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홈게시글서비스요금제소개

KO

메뉴

홈
게시글
검색
소개
KO
logo
logo

Company

AboutTerms of Service Privacy Policy

Social

LinkedIn Twitter Discord

Contact

contact@coresixteen.com coresixteen.com
상호주식회사 코어16
대표조윤남
사업자등록번호762-81-03235
주소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83, 오투타워 6층
셀포터즈 서지훈's profile picture

셀포터즈 서지훈

sjh99081328@gmail.com

user
셀포터즈 서지훈
·
2주 전
0
0
코스피, 단기 반등 속 숨은 리스크, 지금은 관망이 답인가?
📊 2025년 6월 기준 코스피 시장 상세 분석2025년 6월 현재, 코스피는 중동 지정학 리스크 완화, 글로벌 금리 인하 기대, 정부의 자본시장 개혁 정책 등에 힘입어 단기적으로 반등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차익 실현 매물, 여전한 글로벌·국내 리스크, 외국인 수급 변동성 등 구조적인 변수들이 혼재하면서 시장의 방향성에 대한 평가가 여전히 엇갈리고 있는 상황이다.1. 📈 단기 반등의 주요 배경2025년 6월 코스피는 중동 휴전 소식을 기점으로 급등했다. 이스라엘과 이란 간 무력 충돌이 완화된다는 기대가 시장에 반영되면서 6월 24일, 코스피 지수는 3,100선을 돌파하며 약 3% 상승했다. 특히 외국인 투자자들은 6월 한 달 동안 약 6조 원 이상 순매수를 기록하며 지수 상승을 견인했고, 개인·기관 투자자들도 매수세에 가세했다.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연내 금리 인하 가능성이 커지면서 글로벌 유동성 환경이 개선될 것이라는 기대가 한국 주식시장으로의 자금 유입을 가속화시키고 있다.2. 🔄 최근 조정: 차익 실현 및 변동성 확대6월 27일, 코스피는 3,056포인트로 마감하며 전일 대비 약 0.8% 하락했다. 이는 최근 급등에 따른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된 영향이 컸다. 특히 기술·부동산 업종에서 매도세가 집중되었고, 외국인은 현물 주식 시장에서 매도 전환하며 선물에서만 순매수를 유지하는 등 수급 변화가 포착되고 있다.현재 코스피는 단기 급등 피로감,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 유가·환율 변동성에 따라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있는 구간에 진입한 것으로 평가된다.3. 🏦 MSCI 선진국 지수 편입 기대감최근 MSCI는 한국의 공매도 접근성이 개선되었다고 공식 발표했으며, 향후 한국이 신흥국 지수에서 선진국 지수로 재분류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평가를 내놓았다. 만약 실제로 MSCI 선진국 지수에 편입될 경우, 글로벌 패시브 자금이 대거 유입될 가능성이 있으며, 한국 주식시장의 ‘Korea Discount’ 해소에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다.정부도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배당소득세 완화, 기업 지배구조 개선, 외국인 투자 규제 완화 등을 포함한 자본시장 정상화 정책을 적극 추진 중이다. 2025년 하반기에는 ‘K-기업가치 제고 방안’ 후속 정책들이 본격적으로 시장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4. 🔍 구조적 리스크 여전그럼에도 불구하고 코스피에는 다음과 같은 구조적 리스크가 여전히 상존한다.반도체 의존도 심화: 코스피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주가에 절대적으로 의존하는 구조이며, 반도체 업황에 따라 지수가 급격히 변동할 수 있는 ‘쏠림 리스크’를 내포하고 있다.내수 경기 부진: 국내 소비 심리 회복이 지연되고 있으며, 고금리·고부채로 인한 부동산 경기 둔화가 내수 소비와 투자 심리를 지속적으로 압박하고 있다.대외 변수 불확실성: 원화 약세, 미·중 갈등,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 지정학적 리스크는 외국인 투자자들의 유입을 지속적으로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정책 실현 가능성: 정부의 자본시장 개혁이 시장 기대만큼 신속하고 강력하게 추진되지 않을 경우, 기대감이 실망으로 전환될 리스크가 존재한다.5. ✅ 투자 시사점 요약단기 투자: 외국인 순매수, 금리 인하 기대, 중동 휴전 모멘텀이 긍정적이나, 단기 급등 피로감과 기술적 조정 구간 진입 가능성에 유의해야 한다.중장기 투자: MSCI 선진국 지수 편입, 정책 효과 현실화 시 재평가(리레이팅)가 가능하지만, 정책 추진 속도, 글로벌 경기 및 반도체 사이클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섹터 전략: 반도체·AI·친환경·2차전지 업종은 여전히 성장 모멘텀이 유효하며, 내수·부동산·소비재는 보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핵심 셀링 포인트코스피는 외국인 자금 유입, 금리 인하 기대, 정책 개혁 모멘텀으로 단기 반등 중이지만, 반도체 쏠림 구조와 내수 부진, 글로벌 리스크가 지속되는 만큼 신중하고 유연한 투자 전략이 필요하다.[Compliance Note]• 셀스마트의 모든 게시글은 참고자료입니다. 최종 투자 결정은 신중한 판단과 개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함을 알려드립니다.• 게시글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수익과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코어16은 본 글에서 소개하는 종목들에 대해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 매수 또는 매도할 수 있습니다.
article
중립
중립
226490
KODEX 코스피
user
셀포터즈 서지훈
·
3주 전
0
0
대한민국 코인의 왕. 업비트 그 미래는?
