채권 수익률에도 불구하고, 배당주는 정기 인컴을 확보하면서 원금 증식을 추구하는 투자자들에게 여전히 어필하고 있다. 그러나 높은 주식 배당 수익률 추구는 일반적으로 밸류 트랩으로 점철되어 있다. 주가 급락과 과도하게 부풀려진 수익률을 보이는 부실기업들이다. 높은 수익률을 타겟팅하는 인덱스 펀드에게 하락 방어는 난제가 될 수 있다. 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최고 수익률 인덱스 펀드 중 하나인 SPDR Portfolio S&P 500 High Dividend ETF(SPYD)를 고려해보자. 이 펀드는 2020년 2월 20일부터 3월 23일까지의 시장 쇼크 기간 중 45.0% 이상의 드로다운을 기록했으며, 이는 S&P 500의 33.8% 손실을 크게 상회한다. 토털 리턴은 일반적으로 인컴 추구 투자자들의 핵심 포커스는 아니지만, 원금 훼손은 피해야 한다. 우수한 퀄리티의 고수익 펀드는 최적의 균형점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평균 이상의 수익률과 함께 적정 수준의 하방능력을 제공한다.밸류 트랩 회피 메커니즘SPDR Portfolio S&P 500 High Dividend ETF의 문제는 구성 프로세스에서 시작된다. 이 펀드는 12개월 예상 수익률로 주식을 랭킹하고 상위 80개 종목을 선별한다. 주가가 급락하고 펀더멘털이 취약하지만 주주들을 안심시키기 위해 배당을 유지하는 기업들을 스크리닝하는 메커니즘이 전무하다. 예를 들어, 이 펀드는 2020년 3월 배당을 중단할 때까지 Macy's 주식을 보유했으며, covid 쇼크 저점에서 해당 주식의 70% 손실을 그대로 떠안았다. Macy's 주가는 오프라인 소매업체들의 생존 경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2010년대 중반부터 지속적인 하락 국면에 빠져있었다.다행히도 주식 선별 프로세스에 세이프가드를 구축한 다른 고수익 배당 펀드들이 존재한다. Fidelity High Dividend ETF( FDVV)도 수익률에서 출발하지만, 각 주식의 배당성향과 YoY 배당 성장률도 스크리닝한다. 마찬가지로 WisdomTree US High Dividend ETF(DHS)는 상위 30% 고수익 미국 주식을 타겟팅하지만, 저퀄리티 펀더멘털과 최근 가격 하락세를 보이는 종목들을 필터링한다. 이 전략은 수익성 지표, 캐시플로우 메트릭스, 단기 히스토리컬 리턴을 활용하여 종합 점수를 산출한 후, 스코어 하위 종목을 제거한다.이러한 메트릭스는 Fidelity High Dividend ETF와 WisdomTree US High Dividend ETF를 재무적으로 건전한 기업으로 유도하고 저퀄리티 종목에 대한 익스포저를 제한한다. 두 ETF의 포트폴리오는 SPDR Portfolio S&P 500 High Dividend ETF와 일부 오버랩이 있지만, Procter & Gamble PG와 Exxon Mobil XOM 같은 안정적인 블루칩 종목들도 다수 편입하고 있다.두 펀드 모두 포트폴리오 퀄리티에 문제가 없다.보유 종목들은 SPDR Portfolio S&P 500 High Dividend ETF 대비 더 높은 수익성 비율과 더 낮은 레버리지를 보유하는 경향이 있다. 2025년 6월 기준 WisdomTree US High Dividend ETF와 Fidelity High Dividend ETF의 과거 12개월 ROIC는 각각 10.7%와 25.3%를 기록했다. 대조적으로 SPDR Portfolio S&P 500 High Dividend ETF의 수치는 6.7%에 머물렀다. 이러한 수익성 높은 주식들은 앞서 언급한 covid 쇼크와 같은 스트레스 테스트 기간에 초과수익을 달성했으며, WisdomTree US High Dividend ETF와 Fidelity High Dividend ETF는 SPDR Portfolio S&P 500 High Dividend ETF를 각각 8.7%p와 5.7%p 상회했다.이러한 안정성은 WisdomTree US High Dividend ETF와 Fidelity High Dividend ETF의 수익률이 소폭 하락하는 상충관계를 수반하지만, 가중 방식 덕분에 과거 12개월 수익률은 여전히 전체 시장을 크게 상회한다. Exhibit 1은 iShares Russell 1000 ETF IWB 대비 세 ETF의 과거 12개월 수익률 추이를 보여준다. 투자자들은 전체 시장 대비 WisdomTree US High Dividend ETF와 Fidelity High Dividend ETF로 1.5~2.0%p의 수익률 프리미엄을 확보할 수 있다..배당 수익률 기반 펀드의 상반된 접근법가중 방식 또한 배당 펀드의 위험-수익 균형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Vanguard High Dividend Yield ETF(VYM)과 SPDR Portfolio S&P 500 High Dividend ETF처럼 유사한 선별 기준을 사용하는 두 고수익 ETF는 상이한 가중 방식의 영향을 잘 보여준다. 두 펀드 모두 최고 예상 배당 수익률 종목을 선별한다. SPDR Portfolio S&P 500 High Dividend ETF는 포트폴리오를 80개 종목으로 제한하는 반면, Vanguard High Dividend Yield ETF는 더 광범위하게 대형주 및 중형주 시장의 고수익 상위 절반을 보유한다.그러나 가장 극명한 차이는 각각의 가중치 배분 방식이다. Vanguard High Dividend Yield ETF의 시가총액 가중 포트폴리오는 시장 과열 시 상위 종목에 편중될 수 있다. 하지만 이 가중 체계는 위험을 통제하고 수익률 기반 선별의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도 한다. 가격과 수익률은 역의 상관관계를 가진다. 가격이 하락하면 수익률이 상승한다. 따라서 가격이 하락하는 밸류 트랩은 자연스럽게 포트폴리오에서 작은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반면 SPDR Portfolio S&P 500 High Dividend ETF는 보유 종목을 동일 가중하며, 이는 일정한 상충관계를 동반한다. 더 높은 수익률의 소형주로 편향되지만, 주식의 과거 또는 현재 시가총액을 완전히 무시하고 더 작고 변동성 높은 종목에 더 많은 비중을 부여한다. SPDR Portfolio S&P 500 High Dividend ETF는 리밸런싱 시 가격 하락 종목의 비중을 추가로 늘리게 되며, 이는 밸류 트랩에 대한 노출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Vanguard High Dividend Yield ETF의 시가총액 가중 방식은 스트레스 기간에 더욱 명확하게 드러난다. WisdomTree US High Dividend ETF 및 Fidelity High Dividend ETF와 유사하게, Vanguard High Dividend Yield ETF는 2020년 3월 covid 충격의 저점에서 SPDR Portfolio S&P 500 High Dividend ETF를 10.9%p라는 인상적인 격차로 초과 성과를 기록했다. Vanguard High Dividend Yield ETF는 2015년 10월 설정 이후 지속적으로 SPDR Portfolio S&P 500 High Dividend ETF를 상회했으며, 변동성도 더 낮았다.섹터별 특이성순수한 수익률 극대화 접근법은 리스크를 수반한다. 수익률 추구는 배당 ETF를 가격 하락 주식, 즉 명확한 이유로 저평가된 부실 기업들로 빠르게 몰아갈 수 있다. SPDR Portfolio S&P 500 High Dividend ETF에 대한 각 고수익 대안들은 주식 선별 과정이든 가중 과정이든 이러한 부정적 가격 모멘텀에 대한 노출을 제어하는 제동장치를 제공했다.완벽한 전략은 없으며, 대안들도 여전히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지만, 이들의 단점은 배당 펀드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익숙한 문제들이다. 고수익 펀드는 종종 유틸리티 같은 특정 섹터를 선호한다. 이 업종에 속한 안정적인 주식들은 성장 중인 테크 기업보다 더 안정적인 배당을 분배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종목에 과도한 비중을 두면 수익률은 상승하지만, 섹터 집중 리스크가 높아지는 대가를 치른다.