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홈게시글서비스요금제소개

KO

메뉴

홈
게시글
서비스
요금제
검색
소개
KO
logo
logo

Company

AboutTerms of Service Privacy Policy

Social

LinkedIn Twitter Discord

Contact

contact@coresixteen.com coresixteen.com
상호주식회사 코어16
대표조윤남
사업자등록번호762-81-03235
유선 전화번호070-4225-0201
주소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83, 오투타워 6층
JJ's profile picture

JJ

rnlrhrwk@yahoo.co.kr

user
JJ
·
6일 전
0
0
최근 미국시장에서 주목 받는 테마
미국 시장 테마와 한국 시장은 상관성이 높다최근 1주일 간 미국 시장에서 주목 받고 있는 투자 테마를 제시한다. 국내 시장에서도 관련 기업은 일정한 상관성을 갖고 움직인다. 일부 테마는 거의 동시에 반응이 나타나기도 한다. 그러나 미국 시장에서 이미 관심을 받고 있으나 국내 시장에서는 아직 반응이 나타나지 않고 있는 관련 기업들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Weekly US Theme Radar우라늄, SMR, 수소 등 전기 수요 증가에 따른 원자력, 수소 관련 관심 증가상업 우주, 로봇/휴머 노이드 등 미래 성장 산업 관심 증가부진했던 비만약 관련 테마 반등자율주행, 코인 관련 테마는 주춤테마1. 우랴늄/원자력/SMR/수소미국 종목: 우라늄 에너지, 센트러스 에너지, 뉴스케일 파워, 블룸에너지 한국 종목: 두산에너빌리티, 비에이치아이, 한전기술, 두산 퓨얼셀트레이딩 아이디어: 데이터센터 전력수요 증가로 원자력, 수소 등 발전 산업 성장 → 국내 원자력 기업 협업과 성장 주목테마2. 상업우주미국 종목: 로켓랩, 레드와이어한국 종목: 쎄트렉아이, 한화에어로스페이스트레이딩 아이디어: 데이터센터 전력수요 증가로 원자력, 수소 등 발전 산업 성장 → 국내 원자력 기업 협업과 성장테마3. 다이어트 약물미국 종목: 일라이릴리, 바이킹테라퓨틱스한국 종목: 한미약품, 펩트론, 디앤디파마텍트레이딩 아이디어: 수요 둔화 및 약가 우려로 부진 이후 반등 → 국내 기업 비만약 기업 횡보 중, 다시 관심 높아질 수 있음[Compliance Note]셀스마트의 모든 게시글은 참고자료입니다. 최종 투자 결정은 신중한 판단과 개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함을 알려드립니다.게시글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수익과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코어16은 본 글에서 소개하는 종목들에 대해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 매수 또는 매도할 수 있습니다.
article
매수
매수
SMR
NuScale Power Class A
+2
user
JJ
·
1주 전
0
0
9월 시장, 계절성과 금리 인하 효과 어떤 반응이 더 클까.
1.9월의 계절성9월은 일반적으로 주식시장이 부진한 시기로 알려져 있다. 계절적 이상 현상이 유독 다른 시기보다 강하게 나타나는 달이다. 2010년 이후 월별 수익률을 살펴보면, 긴 시계열로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나지만 짧은 시계열로 보더라도 9월은 음의 수익률을 기록한 경우가 많이 관찰된다. 계절적으로 부진한 원인으로는 첫째, 기관들이 회계연도에 맞춰 차익 실현 및 포트폴리오 조정을 하기 때문이다. 둘째, 연말을 앞두고 세금 이슈에 대비해 9월부터 일부 손절 매물이 나오기 때문이다.2.올해도 부진할 것이라는 시각이 팽배하다올해도 부진할 확률이 높다는 컨센서스가 형성되고 있다. 금리 인하 이벤트와 함께한다는 측면에서 보면 지난해와도 오버랩된다. 지난해처럼 오랫동안 금리가 동결되었다가 인하 여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인플레이션 논란과 경기 이슈가 비슷하게 반복되고 있다. 물론 라임은 다를 것이다. 지난해에는 물가가 2%대 수준에 안착하는 모습이 확실하게 보였기 때문에 인하하기가 한결 편했다. 하지만 올해는 관세 이슈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만만치 않다. 금리 인하 가능성은 높지만, FOMC 이전 발표되는 인플레이션 지표가 높게 나오면 시장은 흔들릴 수 있다.3.높은 금리 수준에서 인하는 기저효과를 키운다정상적으로 금리 인하가 진행될 경우, 지난해처럼 9월에도 상승할 확률이 높다. 4%대 수준의 미국 금리는 경제를 조금씩 약화시키고 있다. 높은 수준의 금리가 내려올 때 기저효과는 확대된다. 