두나무는 비상장 기업임에도 불구하고 국내 핀테크 업계에서 상당한 주목을 받는 기업이다. 대표 서비스인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Upbit)’와 비상장 주식 거래 플랫폼 ‘증권플러스 비상장’을 운영하면서, 암호화폐 및 장외 주식 시장이라는 두 개의 틈새 시장에서 강한 브랜드 인지도를 구축해 왔다. 특히 암호화폐 산업의 성장이 본격화된 2017년 이후 두나무는 급성장했으며, 이러한 배경 속에서 고수익 기반의 기업으로 주목받아 왔다. 그러나 2025년 현재, 이러한 성장의 지속 가능성과 기업 가치의 타당성에 대한 논의는 과거보다 훨씬 복잡하고 다면적인 양상을 띠고 있다.(필자는 해당 회사에서 인턴으로 근무한 경험이 있다,,,)1. 불확실한 가치: 주가와 시가총액에 대한 평가 갈등2025년 6월 기준, 두나무의 장외 시장 주가는 약 199,000원으로, 이를 바탕으로 계산한 시가총액은 약 6.9조 원에 이른다. 이는 비상장사로서는 이례적으로 높은 수준이며, 장외 시장 내에서도 손꼽히는 고평가 기업에 해당한다. 이 같은 주가는 두나무의 과거 실적과 향후 상장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그러나 문제는 이 기대가 현실적인 기반 위에 있는지 여부다. 실제로 많은 투자자들은 이 가격이 과도한 기대를 내포하고 있으며, 현재의 실적 및 경쟁 환경을 고려할 때 정당화되기 어렵다고 평가하고 있다.두나무의 높은 주가는 상장 기대감이라는 일종의 '프리미엄'을 담고 있다. 그러나 상장 일정이 수년간 지연되고 있고, 구체적인 로드맵조차 공개되지 않은 상황에서 투자자들의 기대는 점차 피로감을 보이고 있다. 더욱이 장외 주식의 특성상 유동성이 낮아 매매가 어렵고, 실시간 기업 정보 접근이 제한되며, 이로 인해 시장 가격이 실질 가치와 괴리를 일으킬 가능성도 상존한다. 따라서 현재의 시가총액이 두나무의 본질적인 수익 창출 능력과 산업 내 경쟁 구조를 충분히 반영하고 있는지에 대해 보다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2. 실적 지표의 함정: 외형 성장과 내재적 불안정성두나무의 최근 실적은 수치상으로 매우 인상적이다. 2024년 기준 연매출은 약 1조 7천억 원, 영업이익은 1조 1천억 원에 달하며, 이는 업계 평균을 크게 상회하는 수준이다. 하지만 2025년 1분기에는 이 수치가 급감하여,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분기 대비 각각 30% 이상 하락했다. 이러한 급격한 실적 변화는 두나무의 수익 구조가 얼마나 암호화폐 시장의 외부 환경에 의존하고 있는지를 명확하게 보여주는 지표다.특히 수익 대부분이 거래 수수료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암호화폐의 가격 변동성과 거래량 증가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두나무는 기본적으로 암호화폐 시장의 ‘온도계’에 따라 실적이 좌우되는 구조를 갖고 있으며, 이는 장기적인 기업 가치의 안정성을 의심하게 만든다. 실제로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수익성은 높지만 예측 가능성은 낮다”는 평가가 많으며, 이는 장기 투자 관점에서 상당한 리스크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3. 경쟁 격화: 업비트의 우위는 지속 가능한가?업비트는 한때 국내 암호화폐 시장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자랑했다. 그러나 최근 빗썸(Bithumb)을 포함한 경쟁 거래소들의 적극적인 시장 확대 전략으로 인해 이 독점적 구도는 점차 약화되고 있다. 빗썸은 2025년 들어 새로운 코인 상장 확대, 해외 거래소와의 파트너십 체결, 강화된 보안 시스템 도입 등으로 사용자 기반을 넓히고 있으며, 일부 주요 거래 쌍에서는 업비트를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이러한 경쟁 구도의 변화는 두나무가 기존에 누려왔던 시장 지위와 수익 안정성에 타격을 줄 수 있다. 실제로 업비트는 해외 진출 전략에서도 뚜렷한 차별성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으며, 글로벌 거래소에 비해 플랫폼의 혁신성 측면에서도 한계를 보이고 있다는 평가가 있다. 결국 향후 몇 년간 암호화폐 시장에서 경쟁이 심화된다면, 업비트의 수익성에도 직접적인 악영향이 미칠 수밖에 없다.4. 정책 및 규제 리스크: 공정위 조사와 플랫폼 규제 변수두나무는 현재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증권플러스 비상장' 플랫폼에 대한 지배력 남용 혐의로 조사를 받고 있는 중이다. 이는 비상장 주식 거래 시장에서의 독점적 지위가 경쟁을 저해했다는 의혹에 따른 것으로, 조사 결과에 따라 과징금 부과나 운영 방식 변경 등의 행정 조치가 취해질 가능성이 있다. 만약 이러한 조치가 현실화된다면, 두나무의 비상장 플랫폼 사업 부문은 성장이 제한되거나 심각한 이미지 타격을 입을 수 있다.특히 두나무가 이 플랫폼을 분할 법인화하고 금융위원회의 인가를 추진 중인 가운데, 정책 환경이 불확실하게 변동하고 있다는 점은 중대한 경고 신호다. 금융당국의 인가가 지연되거나 내부 리스크가 드러날 경우, 신뢰도 하락은 물론 향후 자본 유치나 상장 전략에도 차질을 빚을 수 있다. 이처럼 두나무는 현재 외부 규제 환경의 불확실성이라는 구조적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는 투자 판단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요소다.5. 상장 지연과 구조 개편의 양날의 검두나무가 상장 계획을 수년간 미루고 있는 점도 투자자들 사이에서 우려를 낳고 있다. 특히 상장을 통해 유동성을 확보하려는 투자자들에게는 현재의 비상장 구조가 큰 제약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구조는 기업에 대한 평가와 투자금 회수 시점 모두에서 불확실성을 증가시키며, 장외 시장 특유의 비효율성과 투명성 부족 문제까지 동반한다.최근 두나무는 ‘증권플러스 비상장’을 분할하여 별도 법인으로 재편하고 있으며, 이는 명목상 플랫폼 전문성과 규제 대응력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로 알려졌다. 그러나 시장 일각에서는 이러한 구조 개편이 향후 사업 부문 매각, 혹은 리스크 분산을 위한 사전 조치일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이는 회사 내부적으로도 성장성과 안정성 사이에서 균형을 잡기 위한 전략적 고민이 존재함을 시사한다.6. 재무 지표의 해석: 낮은 밸류에이션은 안전판인가 경고음인가현재 두나무의 PER(주가수익비율)은 약 3~4배, PBR(주가순자산비율)은 약 0.9배 수준으로 추정된다. 표면적으로 보면 이는 매우 낮은 수치이며, 통상적으로는 저평가 기업으로 간주된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정상적인 시장 조건’에서의 평가일 뿐이다. 두나무의 경우, 이익의 변동성이 지나치게 크고, 수익의 재현 가능성이 낮으며, 산업 자체가 고위험군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이 같은 낮은 밸류에이션은 오히려 방어적 성격일 수 있다.즉, 시장은 두나무를 리스크 높은 자산으로 보고 있으며, 밸류에이션 수치로만 기업 가치를 단정짓기 어렵다는 의미다. 결국 이익 대비 낮은 주가 수준은 저평가가 아닌, 불확실성을 감안한 평가일 수 있으며, 이는 신중한 분석 없이는 투자자에게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다.종합 평가: 단기 수익성보다 구조적 지속 가능성을 검토해야두나무는 한국 핀테크 산업의 상징적인 성장 기업 중 하나로, 암호화폐 시장의 성장기와 함께 단기간 내 고수익을 실현해 온 기업이다. 그러나 현재 시점에서는 실적의 급격한 변동성, 업계 내 경쟁 격화, 정책·규제 리스크, 상장 지연, 플랫폼 의존 수익 구조 등 다양한 구조적 약점이 동시에 부각되고 있다. 특히 비상장 기업 특유의 유동성 제약과 정보 비대칭성은 투자자 입장에서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향후 두나무에 대한 투자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수익성 지표나 과거 실적에만 의존하기보다, 해당 기업이 장기적으로도 암호화폐 산업의 구조적 변화 속에서 안정적인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을지를 냉정하게 평가해야 한다. 즉, 암호화폐 시장의 성장 가능성, 플랫폼 구조 개편의 방향성, 규제 대응 전략 등을 포함한 종합적 분석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런 다각적인 검토 없이 접근한다면, 현재의 고평가된 주가는 오히려 투자자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Compliance Note]• 셀스마트의 모든 게시글은 참고자료입니다. 최종 투자 결정은 신중한 판단과 개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함을 알려드립니다.• 게시글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수익과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코어16은 본 글에서 소개하는 종목들에 대해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 매수 또는 매도할 수 있습니다.