어떤 경우에는 이러한 베팅이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isdomTree US High Dividend ETF와 Vanguard High Dividend Yield ETF의 에너지 및 기술주 비중은 수년 전부터 괴리되기 시작했다. WisdomTree US High Dividend ETF의 배당 기반 가중 방식은 2021년 12월 에너지 주식으로 기울게 했다. 이는 기술주를 언더웨이트하는 대가였다. 기술주 대비 에너지 선호는 2022년 에너지 랠리에 완벽하게 포지셔닝했다.반면 Vanguard High Dividend Yield ETF의 시가총액 가중 방식은 에너지 주식 비중을 시장 가격과 일치하게 유지했다. 이 섹터는 2021년 시장의 더 빠르게 성장하는 부문에 뒤처졌으며, 연말 Vanguard High Dividend Yield ETF 포트폴리오에서 작은 부분만 차지했다. 이로 인해 2022년 대부분 기간 동안 WisdomTree US High Dividend ETF에 언더퍼폼했다. WisdomTree US High Dividend ETF는 2022년 첫 9개월간 Vanguard High Dividend Yield ETF를 7.6%p 앞섰다.그러나 이러한 우위는 오래 지속되지 않았다. 동일한 섹터 편향이 2023년 추세가 반전되었을 때 Vanguard High Dividend Yield ETF를 WisdomTree US High Dividend ETF 대비 6.7%p 앞서게 했다.수익률을 높이면 고수익 배당 펀드가 전체 시장에서 더욱 멀어질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이 반드시 나쁜 투자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지만, 다른 수익 패턴으로 이어질 것이다. 투자자들은 수익률 스펙트럼에서 자신의 위치를 이해해야 한다. 높은 수익률은 더 불안정하고 예측하기 어려운 여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요약고배당 ETF는 어트랙티브한 수익률을 오퍼하지만 밸류 트랩 리스크에 익스포즈된다. SPDR Portfolio S&P 500 High Dividend ETF는 단순한 고수익률 추종으로 2020년 covid 쇼크 시 45% 이상의 손실율을 기록했다.반면 Fidelity High Dividend ETF와 WisdomTree US High Dividend ETF는 배당성향, 현금흐름, 수익성 등 퀄리티 메트릭스를 인코퍼레이트하여 수페리어한 다운사이드 프로텍션을 제공했다. Vanguard High Dividend Yield ETF는 시가총액식 비중을 통해 가격 하락 종목의 임팩트를 자연스럽게 제한하며 리스크를 관리했다.이러한 퀄리티 중심 펀드들은 SPDR Portfolio S&P 500 High Dividend ETF 대비 마진하게 낮은 수익률을 보이지만, 여전히 종합지수 대비 1.5~2.0%p 높은 수익률 프리미엄을 제공하면서도 위기국면에서 아도적인 성과를 시현했다. 하이 일드 추구는 특정 섹터 집중현상과 시장과 다른 수익 특성을 만들 수 있어, 투자자는 수익률과 리스크 간 트레이드오프를 정확히 이해하고 접근해야 했다.<출처:morningstar.com>[Compliance Note]• 셀스마트의 모든 게시글은 참고자료입니다. 최종 투자 결정은 신중한 판단과 개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함을 알려드립니다.• 게시글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수익과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코어16은 본 글에서 소개하는 종목들에 대해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 매수 또는 매도할 수 있습니다.
article
중립
중립
NONE
종목 없음
user
셀스마트 앤지
·
2개월 전
4
0
“왜 지금 금인가: 중앙은행부터 ETF까지, 수요의 힘”
금 가격은 연초 이후 25.5% 상승하였다. 동 기간 S&P500 상승률 8.5%를 고려해 볼 때 매우 강한 가격 흐름이다. 골드만삭스에서는 금 가격의 랠리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한다. 현재 전망에 따르면 런던 금 가격은 2025년 말 온스당 3,700달러, 그리고 2026년 중반에는 4,000달러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한다. 지난 금요일 런던 금 가격은 온스당 3,336달러에 마감했다.금 가격은 왜 강세인가? 최근 금 랠리에는 글로벌 중앙은행들과 ETF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중앙은행은 2008~2009년 금융위기 이후 금 매도에서 금 매수로 전환했는데, 특히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미국이 러시아의 미국·유럽 채권 보유분을 동결한 사건이 전환점이 되었다.이에 신흥국 중앙은행들은 "자국 내에 보관하면 동결될 수 없는 유일한 준비자산"으로 금을 인식하고 매입 속도를 크게 높였다.<러시아 중앙은행 자산 동결 후 중앙은행의 금 수요 급증> Source: Goldman Sachs<미국, 독일, 이탈리아, 프랑스는 전체 보유고의 65~75% 이상 금으로 보유, 중국 10%이하> Source: World Gold Council, IFS as of first quarter 2025, Goldman SachsETF를 통한 금 매입은 주로 미국과 유럽의 장기 투자자 수요를 반영한다. 다만 ETF의 매입은 금리와 반비례하는 경향이 있다. 금은 이자나 배당과 같은 현금흐름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금리가 높아질수록 금보다 채권이 더 매력적인 안전자산으로 부각된다.지난해 금 랠리의 상당 부분을 외면했던 ETF 투자자들은 올해 들어 본격적으로 매수에 나섰다. FactSet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금 ETF에 순유입 기준 230억 달러를 쏟아부었으며, 이 중 거의 100억 달러가 시장에서 가장 인기 있는 상품인 ‘SPDR Gold Shares(GLD)’에 유입되었다.시장규모를 비교해 보면 글로벌 금 ETF 총액은 미 국채 발행잔액의 1% 수준, S&P500 시가총액의 0.5% 수준에 불과하다. 따라서 미국 자산에서 금으로의 자금 이동이 작아도 금 가격에는 큰 상승 압력이 될 수 있다. <금은 이자가 없는 자산이므로 금리가 낮을수록 매력적임. 금리와 역의 상관관계: 2022년 러시아 중앙은행 자산 동결 이후 상관관계가 약해지기는 함> Source: Bloomberg, Goldman Sachs물론 지금까지 금 수요를 주도한 것은 중앙은행과 장기 투자자였지만, 올해 후반과 내년에 어떤 일이 벌어질지는 여전히 불확실성은 남아 있다. 그럼에도 현 시점에서 이들이 매수 기조를 바꿀 요인을 찾기는 어렵다. 금융위기 위험도, 국제 제재로부터 준비자산을 안전하게 지켜야 하는 필요성도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이다. 오히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즉흥적이고 호불호가 극명히 갈리는 리더십 스타일도 안전자산 수요를 더욱 자극한다고 볼 수 있다.또한 장기 투자자들 역시 금 ETF 매수를 시작한 이상, 당분간 기조를 바꿀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특히 미국 금리가 앞으로 1년간 점진적으로 인하될 것이 확실시되는 상황에서는 더욱 그렇다.<헤지펀드·트레이더의 금 순매수 포지션은 불확실성이 높을수록(브렉시트, 무역분쟁, 코비드19, 대선 등) 급등>Source: CFTC, Goldman Sachs
article
매수
매수
GLD
SPDR Gold Trust
user
셀스마트 앤지
·
2개월 전
1
0
사상 최고치의 S&P500, 앞으로는? (1)
