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홈게시글서비스요금제소개

KO

메뉴

홈
게시글
검색
소개
KO
logo
요금제
logo

Company

AboutTerms of Service Privacy Policy

Social

LinkedIn Twitter Discord

Contact

contact@coresixteen.com coresixteen.com
상호주식회사 코어16
대표조윤남
사업자등록번호762-81-03235
주소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83, 오투타워 6층
Nucor
검색 결과
기업
user
셀스마트 판다
·
2일 전
1
0
엔비디아가 4% 오를때, 8% 오른 AI 빅테크가 있다?
article
중립
중립
BABA
Alibaba Group Holding ADR Representing 8
user
셀스마트 판다
·
2일 전
1
0
엔비디아가 4% 오를때, 8% 오른 AI 빅테크가 있다?
어제(15일) S&P500과 다우지수가 동반 하락한 반면, 나스닥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이는 엔비디아가 미국 행정부로부터 중국으로의 칩 판매 재개 허가를 받았다는 소식에4% 상승하며 기술주 강세를 이끌었기 때문이었죠.한편, 엔비디아가 4% 오를 때 8%나 오른 빅테크가 있었습니다.중국 AI 대장주 일주일 간의 주가 변화알리바바 ADR(BABA)은 어제(15일) 약 8.1% 상승했습니다. 알리바바뿐만 아니라 텐센트(TCEHY), 바이두(BIDU) 등 미국에 상장된 중국 종목들도 덩달아 상승세를 보였는데요, 이들은 공통점은 바로... AI입니다.셀스마트는 3개 종목 중에서 알리바바에 주목합니다.왜 알리바바냐구요?알리바바는 국내에서 타오바오와 알리익스프레스로 알려진 중국 대표 이커머스 기업입니다. 하지만 국내투자자들에게 덜 알려진 사실은, 알리바바 주가를 이끄는 성장 엔진이 바로 AI와 클라우드에 있다는 것입니다.알리바바는 향후 3년간 클라우드 컴퓨팅과 AI 인프라에 3800억 위안 (약 76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발표하는 등 클라우드 컴퓨팅, 물류, 핀테크 등 분야로 사업을 적극적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올 3월, 자체 개발한 챗봇인 ‘QwQ-32B’를 오픈 소스를 공개, 6월에는 이미지 생성 기능을 제공하는 멀티모달 AI 모델 ‘Qwen VLo’를 출시하는 등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습니다.중국 AI빅테크 3종목의 연초대비 수익률알리바바의 2025년 1분기 실적에서 가장 주목할 부분은 클라우드 인텔리전스 부문의 가파른 성장입니다. 전년 대비 18% 증가한 301.3억 위안을 기록해 시장 기대치(299억 위안)를 웃돌았으며, 특히 AI 관련 매출은 7분기 연속 세 자릿수 성장률을 이어가며 고성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이는 알리바바가 AI 인프라 및 솔루션 영역에서의 경쟁력을 빠르게 강화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전체 매출은 2,364.5억 위안으로 시장 예상(2,397억 위안)에는 다소 못 미쳤지만, 조정 EBITA는 326.2억 위안으로 시장 예상(318.5억 위안)을 상회했습니다.애플을 통한 AI생태계 확장 모멘텀애플은 중국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인공지능 기능을 제공해야하는데, 중국 당국의 규제 승인이 이루어진 인공지능만을 ‘애플 인텔리전스’로 탑재할 수 있습니다.6월 16일, 알리바바는 애플과의 협업을 발표한지 4개월만에 애플의 머신러닝 프레임워크인 ‘MLX’에 최적화된 큐웬3(Qwen3) 모델 출시를 발표했습니다. 향후 아이폰, 아이패드, 맥북 등 중국 내 모든 애플 생태계에 큐웬3의 도입을 통한 AI 점유율 확장이 기대됩니다.큐웬3란?큐웬3는 올해 4월 29일 발표한, 알리바바의 가장 최신 LLM모델입니다.가장 큰 235B모델은 벤치마크 테스트에서 OpenAI의 o1, o3-mini-medium, DeepSeek R1, Grok 3-Thinking를 모두 이기는 성능을 보여줬으며,235B모델보다 작은 30B-A3B모델은 gemma3, Deepseek-v3, GPT-4o를 상회하는 성능을 보였습니다.큐웬3 모델은 119개 언어를 지원하며 약 36조개 토큰을 기반으로 학습되었습니다. 또한 하이브리드 사고 모드를 통해 복잡한 작업에는 사고 과정을 거쳐 정확도를 높이고 단순 작업에는 빠르게 응답하는, 효율성이 높은 것이 특징입니다.성장하는 클라우드 인프라중국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점유율은 알리바바, 화웨이, 텐센트가 각각 33%, 18%, 10%로 상위권을 유지 중입니다. 알리바바의 클라우드 관련 매출은 전년대비 15% 증가했습니다. 반면, 텐센트는 GPU 공급 제한과 자사 내부 운영을 위한 AI칩 우선 사용으로 인해 매출이 성장하지 못했습니다.