article
강한 매도
강한 매도
NONE
종목 없음
user
셀포터즈 서지훈
·
1개월 전
0
0
위기는 곧 기회
이스라엘-이란 전쟁주목해야 할 투자 섹터 분석1. 서론2025년 6월, 이스라엘과 이란 간의 군사 충돌이 현실화되면서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긴장이 급격히 고조되고 있다. 이는 단순한 지역 분쟁을 넘어 국제 유가, 글로벌 금융시장, 세계경제 전체에 다양한 파급효과를 미치고 있다. 본 보고서는 이번 전쟁의 전개 상황을 바탕으로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투자자 입장에서 주목해야 할 섹터 및 산업군을 분석하고자 한다.2. 전쟁 개요2025년 6월 13일, 이스라엘은 'Operation Rising Lion'이라는 명칭의 군사작전을 개시하며 이란 핵시설 및 주요 군사기지를 공격했다. 이에 대응해 이란은 150여 발의 탄도미사일과 수십 대의 드론을 이스라엘을 향해 발사하며 보복에 나섰다. 이로 인해 단기적으로 양국 간 대규모 무력 충돌이 발생했고, 중동 전역의 정치·경제적 불확실성이 확대되었다.3. 전쟁이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3.1 유가 및 에너지 시장전쟁 직후 국제 유가는 하루 만에 약 7~11% 상승하며 배럴당 80달러 선을 돌파했다. 중동이 세계 원유 공급의 핵심 지역이기 때문에, 긴장이 장기화되거나 호르무즈 해협 봉쇄 등으로 이어질 경우 유가는 배럴당 100달러 이상까지 치솟을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되었다. 이는 글로벌 에너지 비용 상승과 더불어 생산·운송·소비 전반에 물가상승 압력을 가중시킬 수 있다.3.2 금융시장 반응군사 충돌이 발생한 당일, 미국 주요 증시는 일제히 하락했고, 금·달러·미국채 등 안전자산은 강세를 보였다. 특히 방위산업 주식은 상승세를 보였으며, 항공·여행·소비재 업종은 연료비 상승과 수요 감소 우려로 타격을 받았다. 투자자들은 지정학 리스크 확대에 따라 변동성이 큰 자산을 회피하고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자산으로 옮겨가는 흐름을 보였다.3.3 중앙은행 정책과 인플레이션유가 상승은 단기적인 인플레이션 재자극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와 유럽중앙은행(ECB) 등의 통화정책에 영향을 미쳐 금리 인하를 지연시키거나, 금리 동결 기조를 유지하게 만들 수 있다. 중앙은행 입장에서는 경기 둔화를 우려하면서도 물가 안정을 위한 긴축적 기조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아졌다.4. 주목해야 할 섹터 및 산업전쟁과 같은 지정학 리스크 상황에서는 전통적으로 수혜를 입는 산업군이 존재한다. 투자자 입장에서 리스크를 회피하고 기회를 포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섹터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4.1 방위산업(Defense)전쟁 상황에서 가장 직관적인 수혜 업종이다. 군수물자와 무기체계 수요가 증가하면서 방산업체의 실적 기대치가 상승한다. 미국의 Lockheed Martin, RTX, Northrop Grumman 등이 대표적인 방산 기업이며, 국내에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국항공우주, LIG넥스원 등이 있다.4.2 에너지(원유 및 천연가스)중동 지역의 지정학 리스크는 원유 공급에 대한 불안정성으로 이어지고, 이는 유가 상승을 통해 에너지 관련 기업들의 수익성 확대를 유도한다. ExxonMobil, Chevron, Occidental Petroleum 등이 대표적인 수혜 종목이다. 에너지 섹터 ETF인 XLE 역시 관심을 받을 수 있다.4.3 원자재 및 광업(Commodities)전쟁은 안전자산 선호를 자극하며 금, 구리, 철강, 희토류 등 주요 원자재 가격을 끌어올리는 경향이 있다. Newmont Corporation(금광업), Freeport-McMoRan(구리), BHP, Rio Tinto(종합광업) 등이 대표적이다.4.4 인프라 및 중장비전쟁 이후 재건 및 방어 인프라 구축 수요가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Caterpillar, Deere & Co., Vulcan Materials 같은 중장비·건자재 기업들이 주목받는다. 장기적으로는 에너지·방산 인프라 수요와 맞물려 긍정적인 수혜가 기대된다.4.5 주의해야 할 업종 – 항공, 여행, 소비재전쟁과 유가 상승은 항공사의 연료비 증가, 여행 수요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단기적으로는 항공·여행 업종과 일부 소비재 유통주에 부정적인 영향이 예상된다.5. 결론이스라엘-이란 전쟁은 단기간에 그치지 않고 중동 전체, 나아가 세계경제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대한 지정학 이벤트다. 에너지 시장의 불안정성과 유가 급등, 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 인플레이션 압력 등 복합적인 리스크가 동반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안정성과 수익 가능성을 동시에 고려한 섹터 중심의 전략을 취해야 한다.따라서 단기적으로는 방산, 에너지, 원자재 같은 방어적이면서도 수혜가 기대되는 섹터에 주목해야 하며, 동시에 항공·여행·소비 관련주는 비중을 줄이거나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향후 전쟁의 확산 여부와 국제사회의 대응, 중앙은행의 정책 방향에 따라 전략을 유연하게 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Compliance Note]• 셀스마트의 모든 게시글은 참고자료입니다. 최종 투자 결정은 신중한 판단과 개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함을 알려드립니다.• 게시글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수익과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코어16은 본 글에서 소개하는 종목들에 대해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 매수 또는 매도할 수 있습니다.