Yahoo Finance Chartbook는 매년 또는 반기 단위로 발간되는 시리즈로, 월가의 전략가와 경제 전문가들이 제공하는 주요 차트를 한데 모아 시장과 경제의 흐름을 시각적으로 전달하는 콘텐츠이다. 2025년 2월에 발간된 에디션에는 44개의 차트로 강세장 지속 가능성, 경기 사이클 변화, 금융 안정성 등을 중점적으로 다뤘다. 2025년 중간 에디션(7월29일 발간)에는 35개의 업데이트된 차트가 포함되어 있으며, 본 글은 핵심 차트 10개를 선별하여 정리한 것이다.올해 S&P500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상황에서, 차트북의 여러 전략가들은 이를 지탱하는 펀더멘털과 투자심리를 다각도로 분석하고 있다. 모건스탠리의 마이크 윌슨은 S&P500 이익 전망 수정 폭(breadth)이 역사적 V자 반등을 보이고 있어 랠리가 정당화된다고 강조했고, 골드만삭스의 벤 스나이더는 투자자 포지셔닝 지표가 ‘중립’에 머물러 과열이 아니라며 추가 상승 여력이 있다고 보았다. 도이체방크와 바클레이즈는 관세 충격으로 실적이 흔들리더라도 빅테크가 여전히 지수 방어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반면 스티펠의 배리 배니스터는 빅테크 수익성이 과거 닷컴 버블보다 강하더라도 고평가 문제는 여전하다고 경고했다.또 다른 전문가들은 구조적 요인에 주목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지수 산업 구조가 제조업 중심에서 고마진 혁신 산업으로 이동했기에 단순 밸류에이션 비교는 무의미하다고 했고, 트루이스트와 씨티는 중·소형주 실적 개선 여부가 시장 Breadth 확대의 관건이라고 지적했다. 동시에 UBS, Ritholtz, HSBC 등은 AI 주도 ‘수익성 예외주의’와 시장 집중도가 위험 요인임을 경고했다. 거시적으로는 관세가 물가를 일시적으로 밀어올리며 연준의 정책을 제약할 수 있고, 이민 억제 정책이 노동공급·임금·성장률을 압박한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결국 이 차트북은 AI 낙관론과 대형주 중심 랠리가 현실적 실적 개선과 정책 충격 속에서도 유지될 수 있는지가 향후 시장을 가르는 핵심 쟁점임을 보여준다.*NTM: Next Twelve Month“2025년 들어 미국 주식시장의 상승은 범위가 넓어져, S&P500 구성 종목 가운데 지수를 능가하는 비율이 약 2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올라갔다. 그러나 이러한 상승의 대부분은 멀티플 확장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며, 빅테크만이 드문 예외이다.” By Venu Krishna, Head of US Equity Strategy, BarclaysComments: 바클레이즈에 따르면 미국 주식시장의 상승 범위(market breadth)가 매우 넓어져, S&P500 구성 종목 중 상승폭이 지수를 상회하는 비율이 2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한다. 그러나 빅테크를 제외한 대부분의 섹터( 산업재, 소재, 에너지 등)의 경우 향후 12개월 이익성장률로 주가 상승이 설명되기 보다는 멀티플 확장 (PER 등)으로 주가 상승이 이뤄졌다고 볼 수 있다. 빅테크의 경우 멀티플 확장 보다는 이익성장률로 주가상승이 설명되므로, 주가가 급등한 것처럼 보여도 이익상승속도보다 빠르지는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이 차트는 S&P500의 실적 전망치 수정 개선/하향 비율을 보여주고 있다. 보시다시피 현재 우리는 역사상 가장 강한 V자형 반등 중 하나를 경험하고 있으며, 이는 2020년 코로나19 이후 반등에 필적하는 수준이다. 당시와 마찬가지로 시장에 대한 컨센서스가 크게 빗나갔던 시기였다. 많은 시장 참여자들은 지난 몇 달 동안 매우 근본적인 요인이 얼마나 강하게 작용했는지를 충분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By Michael Wilson, Chief Investment Officer, Morgan StanleyComments: S&P500의 기업 중 애널리스트들이 실적전망을 상향한 기업과 하향한 기업의 비율을 봤을 때, 2025년 초반부터 최근까지 역사상 보기 드문 강한 V자형 반등이 나타났다. 지금 수준은 2020년 코로나19 이후 시장이 컨센서스 대비 극도로 비관적이었다가 빠르게 되돌아온 시기와 비슷한 강도이다. 모건 스탠리의 마크 윌슨에 따르면 시장 참여자들은 지난 몇 달 간의 실적 전망 개선(펀더멘털 개선)이 얼마나 강하게 작용했는지를 충분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지금의 반등은 단순히 유동성이나 기술적 랠리가 아니라 실적 전망이 바닥을 치고 반등한 ‘펀더멘털 드리븐 V자형 회복’으로, 주가 상승 배경에는 실제 이익 전망의 업사이드 서프라이즈가 자리 잡고 있다. “빅테크가 1990년대 후반 닷컴 버블 당시 기업들보다 훨씬 더 수익성이 높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지만, 과대평가 수준은 그때와 다르지 않다.” By Barry Bannister, Chief Equity Strategist, Stifel.Comments: 이 차트는 S&P500의 밸류에이션이 경제적 이익(ROIC-WACC 차이)에 비해 얼마나 과대 혹은 과소평가되어 있는지를 보여준다. 빨간색 구간은 과대평가, 초록색 구간은 저평가를 나타내는데, 2000년 닷컴버블 당시 지수가 약 40% 이상 과대평가되었던 것처럼, 현재(2025년)도 그에 근접한 수준의 과대평가 국면에 들어섰음을 확인할 수 있다.Stifel의 배리 배니스터는 오늘날의 Big Tech는 현금흐름과 이익 창출력이 뒷받침되기 때문에 과거 닷컴버블 시기의 취약한 기업들과는 펀더멘털 면에서 차별화되지만, 투자자들이 지불하는 프리미엄 자체는 버블기에 맞먹는다는 경고하고 있다.“우리가 추적하는 대부분의 밸류에이션 지표로 보면 S&P500은 통계적으로 고평가 상태로 보이지만, 과거 사이클과 오늘날의 멀티플을 단순 비교하는 것은 ‘사과와 오렌지를 비교하는 것’이라고 본다. 그 이유는 지수 내 산업 구성 자체가 크게 바뀌었기 때문이다. S&P500은 1980년 당시에는 70%가 제조업처럼 마진이 낮고 자산·노동 집약적 산업이었지만, 현재는 50%가 높은 마진과 혁신 중심 산업으로 전환되었다.” By Savita Subramanian, Jill Carey Hall, Equity and Quant Strategy, BofA SecuritiesComments: ‘S&P500은 과거와 산업 구성이 달라졌기 때문에 현재의 높은 멀티플이 반드시 거품은 아니다’라는 논리를 뒷받침하는 차트와 견해이다. 이 차트는 S&P500 내 업종 구성이 1980년부터 2025년까지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보여준다.즉, S&P500은 지난 수십 년 동안 저마진·자산집약형 산업 중심에서 고마진·혁신 중심 산업 중심으로 구조 전환을 이뤄냈다. 이 변화는 단순히 과거 사이클과 오늘날의 밸류에이션 멀티플을 비교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는 점을 시사한다.“올해 하반기의 핵심 질문은 시장 주도권이 더 넓게 확산될 수 있을지 여부다. 스몰캡과 미드캡 종목들은 여전히 과거 고점보다 한참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실적 부진 때문이다. 흐름이 바뀌려면 경기 개선과 더 광범위한 이익 성장 모두가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추세가 개선되기 전까지는 우리는 성장 성향을 가진 대형주를 계속 선호한다.” By Keith Lerner, Co-chief Investment Officer, TruistComments: 현재 주식시장의 상승은 대형주의 뚜렷한 실적 개선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 반면 중형주와 소형주는 여전히 과거 고점 대비 낮은 수준의 이익 전망에 머물고 있어 랠리에 동참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시장 Breadth(주도권 확산)가 제한적임을 보여주며, 현 시점에서 대형주 중심의 투자 전략이 합리적임을 시사한다.향후 중·소형주의 반등을 위해서는 경기 전반의 개선과 함께 보다 광범위한 이익 성장 동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경기 회복이 가시화되기 전까지는 성장 성향을 지닌 대형주에 대한 선호가 유지될 가능성이 높으며, 추세 전환 여부는 중·소형주의 실적 회복 속도에 달려 있다.
