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재훈투영인
·
5개월 전
中 "인플레 억제가 그래도 최우선"(2008-08-28)
베이징 올림픽을 마친 중국이 올해 남은 기간 동안 인플레이션 억제에 초점을 둔 경제 정책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27일(현지시간) 신화통신에 따르면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의 주지신 부위원장은 이날 11차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상임위원회에서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생필품 공급을 늘리는 데 힘을 쏟고 가격 통제정책을 좀더 효율적으로 운용하겠다고 밝혔다.주 부위원장은 "물가 상승을 이끄는 여러 동인들이 있다"며 "국제 물가가 크게 상승한 가운데 국내의 생필품 수요는 여전히 높고, 토지 임대료와 인건비도 비싸지고 있다"고 말했다.이같은 발언은 중국의 물가가 최근 안정 추세에 접어들고, 베이징 올림픽 개최 후 경제 성장세가 둔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팽배한 가운데 나온 것이어서 이목을 끌고 있다.중국의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6.3%로 5월 7.7%, 6월 7.1%에서 점차 낮아지고 있다. 상반기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10.4%를 기록, 전분기 10.6%와 전년 동기 12.2% 대비 둔화됐다.경제 성장 둔화 우려에 대해 주 부위원장은 "높은 수준에서 완만한 조정을 거치고 있다"며 "거시경제 정책이 의도한 바 대로 움직이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은 지난해 말부터 경기 과열과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긴축 통화정책을 실시하고 있다.주 부위원장은 긴축 통화정책으로 고충을 겪고 있는 일부 산업군과 기업들에 대해서는 "이들을 위한 지원책을 마련해야 할 시기"라고 지적했다.이어 "정부는 인플레이션 억제와 경제성장 유지 사이에서 균형을 추구할 것"이라면서 "올해 남은 기간 동안 경제 성장을 위해 내수 소비 증가를 촉진하고, 농업 생산을 부양할 것"이라고 이라고 덧붙였다.인플레이션 우려가 다시 부각되고 있지만 중국 정부가 경제 성장세 유지에도 방점을 두고 있는만큼 긴축정책 완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중국 정부는 지난달 말 경제정책 기조를 물가 상승과 경기 과열을 동시에 억제한다는 량팡(兩防)에서, 물가는 잡고 성장을 유지한다는 이바오이쿵(一保一控)으로 전환, 인플레 억제 일변도에서 성장으로 무게중심을 배분했다.현재 중국 기업들은 수요 감소, 대출 제한, 비용 상승 등으로 인해 고통받고 있는 실정이어서 대다수의 전문가들은 정부가 긴축정책을 완화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씨틱증권의 주졘팡 애널리스트는 "현 경제 상황을 살펴보면 재정 정책과 통화 정책 모두 완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