article
중립
중립
NONE
종목 없음
user
셀포터즈 서지훈
·
1개월 전
0
0
차트는 의미 없다고? 보조지표 툴을 알려줄게(1)
오늘은 제가 실제로 활용하는 보조지표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이러한 보조지표들로 주가의 과매도 및 과매수, 추세의 전환을 알아볼 수 있죠.이 중 오늘은 MACD, RSI, 스토캐스틱 세 가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MACD — 추세의 진짜 힘을 보여주는 지표"이게 진짜 상승장일까? 아니면 그냥 잠깐 튀는 걸까?"MACD는 그런 의문에 답을 줍니다.💡 MACD란?MACD는 단기와 장기 평균선의 차이를 통해 현재 주가의 '진짜 흐름'을 파악하는 지표입니다.MACD선: 12일 EMA - 26일 EMASignal선: MACD선의 9일 EMA히스토그램: MACD선과 시그널선의 차이 → 추세의 강도 시각화📈 이렇게 보면 쉬워요MACD선이 Signal선을 위로 돌파 → 매수 신호아래로 돌파 → 매도 신호히스토그램이 커지면 → 추세 강해짐🙋‍♂️ 이럴 때 쓰세요!장기적인 흐름이 궁금할 때지금이 추세 전환 시점인지 알고 싶을 때2. RSI — 주가의 체력 체크 지표"이 주식 너무 달렸는데? 과열 아냐?"그걸 수치로 보여주는 게 RSI입니다.💡 RSI란?최근 14일 간의 가격 상승과 하락을 비교해서, 지금이 과매수(과열)인지 과매도(저평가)인지를 수치화한 지표예요.RSI 수치는 0~100 사이70 이상 = 과매수30 이하 = 과매도📈 이렇게 보면 쉬워요RSI 80? → “잠깐, 너무 과열됐을 수도 있어”RSI 20? → “오히려 반등 구간일 수도 있겠는데?”🙋‍♀️ 이럴 때 쓰세요!매수/매도 타이밍 잡을 때주가가 너무 오른 것 같은 느낌이 들 때3. 스토캐스틱 — “속도감”을 체크하는 지표“최근 며칠 사이에 주가가 너무 치고 올라왔어.”스토캐스틱은 그 '속도감'을 보는 도구예요.💡 스토캐스틱이란?현재 가격이 일정 기간 내에서 어느 위치에 있는지 퍼센트로 보여주는 지표예요. 예를 들어 14일 기준으로 본다면:%K = 지금 가격이 고점~저점 사이 몇 % 지점인가%D = %K의 이동 평균 → 교차점을 신호로 활용📈 이렇게 보면 쉬워요%K가 %D를 위로 뚫고 가면 → 매수%K가 %D를 아래로 뚫고 가면 → 매도80 이상 = 과매수 / 20 이하 = 과매도🙋‍♂️ 이럴 때 쓰세요!단기 매매할 때 빠른 신호를 잡고 싶을 때RSI보다 예민하게 반응하는 지표를 찾을 때🎁 마지막 팁!이 세 가지 지표는 단독으로 보기보다는 조합해서 볼 때 훨씬 더 정확해져요.예를 들어:RSI + MACD → 추세 전환 + 과매수 상태 체크스토캐스틱 + 캔들 → 매수 타점 타이밍 잡기 굿![Compliance Note]• 셀스마트의 모든 게시글은 참고자료입니다. 최종 투자 결정은 신중한 판단과 개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함을 알려드립니다.• 게시글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수익과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코어16은 본 글에서 소개하는 종목들에 대해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 매수 또는 매도할 수 있습니다.
article
중립
중립
NONE
종목 없음
user
셀포터즈 서지훈
·
1개월 전
1
0
???: 아니, 이럴거면 급등주 탔지,,,
1. MACD 분석🔹 4시간봉 기준MACD 라인 < 시그널 라인, 음수 영역에서 횡보 중.최근 히스토그램의 음봉이 줄어들고 있음 → 하락 모멘텀 약화.단기적 데드크로스 이후 과매도 상태에서 반등 시도 조짐.의미: 매도세는 일시적이나, 본격적인 상승 전환까지는 추가 확인 필요.🔹 1일봉 기준MACD 라인과 시그널 라인이 벌어져 있음, 여전히 하락 추세.히스토그램도 음봉 지속 중이나 감소하는 형태 → 하락 속도 둔화.지난 4월 중순 데드크로스 이후 하락 추세가 장기화됨.의미: 중기적 하락 추세 지속. MACD 골든크로스 발생 전까지 관망이 유리.🔹 1주일봉 기준MACD 라인과 시그널 라인 모두 하락 → 장기 추세의 약세 지속.주간 히스토그램은 6주 연속 음봉 → 추세 전환은 아직 멀었음.의미: 장기 하락 국면이 확고하며, 중장기 포트폴리오 조정 필요성 제기.2. RSI🔹 4시간봉 기준RSI: 37~41 사이에서 횡보.의미: 과매도 해소 국면으로 진입, 단기 반등 여력 존재.가격이 295~300선에서 방어되면 RSI 상승 여지 → 단기 스윙 매매 가능성.🔹 1일봉 기준RSI: 33.4, 최근 1년 중 가장 낮은 수준 중 하나.의미: 뚜렷한 과매도 국면. 반등 가능성 존재, 그러나 거래량 수반 필요.하락이 과도했음을 의미하며, 기술적 리바운드 시그널로 해석 가능.🔹 1주일봉 기준RSI: 40 초반, 중장기 기준으로는 아직 과매도 아님.다만 하락 추세가 이어지면서 장기적 피로 누적.의미: 장기 투자자 관점에서는 매수 유보 필요. 완전한 반등 구조 아님.3. 스토캐스틱🔹 4시간봉 기준%K: 18, %D: 23 → 과매도권 (20 이하)최근 골든크로스 직전 → 단기 반등 시그널.의미: 기술적 매수 포인트로 진입 가능성 높음.🔹 1일봉 기준%K: 21, %D: 29 → 여전히 과매도권2주 연속 낮은 레벨 유지, 하락 지연 상태.단기 강세 전환 기대감 존재하나, 거래량 부족이 문제.🔹 1주일봉 기준%K: 35, %D: 40 → 중립 구간.2025년 1분기 이후 하락을 이어오다, 이제는 하락 모멘텀 둔화.의미: 장기 저점 탐색 중, 본격 상승 전환까지는 시일 필요.🎯 결론UNH의 현재 차트 구조는 단기적으로 과매도 국면에서 반등을 시도할 수 있는 환경을 형성 중임.특히 RSI와 스토캐스틱은 반등의 초기 시그널을 보내고 있으며,MACD는 추세 전환 직전의 모습을 보이고 있음.그러나 일봉 및 주봉 기준에서는 아직 뚜렷한 상승 시그널이 부족하여,기술적 반등이 나온다 하더라도 강한 추세 전환으로 보기엔 무리가 있음.단기 투자자: $295~305 구간에서 기술적 매수 시도 가능중기 투자자: MACD 골든크로스 발생 이후 추세 추종 고려장기 투자자: 바닥 확인 후 분할매수 전략 권장[Compliance Note]• 셀스마트의 모든 게시글은 참고자료입니다. 최종 투자 결정은 신중한 판단과 개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함을 알려드립니다.• 게시글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수익과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코어16은 본 글에서 소개하는 종목들에 대해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 매수 또는 매도할 수 있습니다.