article
중립
중립
SPX
S&P500
user
박재훈투영인
·
2개월 전
0
0
견조한 실적 발표가 투자자들의 경기 우려를 완화시키다
고용시장이 냉각되고 관세율이 상승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기업들은 여전히 양호한 실적을 시현하고 있다.​최신 어닝 시즌이 거의 마무리되는 가운데, S&P 500 기업들의 매출과 순이익은 Trump 대통령이 4월 포괄적 수입 관세를 발표한 이후 하향 조정되었던 시장 예상치를 무난히 상회했다. FactSet에 따르면 2분기 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약 12%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7월 초 애널리스트들이 예측했던 5% 성장률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이러한 어닝 성장의 상당 부분이 테크 기업들에 의해 견인되었지만, 기업 경영진들 역시 봄철 대비 경기에 대해 더욱 낙관적인 전망을 제시했다. AlphaSense에 따르면 '경기침체(recession)'라는 단어가 언급된 어닝콜은 84% 급감했다.​[그래프 : 4-5월 대비 7-8월 어닝콜에서 'recession' 언급 빈도 급감을 보여주는 차트]이러한 시그널들은 최근 몇 주간 주요 주가지수가 연이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데 기여했다. S&P 500은 4월 저점 대비 29% 상승했으며 연초 대비로는 9.7% 상승한 상태다.​최근 경제 데이터는 혼재된 양상을 보였다. 실망스러운 고용 지표는 안정적인 실업수당 청구 건수와 양호한 소매판매 보고서로 부분적으로 상쇄되었다. 지난주 발표된 두 개의 인플레이션 보고서 역시 상반된 메시지를 전달했는데, 고무적인 소비자물가지수(CPI) 데이터 이후 도매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스러운 보고서가 뒤따랐다.​그럼에도 일부 투자자들은 기업 실적이 양호한 한 매수 포지션을 지속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이번 주에는 Home Depot, Target, Walmart 등 대형 유통업체들의 실적 발표와 함께 실적 시즌이 사실상 마무리되면서, 투자자들은 소비자 건전성에 대한 추가적인 인사이트를 모색할 예정이다.​Carson Group의 글로벌 매크로 전략가 Sonu Varghese는 "놀랍게도 기업들은 이 모든 상황을 거치면서 2월이나 3월보다 어떤 면에서는 더 나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다.​물론 미국 기업 섹터 전체가 균등하게 호조를 보이는 것은 아니다. S&P 500의 11개 섹터 중 단 두 개—커뮤니케이션 서비스와 정보기술—가 Meta Platforms와 Microsoft 같은 기업들의 인상적인 분기 실적 덕분에 지수 전체 어닝 성장의 3분의 2 이상을 담당할 것으로 예상된다.​이 두 기업은 모두 인공지능 투자 급증의 최전선에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경제 전반의 생산성 향상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되는 기술을 지원하는 데 필요한 인프라 구축에 관여하는 다양한 기업들에게 횡재를 안겨주었다. AI 붐의 상징이 된 반도체 거대기업 Nvidia는 이달 말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그래프 : 2020-2025년 S&P 500 어닝 성장률 추이]한편, 데이터센터용 가스터빈을 제조하는 GE Vernova, 데이터센터 냉각 시스템을 공급하는 Comfort Systems, 데이터센터용 단열재를 생산하는 Owens Corning 등은 모두 최근 몇 주간 견조한 실적을 발표해 주가가 큰 폭으로 상승했다.​반면 포장재 기업, 석유·가스 시추업체, 부동산투자신탁(REITs) 같은 다른 비즈니스 부문은 더욱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다. 서부 해안 아파트 임대업체인 Essex Property Trust는 7월 30일 어닝콜에서 전반적으로 부진한 경제 환경으로 인한 로스앤젤레스 지역의 수요 약세를 지적했다. 실적 발표 이후 주가는 11% 하락했으며, 이는 해당 섹터 전반의 하락세를 반영한다.​T. Rowe Price의 자본시장 전략가 Tim Murray는 "현재 우리는 극도로 양극화된 경제 상황에 직면해 있다"며, AI 지출의 수혜를 받지 못하는 기업들은 "그럭저럭 버티는 시나리오"에 갇혀 있다고 진단했다.​일부 경영진은 Trump 행정부가 여러 무역 협정을 체결하고 의회가 세금 감면을 통과시켜 더욱 안정적인 정책 환경을 조성함에 따라 최근 미국 성장 둔화가 단기적 현상에 그칠 것이라는 희망을 표명했다. 기업 경영진들은 오랫동안 정부 정책의 불확실성이 계획 수립이나 투자를 어렵게 만들고 소비자 지출에 부담을 줄 수 있다고 주장해왔다.​United Airlines의 CEO Scott Kirby는 7월 17일 어닝콜에서 "기업과 소비자 모두에게 높은 불확실성으로 인해 지난 5개월간 수요가 약세를 보였다"면서도 "지난 몇 주간 불확실성 수준이 감소했고... 고무적인 것은 이러한 확실성 증대가 수요의 의미 있는 변곡점으로 전환되었다"고 밝혔다.​[그래프 : 2025년 8월까지 항공사 주가 변동률]올해 대부분 하락세를 보였던 United를 비롯한 항공사 주가는 지난주 CPI 데이터가 항공료 상승을 보여주고 Spirit Airlines가 운항 중단 가능성을 경고하면서 랠리를 펼쳤다. 이는 잠재적으로 경쟁사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United 주가는 현재 연초 대비 4% 상승했다.​일부 투자자들은 현재 경제에 대해 합리적으로 낙관적이지만, 주식이 지나치게 비싸져 오류의 여지가 거의 없다는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S&P 500 기업들은 최근 향후 12개월 예상 이익의 22.5배에 거래되고 있는데, 이는 10년 평균인 18.8배를 상회하는 수준이다.​Crossmark Global Investments의 CEO Bob Doll은 "우리는 고위험 강세장에 있다"고 진단하면서, 주식이 "거의 완벽한 세계를 디스카운트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완벽하지 않다"고 경고했다.<출처:WSJ>[Compliance Note]• 셀스마트의 모든 게시글은 참고자료입니다. 최종 투자 결정은 신중한 판단과 개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함을 알려드립니다.• 게시글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수익과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코어16은 본 글에서 소개하는 종목들에 대해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 매수 또는 매도할 수 있습니다.
article
매수
매수
NONE
종목 없음
user
박재훈투영인
·
2개월 전
0
0
터무니없이 비싼 AI 주식, 사야 할까 말아야 할까?