또한 알리바바는 7월 초 말레이시아에 세번째 데이터 센터를 오픈했고, 다가오는 10월에는 필리핀에 두번째 데이터 센터를 오픈해 인프라 확장을 통한 동남아 지역의 AI 수요 증가를 대응하고 있습니다.마무리 지으며이번 엔비디아의 H20 칩 수출 재개는 AI와 클라우드 인프라를 핵심 성장 축으로 삼고 있는 알리바바에게 결정적인 모멘텀 확장의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특히 큐웬3를 기반으로 애플 생태계 진입까지 본격화되고 있는 만큼, 중국 내 AI 주도권 경쟁에서 한발 앞서나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기술 규제와 긴장이 공존하는 환경 속에서도, 실적 개선과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를 동시에 잡고 있는 알리바바의 다음 행보에 주목해 봅시다.[Compliance Note]셀스마트의 모든 게시글은 참고자료입니다. 최종 투자 결정은 신중한 판단과 개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함을 알려드립니다.게시글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수익과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코어16은 본 글에서 소개하는 종목들에 대해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 매수 또는 매도할 수 있습니다.
article
중립
중립
BABA
Alibaba Group Holding ADR Representing 8
이벤트
user
셀스마트 토미
·
5개월 전
0
0
트럼프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부과 발표에도 미국 증시 상승
article
중립
중립
NUE
Nucor
+3
user
셀스마트 토미
·
5개월 전
0
0
트럼프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부과 발표에도 미국 증시 상승
트럼프 대통령의 철강·알루미늄 25% 추가 관세 발표에도 미국 증시는 상승세를 보였다. 다우존스(+0.31%), 나스닥(+0.98%), S&P500(+0.67%)가 모두 상승하며, 시장은 이번 조치를 크게 우려하지 않는 분위기였다.그중 특히 철강 및 알루미늄 관련 기업들은 강한 상승세를 보였다. 클리블랜드-클리프스(NYSE:CL, +18%)는 급등했고, US 스틸(NYSE:X, +4.79%), 뉴코(NYSE:NUE, +5.65%), 알코아(NYSE:AA, +2.21%) 역시 강세를 보였다. 이는 관세 정책에 대한 영향이 생각보다 미국 내에서 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과 미국 내 철강 및 알루미늄 생산업체들이 보호무역 정책으로 반사이익을 볼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으로 분석된다.그러나, 장기적으로는 미국 내 철강 가격 상승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며, 자동차, 건설, 제조업체들의 원가 부담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article
중립
중립
NUE
Nucor
+3
경제 & 전략
user
박재훈투영인
·
3주 전
0
0
미국 전력시장 안정화가 주식시장에 미치는 투자 시사점
article
매수
매수
NEE
NextEra Energy
+1
user
박재훈투영인
·
3주 전
0
0
미국 전력시장 안정화가 주식시장에 미치는 투자 시사점
미국 전력시장 가격 안정화 트렌드는 재생에너지 및 저장장치 관련 기업들에게 가장 직접적인 수혜를 가져다준다. First Solar, Enphase Energy, Tesla Energy와 같은 태양광 패널 제조업체와 배터리 저장장치 기업들은 전력 가격 안정화가 입증되면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의 투자 수익률 예측 가능성이 향상되는 수혜를 받는다. 이러한 변화는 투자자들의 리스크 인식을 낮춰 관련 기업들의 밸류에이션 프리미엄 확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유틸리티 섹터에서는 NextEra Energy, Southern Company, Xcel Energy와 같은 선도적 유틸리티 기업들이 구조적 변화의 최대 수혜자로 부상한다. 안정적인 전력 가격은 이들 기업의 매출 예측성을 향상시키고 운영비 절감 효과를 가져다준다. 특히 전통적인 피크 발전소 투자 필요성이 감소하면서 자본 배분의 효율성이 크게 개선되어 주주 가치 창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간접적 수혜 섹터의 성장 동력에너지 집약적 제조업 분야에서는 예측 가능한 에너지 비용 구조가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작용한다. 