article
매도
매도
UNH
UnitedHealth Group
user
셀포터즈 서지훈
·
1개월 전
0
0
???: 국장은 장소가 아니라 대한민국 투자자의 밀집도에 따라 나뉜다.
📌 TSLL 기술적 지표 분석본 보고서는 TSLL ETF의 최근 가격 흐름을 4시간, 1일, 1주일 단위로 나누어 기술적 지표 중심으로 분석함. (25/05/24)🚩 1. 4시간 봉 기술적 분석① 이동평균선(MA)4시간 봉 기준 TSLL은 최근 단기 이동평균선(5, 10)이 하락 반전을 시작했음.특히 5일 이동평균선이 10일 이동평균선을 하향 돌파하는 데드크로스를 보였으며, 이는 단기적으로 매도 압력이 강해지고 있음을 의미함.현재 주가는 이동평균선 아래 위치하여 추가 하락 가능성이 높음.② RSI(Relative Strength Index)4시간 봉 RSI는 약 43 수준으로 하락하는 추세에 있으며, 과매도 영역(30 이하)까지는 아직 여유가 있으나 단기적으로 하락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큼.③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4시간 봉 MACD 히스토그램이 음수로 전환된 이후 점차 하락폭을 키우는 중이며, MACD선이 시그널선을 하향 이탈함.단기 하락 모멘텀이 강화되고 있는 모습임.④ 볼린저 밴드(Bollinger Bands)볼린저 밴드 하단을 하향 돌파한 이후 주가가 밴드 하단을 타고 지속적으로 하락 중임.변동성은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하단 돌파로 인한 추가 하락 위험성이 높아졌음.⑤ 스토캐스틱(Stochastic Oscillator)스토캐스틱 지표는 현재 과매도 영역(20 이하) 근처에서 머물고 있지만 아직 상승 전환 신호는 발생하지 않았음.따라서 하락이 조금 더 지속된 후 반등 시도를 할 가능성이 높음.4시간 봉 결론4시간 봉으로 보았을 때, TSLL은 단기적으로 명확한 하락 추세가 형성됨.당분간 추가 하락 가능성이 높으므로 매수 진입보다는 조정 마무리 신호가 나타난 이후를 기다려야 함.🚩 2. 1일 봉 기술적 분석① 이동평균선(MA)일간 차트 기준에서는 단기 이동평균선(5, 10)은 이미 하향 돌파된 상태이며, 중기 이동평균선(20일, 50일)은 아직 상향 추세를 유지하고 있음.중기 지지선이 가까이 위치하여 이 부근에서 지지력을 시험할 가능성이 높음.② RSI(Relative Strength Index)일간 RSI는 약 51로 중립 수준을 보이고 있으나 최근 하락세로 전환된 상태임.RSI가 중립선 근처에서 다시 하락 반전하는 모습이므로 중기적으로 추가 조정 가능성을 시사함.③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MACD는 최근 데드크로스를 형성한 이후 시그널선 아래로 하락하면서 지속적인 하락 모멘텀을 보여줌.MACD 히스토그램도 계속 음수 영역에서 확장되며 중기 하락 압력이 증가함.④ 볼린저 밴드(Bollinger Bands)일간 볼린저 밴드에서 주가는 중간선(20일 이동평균선) 아래로 하락 돌파함.추가 하락이 이어질 경우 밴드 하단부까지 내려갈 가능성이 있어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음.⑤ 스토캐스틱(Stochastic Oscillator)스토캐스틱 지표는 과매수 영역에서 하락한 이후 중립 구간에서 계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음.아직 과매도 영역까지는 도달하지 않아 추가 하락 여지가 남아 있음.1일 봉 결론일간 기준으로 중기 이동평균선이 지지선을 형성하고 있으나 하락 압력이 강력히 작용하고 있음.따라서 일간 기준에서도 단기 조정 국면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이며, 안정적 매수는 중기 이동평균선 지지선 근처에서의 지지 확인 후 진입하는 전략이 좋음.🚩 3. 1주일 봉 기술적 분석① 이동평균선(MA)주간 차트에서 장기 이동평균선(50주, 100주)은 상향 중이며 주가는 아직 이들 이동평균선 위에서 유지됨.장기 상승 추세가 여전히 유지되는 상황이므로 장기 관점에서는 긍정적임.② RSI(Relative Strength Index)주간 RSI는 58 수준으로 강세 영역 내에서 유지 중임.최근 하락이 있었지만 RSI는 여전히 장기 상승 추세 내에 있어 중장기적으로 추가 상승 여력이 있음.③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주간 MACD는 시그널선 위에 있으며 아직 상승 추세를 유지 중이지만, 최근 히스토그램의 증가폭이 감소하고 있음.이는 장기 상승 추세 속에서 일부 조정 가능성을 보여줌.④ 볼린저 밴드(Bollinger Bands)주간 볼린저 밴드에서 주가는 중간선 위에서 움직이고 있으며, 최근 볼린저 밴드 중간선까지 하락했지만 아직 지지받고 있는 상태임.중장기적으로 밴드 중간선 지지 여부가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될 것임.⑤ 스토캐스틱(Stochastic Oscillator)스토캐스틱 지표는 중립 구간(50~60)에서 횡보 중이며 명확한 방향성을 보이지 않고 있음.이는 현재의 가격 수준이 장기적인 균형 상태에 가까워 추가 상승과 하락 가능성이 모두 존재함을 시사함.1주일 봉 결론장기적인 관점에서 TSLL의 상승 추세는 여전히 유지되고 있으며, 현재의 하락세는 단기 조정으로 해석될 가능성이 큼.주간 단위에서 주요 지지선이 유지되는 한 장기 상승 가능성은 유지될 것임.📌 종합적 결론 및 전략적 제안단기(4시간): 명확한 하락 추세이며 추가 하락 가능성이 높아 신중한 접근이 필요함.중기(1일): 중기 지지선 테스트 중이며, 지지선에서 반등 여부 확인 후 진입하는 전략이 필요함.장기(1주): 장기 상승 추세 유지, 현재 조정은 장기적 매수 기회로 볼 수 있음.전략적으로 단기 매수보다는 중장기 관점에서 지지선 반등 확인 후 점진적 매수 접근이 효과적임.테슬라의 근본적 성장성이 여전히 견고하다는 점에서 장기 투자자들에게는 긍정적인 투자 기회로 판단됨.TSLL의 특성상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철저한 리스크 관리와 분할 매수 전략을 병행하여 시장의 변동성에 대응할 필요가 있음.📊 테슬라(TSLA) 재무 분석TSLL의 기초 자산인 테슬라(TSLA)의 재무 상태는 TSLL의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따라서 테슬라의 재무 분석은 TSLL 투자에 있어 중요함.2024년 테슬라의 총 매출은 약 976억 달러로, 전년 대비 소폭 증가하였음 .그러나 순이익은 약 71억 달러로, 전년 대비 감소하였음.이는 전기차 시장의 경쟁 심화와 생산 비용 증가 등의 요인에 기인함.