오늘날의 비싼 AI 주식들이 차세대 시장 리더가 될 것인가, 아니면 터지기를 기다리는 또 다른 버블일 뿐인가?​역사는 비교적 짧은 시간 안에 반복되는 듯하다. 최근의 랠리로 인해 연간 매출의 10배 또는 20배가 넘는 가치로 평가받는 기업들의 수가 급격히 증가했다.​기업가치 대비 매출 비율(EV/sales)이 10을 초과하는 기업들이 이제 MSCI World 지수의 2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닷컴 버블 이후 볼 수 없었던 수준이다. 또한 S&P500기업들의 주가 대비 매출액(PSR)은 현재 3.15로 역사적으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인다. ​이제 문제는 이러한 부풀려진 밸류에이션이 지속적인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지, 아니면 압력 속에서 결국 무너질 운명인지다.​우리는 2020년 말 FAANG 주식들이 급등할 때 처음 이 문제를 살펴보면서, 이런 종류의 주식들이 언더퍼폼할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했다. 그리고 한동안 그 예측은 맞았다.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이 그룹의 주식들은 크게 뒤처졌다.​​AI 랠리는 새로운 인터넷 버블인가?하지만 부분적으로 AI 혁명 덕분에 지난 2년간 극적인 반전이 일어나면서 극단적인 밸류에이션이 다시 돌아왔다. 정상화된 금리와 지속적인 인플레이션이라는 오늘날의 환경에서 이러한 컴백은 우리를 놀라게 한다. ​미국 10년물 Treasury 수익률이 2% 미만일 때는 이런 밸류에이션을 정당화하기가 한 가지였다 - 돈이 싸면 성장으로 가득한 찬란한 미래를 상상하기가 더 쉬웠다. 하지만 수익률이 이제 4.5% 정도인 상황에서, 그 정당화는 받아들이기 훨씬 더 어려워졌다.​우리의 2020년 분석은 지속적인 진실을 강조했다: 극단적인 밸류에이션(예: EV/sales > 10 또는 20배)으로 거래되는 주식들은 가격표를 정당화하는 데 필요한 수익을 거의 내지 못했다. 과거 데이터를 바탕으로 우리는 다음을 보여주었다:​EV/sales가 10배를 초과하는 주식의 경우, Russell 1000에서 5년간 중위 언더퍼포먼스는 65%, MSCI World에서는 33%였다EV/sales가 20배를 초과하는 주식의 경우 상황은 더 나빴는데, Russell 1000에서 중위 언더퍼포먼스는 73%, MSCI World에서는 50%였다​이유가 무엇인가? 이들 기업은 일반적으로 그러한 밸류에이션을 정당화하는 데 필요한 자기자본수익률(ROE)이나 지속적인 성장을 창출하지 못했다. 우리의 2020년 분석에 따르면 EV/sales가 10배를 초과하는 주식의 중위 ROE는 1999년 이후 거의 0에 가까웠고, 20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종종 마이너스였다.​Figure 1: 닷컴 수준으로의 회귀: 10배 EV/sales 이상으로 거래되는 MSCI World 주식 비중​​Figure 2: 20배 EV/sales 이상으로 거래되는 MSCI World 주식 비중Source: Man Numeric using MSCI World data as of 30 June 2025.​그림 1과 2는 오늘날 이러한 배수로 거래되는 주식의 집중도가 닷컴 버블에 필적하며, Information Technology 섹터가 급등의 대부분을 주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우리는 1995년에 더 가까운가, 2000년에 더 가까운가?물론, 이는 우리를 정상적인 금리 환경을 가졌던 1990년대 중후반의 인터넷 버블에 더 가깝게 만든다. 그리고 핵심적인 유사점은 엄청난 자본을 끌어들이고 있는 세대에 한 번 있을 기술 발전이다.​또 다른 수조 달러 규모의 질문은 우리가 이 다년간의 성장 사이클에서 어디에 있느냐다. 2022년 말의 ChatGPT 순간이 1995년의 Netscape 순간과 같다면, 우리는 1998년에 해당하는 시점에 있는가? 그렇다면 향후 2년간 주식 베타는 재미있을 것이다. 하지만 만약 우리가 2000년에 더 가깝다면... 아마 그렇지 않을 것이다.​또한 계속 증가하는 패시브 투자의 부상이 주식 가치 평가의 규율 부족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언급하지 않으면 안 된다. 패시브 자금 흐름은 밸류에이션과 관계없이 최대 기업들을 부풀려, 투기적 버블이 지속되고 성장하기 더 쉽게 만든다.​​분산: 가격 오류의 신호시장의 일부가 과대평가되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우리가 관심을 갖는 한 가지는 가장 싼 주식과 가장 비싼 주식 간의 스프레드인 밸류에이션 분산이다. 단기 지표로는 그다지 유용하지 않지만, 우리는 더 많은 분산이 Value 투자자들에게 더 나은 기회를 신호한다고 믿는다.​이는 인터넷 버블이 터진 후인 2000년대 초,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인 2009년, 그리고 COVID 랠리 이후인 2021-2022년에도 사실이었다. 역사적으로 더 넓은 분산은 잘못된 가격의 주식에 대한 더 큰 기회를 신호했고, 더 좁은 스프레드는 활용할 비효율성이 적다는 것을 시사했다.​선행 수익 기대치를 사용하고 섹터 및/또는 산업을 중립화하면, 글로벌 시장 전반의 분산은 비교적 "정상"으로 보인다.​일본은 평소보다 더 좁은 분산을 보이는 반면, 다른 지역들은 평균보다 약간 넓다. 이는 시장의 일부가 과도하게 비싸 보이지만, Value 투자자들에게는 여전히 기회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특히 일본 외 지역에서 그렇다.​Figure 3: 밸류에이션 가격 오류인가 기회인가? 지역별 선행 E/P 분산​​마무리 생각AI 주도의 열광이 밸류에이션을 극단으로 밀어붙였지만, 역사는 이러한 배수로 거래되는 주식들이 가격표를 정당화하는 데 필요한 수익을 거의 내지 못한다고 말한다. 주의가 필요하다. 펀더멘털은 여전히 중요하다.​<출처:man.com>
article
중립
중립
NONE
종목 없음
user
박재훈투영인
·
2개월 전
0
0
Apple주식,지금 매수해도 괜찮을까요?(III): iPhone 출시 이벤트 기반 단기 트레이딩 전략
I. 왜 아이폰 출시일에 주목해야 할까?아이폰과 주가의 특별한 관계Apple Inc.는 2007년 첫 아이폰 출시 이후 매년 정기적으로 신제품을 발표하며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을 선도해왔습니다. 이러한 제품 출시 이벤트는 단순한 기업 행사를 넘어 자본시장에서 중요한 투자 기회로 인식되고 있으며, 특히 AAPL 주가는 이러한 이벤트를 중심으로 특징적인 패턴을 보여왔습니다.본 보고서는 2007년부터 2024년까지 총 25회 이상의 아이폰 출시 이벤트를 분석하여, 이벤트 전후 주가 움직임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고 실전 가능한 투자전략을 도출하고자 합니다. 특히 이벤트 스터디(Event Study) 방법론을 활용하여 시장 대비 초과수익률(Abnormal Return)을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체계적인 트레이딩 전략을 수립하였습니다.최근 애플의 제품 출시 전략이 연 1회 대규모 이벤트에서 다수의 세분화된 출시로 변화하고 있는 가운데, 본 분석은 이러한 변화가 주가 패턴에 미치는 영향까지 고려하여 향후 투자 전략의 유효성을 검토하였습니다.어떻게 분석했나요?본 연구는 전통적인 이벤트 스터디 방법론을 채택하여 출시일을 기준으로 전후 21영업일(약 1개월)의 주가 움직임을 분석하였습니다. S&P 500 지수(SPY ETF)를 시장 벤치마크로 설정하여 시장 조정 수익률(Market-Adjusted Return)을 산출하였으며, 평균 초과수익률(AAR, Average Abnormal Return)과 누적 평균 초과수익률(CAAR, Cumulative Average Abnormal Return)을 통해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습니다.데이터 수집은 Yahoo Finance를 통해 일간 주가 데이터를 확보하였으며, 각 아이폰 모델의 공식 출시일(판매 개시일)을 이벤트 기준일로 설정하였습니다. 분석 과정에서 거래일 기준 정렬을 통해 주말 및 공휴일의 영향을 배제하였으며, 이를 통해 보다 정확한 패턴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였습니다.II. 데이터가 말해주는 놀라운 발견들출시 전후 주가는 어떻게 움직였나?분석 결과, AAPL 주가는 아이폰 출시를 전후로 명확한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출시 30영업일 전 시점에서 주가는 일시적인 약세를 보이며 평균 -1.2%의 하락을 기록하였으나, 출시 20영업일 전부터는 점진적인 상승 전환이 관찰되었습니다. 특히 출시 10영업일 전부터 출시일까지의 구간에서는 급격한 상승세가 나타나며, 이는 시장 참여자들의 기대감이 집중적으로 반영되는 구간으로 해석됩니다.출시일 이후의 패턴 역시 주목할 만합니다. 