데이터센터 운영업체인 Digital Realty Trust, Equinix, Amazon AWS는 안정적인 전력 공급으로 운영 마진의 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알루미늄과 철강 제조업체인 Alcoa, Nucor, 그리고 화학 산업의 Dow Inc., LyondellBasell 등은 에너지 비용 변동성 감소로 인한 경쟁력 강화 효과를 누린다.부동산 섹터에서도 긍정적 변화가 예상된다. Prologis와 같은 산업용 부동산 투자신탁과 Boston Properties 같은 상업용 부동산 기업들은 안정적인 운영비 구조로 인해 순영업수익의 예측성이 향상된다. 이는 부동산 가치 평가에서 위험 프리미엄 감소로 이어져 자산 가치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구조적 변화 리스크와 새로운 기회전통 에너지 기업들은 구조적 변화의 리스크에 직면한다. 천연가스 피커 플랜트는 저장장치가 피크 수요를 대체하면서 가동률 하락 리스크를 안고 있으며, 석탄 발전은 이미 진행 중인 퇴출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전력 거래업체들은 가격 변동성 감소로 차익거래 기회가 축소되는 구조적 도전에 직면한다.반면 전력망 인프라 기업들에게는 새로운 기회가 열린다. General Electric, Schneider Electric, ABB와 같은 송배전 장비 제조업체와 Itron, Landis+Gyr 같은 스마트그리드 솔루션 기업들은 분산형 에너지원 통합을 위한 그리드 현대화 수요 급증의 수혜를 받는다. 이러한 인프라 업그레이드는 향후 수년간 지속적인 성장 동력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지역별 투자 전략의 차별화Texas 기반 기업들은 ERCOT 시장의 성공 모델이 다른 지역으로 확산되면서 선도 기업으로서의 프리미엄 평가를 받을 가능성이 높다. Oncor, CenterPoint Energy, Vistra Corp과 같은 기업들이 대표적인 수혜주로 분류된다. California 기반 에너지 기업들, 특히 Pacific Gas & Electric과 California ISO 참여 독립발전업체들은 규제 환경과 기술 혁신의 최적 조합으로 장기 성장성을 확보한 상태다.투자 위험 요소와 대응 전략정책 의존성은 가장 주요한 위험 요소로 작용한다. 연방 및 주 정부의 재생에너지 지원 정책 변화와 세액공제 축소나 폐지 가능성은 섹터 전반의 밸류에이션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 기술적 리스크도 무시할 수 없다. 배터리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한 기존 투자 자산의 조기 노후화와 수소 등 새로운 에너지 저장 기술의 등장은 시장 구조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시장 포화 리스크 역시 중요한 고려 요소다. 태양광 발전의 급속한 확산으로 인한 가격 경쟁 심화와 저장장치 시장의 과열 투자는 수익성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위험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기술적 우위를 가진 기업과 규모의 경제를 확보한 업체에 선별적으로 투자하는 전략이 필요하다.시기별 투자 전략 수립단기적으로는 입증된 수익 모델을 가진 대형 재생에너지 기업에 집중하고, 전력 가격 안정화의 직접적 수혜를 받는 에너지 집약적 산업을 선별 투자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중기적으로는 그리드 현대화 관련 인프라 기업들의 성장 사이클을 활용하고, 다른 지역으로의 모델 확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투자 기회를 포착하는 전략이 유효하다.장기적으로는 에너지 전환의 구조적 수혜주를 발굴하여 장기 보유하고, ESG 투자 트렌드와 결합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접근이 필요하다. 이러한 전력시장의 안정화 트렌드는 단순한 에너지 섹터를 넘어 경제 전반의 구조적 변화를 의미하며, 투자자들에게는 새로운 가치 창출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성공적인 투자를 위해서는 기술 혁신의 속도와 정책 변화를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리스크 관리를 병행하는 것이 핵심이다.[Compliance Note]• 셀스마트의 모든 게시글은 참고자료입니다. 최종 투자 결정은 신중한 판단과 개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함을 알려드립니다.• 게시글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수익과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코어16은 본 글에서 소개하는 종목들에 대해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 매수 또는 매도할 수 있습니다.
article
매수
매수
NEE
NextEra Energy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