테슬라는 2024년 말 기준 약 336억 달러의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전년 대비 증가한 수치임.이는 회사의 유동성 측면에서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음.또한, 테슬라는 자율주행 기술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 등 새로운 사업 분야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음.이는 장기적인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음.🧠 결론 및 투자 전략TSLL은 테슬라 주가의 2배 변동을 추종하는 레버리지 ETF로, 단기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함.그러나 레버리지 ETF 특성상 변동성이 크고, 장기 보유 시 손실 위험이 증가할 수 있음.테슬라의 재무 상태는 안정적인 현금 흐름과 새로운 사업 분야에 대한 투자를 통해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음.그러나 순이익 감소와 같은 단기적인 리스크도 존재함.따라서 TSLL에 투자할 경우, 단기적인 기술적 지표를 면밀히 분석하고, 테슬라의 재무 상태와 시장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함.또한, 투자 기간과 목표 수익률에 따라 적절한 리스크 관리 전략을 수립해야 함.[Compliance Note]• 셀스마트의 모든 게시글은 참고자료입니다. 최종 투자 결정은 신중한 판단과 개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함을 알려드립니다.• 게시글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수익과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코어16은 본 글에서 소개하는 종목들에 대해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 매수 또는 매도할 수 있습니다.
article
매도
매도
TSLA
Tesla
user
셀포터즈 서지훈
·
1개월 전
2
0
사람들이 죽어야 돈을 버는 회사?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기술적 분석 리포트(2025년 5월 21일 기준)분석 기준: 주가 차트(일봉, 주봉), 주요 지표(MACD, RSI, 거래량), 최근 공시 및 기업 실적🧭 1. 시장 개요 및 현재 위치현재 주가: 849,000원 (2025년 5월 21일 종가 기준)52주 최저가: 207,931원52주 최고가: 899,000원최근 변동성: 5월 21일 기준 전일 대비 +4.17% 상승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최근 1년간 약 274%의 수익률을 기록하며 강한 상승세를 보임.이는 방산 수출 확대와 항공우주 산업 성장에 따른 실적 개선이 주된 요인으로 작용.📊 2. 일봉 차트 분석 (단기 관점)🔹 가격 흐름5월 초 890,000원 고점을 기록한 후 조정을 거쳐 현재 849,000원 수준에서 거래 중최근 3일간의 거래량 증가와 함께 주가 반등이 나타나고 있음.🔹 기술적 지표MACD: 신호선과의 골든크로스 발생 후 상승세 지속RSI: 70을 상회하며 과매수 구간 진입거래량: 최근 3일간 평균 거래량 대비 1.5배 증가🔹 해석단기적으로 주가는 과매수 구간에 진입했으나, 거래량 증가와 함께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음. 다만, 단기 조정 가능성도 염두에 둘 필요가 있음📆 3. 주봉 차트 분석 (중장기 관점)🔹 가격 구조2024년 초 이후 지속적인 상승 추세를 유지하며, 주봉 기준으로도 강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음.현재 주가는 주봉 차트 상단 밴드에 근접🔹 기술적 지표MACD: 양의 히스토그램 지속, 상승 모멘텀 유지RSI: 75 수준으로 과매수 구간 진입🔹 해석중장기적으로 상승 추세는 유효하나, 과매수 구간에 진입함에 따라 일부 조정 가능성도 존재함.📊 4. 실적 및 펀더멘털 요약2024년 매출: 11조 2,462억 원 (전년 대비 +43%)2024년 영업이익: 1조 7,247억 원 (전년 대비 +190%)2025년 예상 매출: 30조 원2025년 예상 영업이익: 3조 원PER(2024년 기준): 17.36배PBR: 7.41배배당수익률: 0.43%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방산 수출 확대와 항공우주 산업 성장에 힘입어 실적이 크게 개선되었음. 특히, 2025년에는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대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 5. 종합 평가단기 관점: 과매수 구간 진입으로 단기 조정 가능성 존재중기 관점: 상승 추세 유지, 실적 개선에 따른 추가 상승 여력 존재리스크 요인: 과매수 상태 지속, 글로벌 방산 수요 변동성🎯 6. 향후 시나리오별 전략📌 시나리오 1: 상승 지속조건: 900,000원 돌파 및 거래량 증가전략: 추격 매수보다는 조정 시 분할 매수 고려📌 시나리오 2: 조정 발생조건: 과매수 해소 및 거래량 감소전략: 820,000원 지지 여부 확인 후 대응📌 시나리오 3: 추세 전환조건: 750,000원 이탈 및 거래량 급감전략: 보유 비중 축소 및 리스크 관리 강화✅ 8. 결론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방산 수출 확대와 항공우주 산업 성장에 힘입어 강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음. 단기적으로는 과매수 구간에 진입하여 조정 가능성이 있으나, 중장기적으로는 실적 개선과 산업 성장에 따른 추가 상승 여력이 존재함. 투자 시 단기 변동성에 유의하며, 중장기 관점에서의 접근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됨.[Compliance Note]• 셀스마트의 모든 게시글은 참고자료입니다. 최종 투자 결정은 신중한 판단과 개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함을 알려드립니다.• 게시글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수익과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코어16은 본 글에서 소개하는 종목들에 대해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 매수 또는 매도할 수 있습니다.