출시 직후 5-10영업일 사이에 평균 상대수익률이 +0.25%에 도달하며 단기 고점을 형성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후 점진적인 조정 또는 횡보 구간에 진입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는 전형적인 "Buy the Rumor, Sell the News" 현상으로, 실제 제품 출시 이후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되는 것으로 분석됩니다.정말로 시장보다 더 올랐을까?더욱 의미 있는 발견은 시장 대비 초과수익률 분석에서 나타났습니다. CAAR 분석 결과, 출시 30영업일 전 시점에서는 시장 대비 약 -0.2%의 언더퍼포먼스로 시작하였으나, 이후 지속적인 개선세를 보이며 출시일 시점에는 약 1.5%의 초과수익을 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특히 주목할 점은 출시 후 5영업일 시점에서 CAAR이 최대 1.8-2.0%에 도달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단순히 AAPL 주가가 상승하는 것을 넘어, 시장 전체의 움직임을 상회하는 초과 성과를 달성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출시 20영업일 이후에는 초과수익의 일부가 반납되어 약 1.0% 수준에서 안정화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이러한 패턴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과거 25개 이벤트 중 약 65-70%에서 양(+)의 초과수익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는 단순한 우연이 아닌 체계적인 패턴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한 투자전략 수립의 근거가 됩니다.이 패턴이 아직도 먹히는 이유흥미로운 점은 이러한 패턴이 17년이라는 긴 기간 동안 지속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시장 효율성 가설에 따르면, 예측 가능한 패턴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차익거래를 통해 소멸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아이폰 출시 이벤트의 경우, 패턴의 강도는 다소 약화되었을 수 있으나 여전히 유의미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이는 몇 가지 요인으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첫째, 각 아이폰 출시는 고유한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어 완벽한 예측이 불가능합니다. 둘째, 제품의 혁신 정도, 가격 정책, 경쟁 환경 등 다양한 변수가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셋째, 행동재무학적 관점에서 투자자들의 과도한 낙관과 실망의 사이클이 반복되는 경향이 있습니다.III. 실전에서 써먹는 투자 전략언제 사고 언제 팔까? (기본 전략)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체계적인 투자전략을 제안합니다. 핵심은 출시 전 약 25-30영업일부터 단계적으로 포지션을 구축하고, 출시 후 5-10영업일 내에 청산하는 단기 트레이딩 전략입니다.진입 전략은 3단계 분할 매수를 기본으로 합니다. 1차 매수는 출시 예정일 25-30영업일 전에 전체 계획 포지션의 30%를 매수하며, 이는 초기 약세 구간을 활용한 저가 매수 기회로 활용됩니다. 2차 매수는 출시 15-20영업일 전에 추가 40%를 매수하여 본격적인 상승 구간에 진입하며, 3차 매수는 출시 10영업일 전에 나머지 30%를 매수하여 포지션을 완성합니다.청산 전략 역시 단계적 접근을 채택합니다. 출시일 당일 또는 익일에 포지션의 30-40%를 우선 청산하여 초기 수익을 확정하고, 출시 후 5-7영업일 사이에 주요 물량인 40-50%를 매도합니다. 잔여 포지션은 출시 후 10영업일 이내에 완전 청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손실을 최소화하는 안전장치성공적인 전략 실행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리스크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본 전략에서는 포트폴리오 전체 자산의 10-15%를 초과하지 않는 선에서 포지션을 설정할 것을 권고합니다. 이는 개별 이벤트의 실패가 전체 포트폴리오에 미치는 영향을 제한하기 위함입니다.손절 기준은 두 가지 측면에서 설정됩니다. 첫째, 절대 손실 기준으로 매수 평균가 대비 -3% 하락 시 포지션의 50%를 즉시 청산합니다. 둘째, 상대 성과 기준으로 SPY 대비 -2% 이상 언더퍼폼 시 전략의 유효성을 재검토하고 필요시 조기 청산을 검토합니다.또한 시장 환경에 따른 전략 조정이 필요합니다. 강세장에서는 보다 공격적인 포지션 운용이 가능하나, 약세장이나 고변동성 시장에서는 포지션 규모를 축소하고 조기 청산을 고려해야 합니다. 특히 VIX 지수가 25를 초과하는 고변동성 구간에서는 옵션을 활용한 헤지 전략을 병행할 것을 권고합니다.실전에서 체크해야 할 것들전략의 성공적 실행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모니터링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Apple의 공식 발표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사전예약 현황, 초기 리뷰, 공급망 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야 합니다. 특히 최근에는 소셜 미디어와 온라인 커뮤니티의 반응이 주가에 즉각적으로 반영되는 경향이 있어, 이에 대한 모니터링도 중요합니다.성과 측정은 절대 수익률과 시장 대비 초과수익률을 동시에 추적해야 합니다. 과거 데이터 기준으로 이벤트당 평균 절대 수익률은 0.5-1.0%, 초과수익률은 1.5-2.0% 수준이 기대되나, 개별 이벤트의 편차가 크므로 장기적 관점에서 평가가 필요합니다.앞으로 더 나은 전략을 위해본 전략은 지속적인 개선과 진화가 필요합니다.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수요 예측 모델 개발, 옵션 전략과의 결합을 통한 수익 구조 개선, 글로벌 시장 간 시차를 활용한 차익거래 기회 포착 등이 향후 연구 과제입니다.특히 Apple의 제품 전략이 다변화되고 있는 만큼, Vision Pro, Apple Car 등 새로운 제품 카테고리의 출시 이벤트에 대한 별도 분석과 전략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중국, 인도 등 신흥 시장에서의 출시 이벤트가 주가에 미치는 영향도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세분화된 분석이 요구됩니다.IV. 마무리하며본 연구는 17년간의 데이터 분석을 통해 아이폰 출시 이벤트가 AAPL 주가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활용한 실전 가능한 투자전략을 제시하였습니다. 분석 결과, 출시 전후로 명확한 주가 패턴이 존재하며, 이는 시장 대비 1.5-2.0%의 초과수익 기회를 제공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제안된 전략은 단기 트레이딩 전략으로서 연간 3-4회의 거래 기회를 통해 누적 3-7%의 초과수익을 목표로 합니다. 이는 단독 전략으로도 의미가 있으나, 전체 포트폴리오의 수익 향상을 위한 보조 전략으로 활용될 때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됩니다.다만, 과거의 성과가 미래를 보장하지 않으며, 시장 환경의 변화, Apple의 전략 변화, 경쟁 환경의 진화 등 다양한 변수가 전략의 유효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합니다. 따라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전략 조정을 통해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 적응해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Compliance Note]• 셀스마트의 모든 게시글은 참고자료입니다. 최종 투자 결정은 신중한 판단과 개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함을 알려드립니다.• 게시글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수익과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코어16은 본 글에서 소개하는 종목들에 대해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 매수 또는 매도할 수 있습니다.