자산 가격에 미치는 영향도 이미 낮은 수준에서 내릴 때와는 다르다. 나쁘지 않은 경제 환경에서 높은 수준에 있던 금리를 내리는 만큼, 올해 금리 인하는 연말까지 미국 자산 시장의 랠리를 만들어낼 수도 있을 것이다.[Compliance Note]셀스마트의 모든 게시글은 참고자료입니다. 최종 투자 결정은 신중한 판단과 개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함을 알려드립니다.게시글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수익과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코어16은 본 글에서 소개하는 종목들에 대해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 매수 또는 매도할 수 있습니다.
article
매수
매수
SPX
S&P500
user
JJ
·
2주 전
2
0
자사주 의무 소각, 한국 시장도 '애플 모멘텀'이 만들어질 수 있을까
1.자사주 의무 소각이 논의되고 있다여당을 중심으로 ‘자사주 매입 후 의무 소각’을 골자로 한 상법 개정안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세부적으로는 소각까지 기간 설정, 예외 적용 범위 등 검토 과제가 남아 있지만, 자사주 소각 자체는 입법화 가능성이 높다. 자사주 소각은 일반적으로 주주환원 효과를 가진다.EPS(주당순이익) 상승 : 발행주식 수 감소로 동일한 순이익이라도 주당 이익은 증가기존 주주 지분율 상승 : 주식 수 감소로 기존 주주의 상대적 비중은 증가주가 상승으로 주주가치 제고 : 장기적으로 누적되면 주가 재평가 진행자사주 소각 효과는 미국 시장에서는 이미 검증된 것으로 한국 시장에서도 시행될 경우 단기적인 이슈를 떠나 장기적으로 주가에 반영될 가능성이 높다.2.애플 사례로 본 자사주 소각 효과자사주 소각과 주가 상승의 연결에서 대표적인 성공 사례는 '애플(Apple)'이다.애플은 2013년부터 자사주 매입과 소각을 시작했다. 이후 발행주식 수는 매년 감소했고, 그 결과 주당 순이익(EPS)은 순이익보다 더 가파르게 상승했다.흥미로운 점은 주가 반응 시점이다. 자사주 정책을 실행한 초기에는 주가 반응이 크지 않았다. 2018년 이후 자사주 소각 규모가 증가하면서 본격적으로 소각 효과가 반영되고 주가도 가파르게 상승하기 시작했다. 이는 발행주식 수 감소가 장기간 누적되면 주가 상승 압력이 한 번에 표출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EPS와 순이익 추이를 정규화(normalize)하면 성장 속도 차이가 드러난다.3.자사주 소각 관련 한국 시장 적용과 종목 선정자사주 소각이 주가에 미치는 경로는 EPS 증가와 멀티플 확장을 통해 반영된다.먼저 EPS 경로다. 발행주식 수가 줄면 동일한 순이익에서 EPS는 상승한다. 동일한 밸류에이션(PER)이 유지된다고 가정하면 EPS 상승만큼 주가는 상승하게 된다. 다음은 멀티플 경로다. 자사주 소각은 배당과 닮은 주주환원 신호다. 주주환원 확대로 위험자산인 주식의 리스크 프리미엄이 낮아진다. 이는 요구수익률 하락 → PER 상승으로 이어진다. 즉, 자사주 소각은 EPS를 키우는 직접 효과에 더해 멀티플을 확장시키는 간접 효과를 통해 주가에 반영될 것이다. 다만 일회성이 아니라 규모와 지속성이 담보 될 때 더 강하게 작동한다.자사주 소각에 따른 EPS와 PER 확장을 반영한 주요 종목 상승 여력자사주 소각이 의무화가 되면 우선 자사주 비율이 높은 기업들이 가장 먼저 움직임을 보일 것이다. 이후 보유하고 있는 자사주를 일정 부분 소각해야만 하고 여기에서 변화가 나타나고 EPS 및 PER 변화가 이어질 것이다.[Compliance Note]셀스마트의 모든 게시글은 참고자료입니다. 최종 투자 결정은 신중한 판단과 개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함을 알려드립니다.게시글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수익과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코어16은 본 글에서 소개하는 종목들에 대해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 매수 또는 매도할 수 있습니다.
article
매수
매수
AAPL
Apple
+2
user
JJ
·
6일 전
최근 미국시장에서 주목 받는 테마
article
매수
매수
SMR
NuScale Power Class A
+2
user
JJ
·
1주 전
9월 시장, 계절성과 금리 인하 효과 어떤 반응이 더 클까.
article
매수
매수
SPX
S&P500
user
JJ
·
2주 전
자사주 의무 소각, 한국 시장도 '애플 모멘텀'이 만들어질 수 있을까
article
매수
매수
AAPL
Apple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