article
매도
매도
012450
한화에어로스페이스
user
셀포터즈 서지훈
·
2개월 전
0
0
BTC 시즌종료인가? 건전한 조정인가?(4)
시장 개요 및 전략수립2025/05/10 19:00 작성비트코인은 2025년 5월 현재 약 103,800달러 부근에서 거래되고 있으며,이는 지난 3월 말~4월 초의 저점(약 73,000달러) 대비 약 42% 상승한 수준이다.이번 상승은 주요 지지선을 이탈하지 않고 반등한 구조이며,특히 일봉 및 주봉 기준에서 보이는 강한 상승 채널 안에서 정교하게 움직이고 있음이 특징이다.현재 위치는 중장기 상승 채널의 상단에 근접하며, 기술적으로는 이전 고점 영역을 재돌파하고 새로운 고점권 진입을 시도하는 구조다.📊 차트 기반 구간 분석📌 1. 4시간봉 분석 – 단기 흐름 및 단기 피로도 측정비트코인은 4월 중순 이후 급격한 상승세를 보이며, 현재 103K대를 돌파하고 고점부를 재차 테스트 중.주요 채널 상단 저항선은 현재 가격 부근에 위치하며, 이 구간에서 단기 가격 정체와 매도 압력이 확인되고 있다.🔍 보조지표 해석 (4시간봉 기준)지표수치해석MACD(12,26)MACD: -2,893 / Signal: -2,741음의 모멘텀.반등 이후 피로 누적 가능성Stochastic RSI%K: 58.84 / %D: 45.95과매도 해소, 상승세 둔화.아직 재상승 신호는 아님해석:단기적으로는 고점 형성 직후 횡보 구간에 진입 중이며, 일부 이익 실현이 진행되는 구간으로 볼 수 있다.가격 상승에도 불구하고 모멘텀이 강하게 따라붙지 않는 점은 주의할 필요가 있다.📌 2. 일봉 분석 – 중기 추세 및 피보나치 구조일봉 기준으로 비트코인은 피보나치 0.618(약 95,000달러) 및 0.786(약 101,000달러)을 모두 상향 돌파했다.가격은 상단 저항인 108,000~112,000달러 구간을 향해 접근 중이다.이 구간은 과거 고점이자 피보나치 확장 1.0에 해당하는 구간으로, 심리적 + 기술적 저항이 동시에 존재한다.🔍 보조지표 해석 (일봉 기준)지표수치해석MACDMACD: 3,835 / Signal: 3,168골든크로스 지속. 상승 모멘텀 강함Stoch RSI%K: 97.75 / %D: 84.91과매수권 지속. 조정 가능성 상존해석:모멘텀 강세가 유지되고 있으며, 아직까지는 상승 추세를 부정할 근거는 없다.다만 RSI가 고점권에서 포화 상태에 있으며, 과거 유사한 상황에서 단기 조정이 자주 발생했음을 고려할 때 상승 탄력 약화 및 조정 대비는 필요하다.📌 3. 주봉 분석 – 장기 구조 및 시즌 종료 여부 판단BTC는 현재 장기 상승 채널(녹색 평행 채널)의 중심선을 상회한 상태로, 과거 2021년 고점 대비 유의미한 상승을 보여주고 있다.피보나치 기준 주요 저항은 1.618 레벨인 129,800달러이며, 이 구간은 중장기 목표가로 설정될 수 있다.주요 지지는 피보나치 0.382(약 82,000달러) 수준이며, 현재는 이보다 위에서 안정적으로 유지 중이다.🔍 보조지표 해석 (주봉 기준)MACD: 3,872 / Signal: 4,970데드크로스 유지 중이나, 히스토그램은 약한 회복세 Stoch RSI%K: 77.00 / %D: 54.85중립권에서 상방 돌파 시도해석:주봉 지표에서 상승 시그널이 명확히 관찰되진 않지만, 모멘텀 반등이 점진적으로 나타나고 있다.장기 트렌드는 여전히 상승 구조를 유지하며, 고점 갱신 실패 및 추세선 이탈이 확인되기 전까지는 시즌 종료로 보기는 어렵다.📌 종합 분석: 구조적 정렬MACD 흐름(1D) 골든크로스, 상승 중강세 유지(1W) 데드크로스 → 회복 시도 모멘텀 약세에서 전환 시도 중Stoch RSI(1D) 과매수권단기 조정 리스크 존재 Stoch RSI(1W) 중립 이상추세 유지 가능📌 결론:비트코인은 현재 구조상 시즌 종료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다.단기 조정은 가능하나, 중장기 상승 구조는 유지되고 있다.단, 108K~112K 저항 돌파 실패 + 지표 약세 전환 시, 시즌 종료 가능성이 점증할 수 있다.🔮 향후 시나리오별 전략 제안📌 시나리오 1: 고점 돌파 및 지속 상승 (강세 지속)조건: 거래량 동반 상승, 피보나치 1.0 구간 돌파타겟: 112K → 120K → 129K전략: 눌림목 또는 강세 돌파 시 진입, 손절선 98K 이탈📌 시나리오 2: 단기 과열 조정 (건강한 리셋)조건: RSI 과열, 103K 이하 반락지지선: 98K / 89K / 82K전략: 하락 시 분할 매수 전략, 상승 추세선 유효 시 보유📌 시나리오 3: 시즌 종료 및 하락 전환 (약세 확정)조건: 82K 하방 이탈, 주봉 MACD 약세 심화목표: 74K → 60K전략: 포지션 축소 및 현금 비중 확대✅ 최종 요약2025년 5월 현재 비트코인은 명확한 상승 추세를 유지하고 있으며,기술적 구조상 “시즌 종료”라고 판단하기에는 부적절하다.단기적으로는 과열 상태에서 조정이 나올 수 있는 구간에 있음중장기 상승 구조는 유지되고 있으며, 피보나치 확장 목표는 129,800달러시즌 종료 여부는 108K~112K 구간에서의 반응과지표 전환 여부에 따라 결정될 것[Compliance Note]• 셀스마트의 모든 게시글은 참고자료입니다. 최종 투자 결정은 신중한 판단과 개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함을 알려드립니다.• 게시글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수익과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코어16은 본 글에서 소개하는 종목들에 대해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 매수 또는 매도할 수 있습니다.