article
매수
매수
AAPL
Apple
user
박재훈투영인
·
2개월 전
0
0
Apple주식,지금 매수해도 괜찮을까요?(II); 펀더멘탈 분석
Executive SummaryApple 주가는 현재 $220선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미국 제조업에 $1,000억 투자 발표 이후 5.1% 상승했습니다. 이는 전체 시장이 하락세를 보이는 가운데 나타난 강력한 상대적 강세로, 투자자들이 Apple의 전략적 방향성에 대해 강한 신뢰를 보이고 있음을 시사합니다.특히 주목할 점은 이러한 상승이 단순한 뉴스 반응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기술주 전반이 압박받는 환경에서 Apple만의 독자적인 상승은 회사의 펀더멘털 강점과 전략적 포지셔닝의 우수성을 반영합니다. Jim Cramer가 "시장이 Apple을 미워하는 것이 우스울 정도"라고 언급한 것처럼, 현재 주가는 여전히 회사의 내재가치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29명의 애널리스트 평균 목표가는 $237.62(+7.99%)이지만, 상위 애널리스트들의 가중 목표가는 $253로 더 높은 상승 잠재력을 시사합니다. P/E 30.55배로 밸류에이션이 정상화되었고, 매출총이익률 46.68%의 탁월한 수익성을 유지하며, AI 슈퍼사이클의 초기 단계에 진입했습니다.밸류에이션의 정상화: 매력적인 진입 시점Apple의 밸류에이션 지표들이 보여주는 변화는 매우 의미심장합니다. P/E 비율이 2024년 4분기 39.37배에서 2025년 3분기 30.55배로 크게 하락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주가 조정이 아니라 시장이 Apple의 가치를 보다 현실적으로 평가하기 시작했다는 신호입니다. 30.55배라는 현재 수준은 Apple의 10년 평균 P/E인 28.5배보다는 약간 높지만, 최근 5년 평균인 32.1배보다는 낮은 수준입니다.이러한 밸류에이션 압축은 두 가지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첫째, 과거의 과열된 기대감이 식으면서 보다 지속가능한 수준으로 조정되었다는 것입니다. 둘째, 현재 수준에서는 하방 리스크가 제한적이면서도 상승 여력이 충분하다는 것입니다. EV/EBITDA 비율 역시 23.86배에서 21.29배로 하락하여 기업가치 대비 현금창출능력이 개선되었음을 보여줍니다.Forward P/E를 살펴보면 더욱 흥미로운 그림이 그려집니다. 2025년 30.09배에서 2026년 27.74배, 2027년 25.36배로 지속적으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Apple의 수익 성장이 주가 상승을 앞지를 것이라는 애널리스트들의 전망을 반영하며, 장기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리스크-리워드 프로파일을 제공합니다.탁월한 수익성: 경쟁우위의 핵심Apple의 수익성 지표들은 단순히 '좋다'는 수준을 넘어 '탁월하다'고 표현해야 할 정도입니다. 매출총이익률 46.68%는 하드웨어 기업으로서는 경이로운 수준이며, 소프트웨어 기업들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습니다. 이는 Apple이 단순한 제조업체가 아닌, 프리미엄 브랜드 파워와 생태계 지배력을 바탕으로 한 플랫폼 기업임을 입증합니다.영업이익률 31.87%는 운영 효율성의 극치를 보여줍니다. 매출 $100당 거의 $32의 영업이익을 창출한다는 것은 Apple이 비용 구조를 얼마나 잘 관리하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더욱 인상적인 것은 ROIC(투자자본수익률) 403.13%입니다. 이는 Apple이 최소한의 자본으로 최대의 수익을 창출하는, Warren Buffett이 가장 선호하는 형태의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했음을 의미합니다.이러한 높은 수익성이 일시적 현상이 아닌 구조적 우위에서 비롯된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Apple의 서비스 부문은 매출총이익률이 70%를 넘으며,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Pro 모델의 판매 비중이 65%에 달하는 등 제품 믹스도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습니다. 이는 Apple의 수익성이 앞으로도 유지되거나 오히려 개선될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합니다.성장 동력의 재점화: AI와 제조업 투자Apple의 성장 스토리에서 가장 흥미로운 부분은 성장률의 재가속 가능성입니다. 2025년 매출 성장률이 6.25%로 예상되는데, 이는 성숙 기업으로서는 매우 건전한 수준입니다. 더 중요한 것은 이 성장이 어디서 오는가입니다. iPhone 16의 AI 기능이 약 3.5%포인트, 서비스 부문이 1.8%포인트, Vision Pro 같은 신제품이 0.95%포인트를 기여할 것으로 분석됩니다.EPS 성장은 더욱 인상적입니다. 2025년 20.28%의 EPS 성장이 예상되는데, 이는 매출 성장률의 3배가 넘는 수준입니다. 이러한 레버리지 효과는 Apple의 비즈니스 모델이 얼마나 효율적인지를 보여줍니다. 운영 레버리지, 자사주 매입, 제품 믹스 개선이 결합되어 강력한 이익 성장을 만들어내고 있습니다.$1,000억 제조업 투자 발표는 단순한 정치적 제스처가 아닙니다. JPMorgan이 "지정학적 리스크 관리의 마스터클래스"라고 평가한 이 전략은 Apple의 장기적 경쟁력을 크게 강화할 것입니다. 20,000개의 신규 일자리 창출과 함께 미국 내 제조 능력을 확대함으로써, Apple은 관세 리스크를 완화하고 공급망 안정성을 확보하며 정치적 지지까지 얻는 일석삼조의 효과를 거두고 있습니다.특히 Corning과의 파트너십 확대는 주목할 만합니다. Ceramic Shield 기술의 독점 공급권을 확보하고 연간 $20억 규모의 거래를 진행하는 것은 Apple의 제품 차별화 능력을 더욱 강화할 것입니다. TSMC의 애리조나 공장에서 2027년부터 3nm 칩을 생산한다는 계획도 Apple의 기술 주권 확보에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입니다.애널리스트 전망의 진화: 점진적 긍정론최근 애널리스트들의 움직임을 살펴보면 흥미로운 패턴이 나타납니다. 2025년 8월 7일 하루에만 Bank of America가 목표가를 $240에서 $250로, Citigroup이 $240에서 $245로, JP Morgan이 $250에서 $255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이러한 일제 상향은 단순한 우연이 아니라 Apple의 전략적 포지셔닝에 대한 월가의 재평가를 반영합니다.특히 주목할 것은 애널리스트 등급의 변화입니다. Sell 등급이 3월 4개에서 8월 2개로 절반으로 줄었고, Strong Sell은 1개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이는 가장 비관적이었던 애널리스트들조차 Apple의 전망을 재고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물론 Hold 등급이 8개에서 11개로 증가한 것은 단기 상승 이후 관망세가 늘어났음을 의미하지만, 이는 오히려 건전한 시장 심리를 반영합니다.53명이라는 애널리스트 커버리지 수는 S&P 500 기업 중에서도 최상위권입니다. 이렇게 많은 전문가들이 지속적으로 분석하고 있다는 것은 정보의 효율성이 높다는 의미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컨센서스를 뛰어넘는 긍정적 서프라이즈의 가능성도 여전히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재무 전망: 안정적 성장의 청사진Apple의 향후 재무 전망을 들여다보면 안정성과 성장성이 절묘하게 균형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2025년 $415.47억, 2026년 $439.03억, 2027년 $464.11억의 매출이 예상되며, 이는 연평균 5-6%의 안정적인 성장을 의미합니다. 이 수치가 폭발적이지는 않지만, $4,000억이 넘는 거대한 매출 기반에서 이루어지는 성장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매우 인상적입니다.EPS 전망은 더욱 매력적입니다. 2025년 $7.31에서 2027년 $8.68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연평균 9% 이상의 성장률입니다. 매출 성장률보다 EPS 성장률이 높다는 것은 Apple이 단순히 규모를 키우는 것이 아니라 효율성을 개선하고 있다는 증거입니다.그러나 모든 것이 장밋빛은 아닙니다. 애널리스트들의 예측 범위를 보면 상당한 불확실성이 존재합니다. 2027년 매출 성장률 예측이 최고 16.6%에서 최저 -8.7%까지 분포한다는 것은 Apple의 미래가 여러 시나리오로 갈라질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Bull 케이스는 AI 채택 가속화와 중국 시장 회복을 가정하고, Bear 케이스는 경기 침체와 경쟁 심화를 반영합니다.리스크 요인: 균형잡힌 시각의 필요성투자 결정에서 리스크 평가는 수익 전망만큼이나 중요합니다. Apple이 직면한 리스크들을 냉정하게 평가해보면, 첫째로 중국 시장의 불확실성이 있습니다. 중국은 Apple 매출의 약 20%를 차지하는 핵심 시장인데, 지정학적 긴장과 현지 경쟁자들의 부상으로 압박을 받고 있습니다. iPhone 중국 판매가 10% 감소할 경우 EPS에 약 $0.50의 부정적 영향이 예상됩니다.둘째, 규제 리스크가 점차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EU와 미국에서 App Store의 독점적 지위에 대한 규제 압박이 강화되고 있으며, 이는 서비스 부문의 성장 잠재력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부문이 전체 이익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질수록 이러한 규제 리스크의 영향도 커질 것입니다.셋째, 기술 전환의 속도가 예상과 다를 수 있습니다. Apple Intelligence가 큰 기대를 받고 있지만, 소비자들의 AI 기능 채택 속도가 예상보다 느릴 가능성도 있습니다. 또한 Google, Samsung 등 경쟁사들의 AI 기술 발전 속도에 따라 Apple의 경쟁 우위가 빠르게 침식될 수도 있습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Apple은 이러한 리스크들을 관리할 수 있는 충분한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1,000억 제조업 투자는 지정학적 리스크를 완화하는 선제적 조치이며, 강력한 브랜드 파워와 생태계 락인 효과는 경쟁 압력을 완충하는 방어막 역할을 합니다.투자 전략: 신중한 낙관론모든 분석을 종합해보면, Apple 주식은 현재 수준에서 매력적인 투자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과거와 달리 보다 선별적이고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현재 주가 $221.68에서 애널리스트 컨센서스 목표가 $237.62까지는 7.99%의 상승 여력이 있지만, 상위 애널리스트들의 가중평균 목표가 $253을 고려하면 실질적인 상승 잠재력은 14% 이상입니다. 특히 Daniel Ives의 $270, Bank of America의 $250 목표가는 AI 슈퍼사이클이 본격화될 경우의 상승 잠재력을 보여줍니다.투자 진입 전략으로는 단계적 매수를 권합니다. 현재 $221 수준에서 초기 포지션을 구축하고, $210-215 구간에서 추가 매수, $205 이하에서는 적극적인 매수를 고려할 만합니다. 목표가 도달 시에는 부분적 차익실현을 통해 리스크를 관리하되, 핵심 포지션은 장기 보유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포트폴리오에서 Apple의 적정 비중은 7-10% 수준이 적절해 보입니다. 이는 충분한 노출을 확보하면서도 집중 리스크를 피할 수 있는 수준입니다. 보수적인 투자자라면 7%, 공격적인 투자자라면 10%까지 고려할 수 있을 것입니다.결론: AI 시대의 블루칩Apple은 더 이상 단순한 iPhone 회사가 아닙니다. AI 기술의 통합, 서비스 생태계의 확장, 제조 현지화를 통한 리스크 관리 등 다차원적인 전략을 통해 새로운 성장 궤도에 진입하고 있습니다.P/E 30배라는 밸류에이션은 AI 전환을 진행 중인 기업치고는 합리적이며, 46.68%의 매출총이익률과 403%의 ROIC는 Apple의 비즈니스 모델이 얼마나 탄탄한지를 보여줍니다. $1,000억 제조업 투자와 Corning 등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은 장기적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것입니다.물론 중국 시장 리스크, 규제 압박, 기술 경쟁 등의 도전 과제들이 존재합니다. 그러나 Apple은 이러한 도전들을 극복할 수 있는 충분한 자원과 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오히려 위기를 기회로 전환시킬 가능성이 높습니다.현재 Apple 주식은 "신중한 낙관론"으로 접근할 시점입니다. 맹목적인 매수보다는 철저한 분석과 체계적인 리스크 관리를 바탕으로 한 투자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장기적 관점에서 Apple은 여전히 가장 매력적인 투자 대상 중 하나이며, AI 시대의 진정한 블루칩으로서의 지위를 공고히 할 것으로 전망됩니다.투자의 대가 Peter Lynch의 말처럼, "주식시장에서 돈을 버는 핵심은 당신이 소유한 주식에 겁먹지 않는 것"입니다. Apple이라는 위대한 기업의 장기적 가치를 믿는다면, 단기적 변동성은 오히려 더 나은 진입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Compliance Note]• 셀스마트의 모든 게시글은 참고자료입니다. 최종 투자 결정은 신중한 판단과 개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함을 알려드립니다.• 게시글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수익과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코어16은 본 글에서 소개하는 종목들에 대해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 매수 또는 매도할 수 있습니다.
article
매수
매수
AAPL
Apple
user
박재훈투영인
·
2개월 전
0
0
시장이 새로운 상승 국면에 진입했나? S&P 500 Equal Weight Index가 답한다
월가가 현재 시장 랠리의 진정성을 판단하기 위해 S&P 500 Equal Weight Index(RSP)를 주목하고 있다. 지난 금요일 RSP가 11월 말 이후 처음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이것이 단순한 속임수인지 아니면 진정한 강세장의 시작인지에 대한 논쟁이 뜨거워지고 있다.왜 Equal Weight Index가 중요한가​전통적인 S&P 500이 대형 기술주들에 의해 좌우되는 것과 달리, 동일가중 지수는 500개 모든 구성 종목을 똑같이 취급한다. 이는 소수 거대 기업이 아닌 전체 시장의 건전성을 보여주는 바로미터 역할을 한다.​Bank of America의 기술 전략가 Paul Ciana는 "이 ETF의 신고점은 가격 기반 시장 폭이 개선되기 시작했음을 시사하는 간단한 방법"이라고 월요일 고객 노트에서 밝혔다. 특히 과매수 상황에서의 돌파는 더욱 의미가 크다는 것이 월가의 공통된 시각이다.​현재 RSP의 기술적 상태2025년 7월 29일 기준으로 RSP는 $158.20에 거래되고 있으며, 단기적으로는 조정 국면을 보이고 있다. 주요 기술적 지표들이 보여주는 신호는 다음과 같다:​• 이동평균선: 20일 이동평균 대비 -4.8%, 50일 대비 -1.7%로 단기 약세 국면 • RSI: 40-60의 중립 구간으로 과매도/과매수 상태를 벗어난 건전한 수준 • MACD: 약세 신호이나 바닥권 접근 중​핵심 지지선은 $152.00이며, 주요 저항대는 $162.00-$168.00 구간이다. 특히 $168.00을 돌파할 경우 상승 모멘텀이 가속화될 가능성이 높다.RSP vs SPY: 구조적 장점RSP는 SPY 대비 몇 가지 구조적 장점을 가지고 있다:더 나은 시장 참여도: 동일가중 방식으로 전체 시장의 움직임을 더 정확히 반영집중 위험 완화: 메가캡 기술주에 대한 과도한 의존도 감소높은 수익 잠재력: 월평균 수익률 2.21%로 SPY의 1.09%를 크게 상회리밸런싱 효과: 분기별 자동 조정으로 고점 매도, 저점 매수 효과​Roth MKM의 수석 기술 전략가 JC O'Hara는 "실적 시즌 중반에 시장 폭이 확대되는 것은 종목 선택의 경기장을 넓힌다"며 "이는 강세 행동으로 봐야 한다"고 평가했다.​​향후 전망과 투자 전략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RSP의 8월 예상가는 $169.70이며, $175.00 목표가 달성 확률은 41.6%다. 특히 주목할 점은 $152.00 지지선 유지 확률이 80.1%로 높다는 것이다.​단기적으로는 현재 레벨에서 매수 관망이 권고되며, $152.00 지지 확인 시 점진적 매수, $168.00 돌파 시 추가 매수 전략이 유효하다. 중장기적으로는 10-15%의 상승 여력이 있으며, 포트폴리오의 20-30% 비중이 적절하다.주요 상승 촉매향후 RSP 상승을 이끌 주요 요인들은:• Fed 정책 변화로 인한 소형/중형주 선호 현상• 성장주에서 가치주로의 스타일 로테이션 • 3분기 리밸런싱 효과 (10월) • 시장 참여 폭의 지속적 확대​Wolfe Research의 Rob Ginsberg는 "과매수 상황에서 신고점 돌파는 우리가 존중해야 할 신호"라며 "앞으로 일주일 동안 지켜봐야 할 중요한 차트"라고 강조했다.​위험 요인과 주의사항물론 위험 요인도 존재한다. RSP는 SPY 대비 5-6배 높은 변동성을 보이며, 소형주의 특성상 금리 변화에 민감하다. 또한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유동성이 제약될 수 있다.​결론: 새로운 상승 국면의 신호RSP의 사상 최고치 경신은 단순한 빅테크 랠리를 넘어선 광범위한 시장 상승을 시사한다. 특히 11월 Trump 재선 이후 첫 기록 경신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현재 기술적 조정 국면에 있지만, 구조적 장점과 중장기 상승 잠재력을 고려할 때 매력적인 투자 기회를 제공한다. 특히 Fed 정책 변화와 시장 스타일 로테이션이 예상되는 하반기에는 SPY 대비 상당한 아웃퍼폼 가능성이 높다.​투자자들은 $152.00 지지선 유지 여부, 90% 이상의 시장 참여 폭 확대 신호, Fed 정책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투자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RSP는 현재 시장이 진정한 상승 국면에 진입했는지를 판단하는 가장 중요한 지표이자, 동시에 그 상승에 참여할 수 있는 효과적인 투자 수단이 되고 있다.[Compliance Note]• 셀스마트의 모든 게시글은 참고자료입니다. 최종 투자 결정은 신중한 판단과 개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함을 알려드립니다.• 게시글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수익과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코어16은 본 글에서 소개하는 종목들에 대해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 매수 또는 매도할 수 있습니다.
article
매수
매수
488500
TIGER 미국S&P500동일가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