article
중립
중립
BTC
Bitcoin
user
셀포터즈 서지훈
·
2개월 전
0
0
BTC 시즌종료인가? 건전한 조정인가?(3)
비트코인(BTC) 시장 분석 리포트2025년 5월 첫째 주 기준 | 작성자: 서지훈🔹 서론2025년 5월 첫째 주, 비트코인은 약 96,000달러 선에서 거래되고 있다.이 가격대는 2024년 하반기부터 형성된 상승 사이클의 연장선상에 있으며, 주요 저항인 99,053달러 부근에 근접한 상태다.시장 참여자들은 지금이 “시즌 종료”에 해당하는 국면인지, 아니면 단기 조정 후 재상승을 위한 구간인지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본 리포트는 4시간봉, 일봉, 주봉 차트를 기반으로 기술적 흐름을 분석하고, 객관적 지표 데이터를 바탕으로 단기 및 중장기 관점에서 “비트코인 시즌이 종료되었는지”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현재 시장 위치▫️ 실시간 가격가격(2025년 5월 03일): 약 96,210달러최근 고점: 97,865달러주요 저항: 99,053.4달러다음 주요 저항: 112,110.7달러가까운 지지선: 81,567.9달러[BTC 1D][BTC 4h]🔹 단기 분석 (4시간봉 및 일봉 기준)▫️ 가격 패턴 및 추세비트코인은 최근까지 이어졌던 중단기 하락 채널(녹색)을 상방 돌파한 뒤, 단기간에 약 15%가량 상승하며 96K 부근에 도달했다.기술적으로는 돌파 이후 조정을 거치지 않고 고점 부근까지 빠르게 도달하였기에, 단기 과열 상태가 감지된다.▫️ 보조 지표 분석➤ MACD (4시간봉 기준)MACD선: 675.2Signal선: 973.7히스토그램: 음봉 전환, 하락세 지속✅ 해석: MACD는 데드크로스 상태이며, 상승 모멘텀 약화 중➤ Stochastic RSI (4시간봉 기준)%K = 8.83, %D = 5.89과매도권에서 반등 시도✅ 해석: 단기적으로 반등 가능하나, 전체적인 추세는 둔화➤ 일봉 기준MACD: 3,144.8 / 2,684.3 → 골든크로스 유지, 상승 추세Stoch RSI: 95.10 / 91.22 → 과매수권 진입✅ 해석: 일봉 기준 상승 추세 유효, 그러나 과매수 상태로 전환 국면 근접🔹 중장기 분석 (주봉 기준)▫️ 가격 구조비트코인은 장기 상승 채널(파란색) 내에서 움직이고 있으며, 상단 저항대에 접근 중이다.2021년 고점 부근과 유사한 구조가 반복되고 있으며, 현재는 고점 테스트 중이다.▫️ 보조 지표 분석➤ MACD (주봉 기준)MACD선: 2,164.4Signal선: 3,047.0히스토그램: 음봉, 지속적 감소✅ 해석: 장기 모멘텀 약화. MACD 데드크로스 상태 지속➤ Stochastic RSI (주봉 기준)%K: 55.19%D: 35.41중립 영역에서 상승 방향✅ 해석: 상승 재개 가능성 존재하나, 강세 확정은 아님🔹 기술적 시즌 종료 조건시즌이 종료되었다는 기술적 판단은 다음과 같은 조건 하에 내려질 수 있다:조건설명[현재 상태]1. 주요 고점 돌파 실패, 99,053달러 저항 돌파 실패 시 고점 형성 가능돌파 전2. 단기 지표 전환MACD 데드크로스, Stoch RSI 하락일부 충족3. 장기 추세 이탈주봉 상승 채널 이탈아직 없음4. 주봉 MACD 데드크로스모멘텀 전환이미 발생5. 거래량 감소상승 시 거래량 부진관찰 중🔹 시나리오 분석✅ 시나리오 A: 상승 지속 (시즌 미종료)조건: 99K 돌파 + 주봉 MACD 반등 + 거래량 동반 상승목표가: 112,110달러신호: 일봉 및 주봉 Stoch RSI가 과매수권 진입 후 유지✅ 시나리오 B: 단기 고점 후 조정 (시즌 일시 정지)조건: 99K 근처에서 매도세 유입, 90K 이하로 하락지지선: 88K, 85K, 81K기술적 구조 유지, 재상승 기반 확보 가능✅ 시나리오 C: 시즌 종료조건: 99K 돌파 실패 + 주봉 MACD 지속 약세 + 81K 이탈결과: 중장기 고점 확정 가능성 → 하락 사이클 진입🔹 결론비트코인은 현재 가격대에서 상승장의 연속 여부와 종료 여부를 가늠할 수 있는 분기점에 위치해 있다.기술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상태다:단기적으로는 과열 상태에 진입하였고, MACD 둔화 및 RSI 과매수로 인해 조정 리스크가 존재한다.중장기적으로는 상승 채널을 이탈하지 않았으며, 주봉 MACD는 약세지만 Stoch RSI는 반등 여지를 보여주고 있다.따라서 시즌이 종료되었다고 확정할 수는 없으며, 향후 99K 저항 돌파 여부가 핵심 분기점으로 작용할 것이다.🔹 전략 제안📍 단기 전략현재 구간은 추격 매수 비추천조정 시 88K, 85K, 81K 구간에서 분할 매수 고려MACD 및 Stoch RSI 반등 여부 확인 후 재진입📍 중장기 전략보유자는 포지션 유지 가능하나, 99K 돌파 실패 시 일부 익절 고려돌파 성공 시 112K까지 상승 여지 존재주봉 MACD와 RSI 모멘텀 변화 지속 모니터링 필요✅ 결론 요약단기: 기술적 과열 신호 존재, 조정 가능성 있음중기: 상승 구조 유지 중, 종료 신호는 일부 관찰결정 포인트: 99,053달러 돌파 여부현재는 시즌 종료가 "확정된 상태는 아니며",결정적 분기점에 도달한 상태이다.[Compliance Note]셀스마트의 모든 게시글은 참고자료입니다. 최종 투자 결정은 신중한 판단과 개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함을 알려드립니다. 게시글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수익과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코어16은 셀스마트 게시글에서 소개하는 종목들에 대해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 매수 또는 매도할 수 있습니다.
article
중립
중립
BTC
Bitcoin
user
셀포터즈 서지훈
·
2개월 전
0
0
BTC 시즌종료인가? 건전한 조정인가?(2)
1. 서론: 시장의 현 위치비트코인은 2025년 4월 현재, 94,000~94,200달러 선에서 거래되고 있다.이는 2024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강력한 상승 흐름의 연장선상에 있는 가격대이며, 많은 투자자들이 대세 상승 지속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상황이다.최근 몇 달간의 상승은 ETF 승인, 기관 수요 증가,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정성 등 다양한 거시적 요인과 맞물려 강한 모멘텀을 형성했으나, 가격이 심리적 저항대에 도달하면서 피로감 또한 누적되고 있다.이 리포트에서는 비트코인 차트를 기반으로 단기적 흐름과 중장기 전망을 종합 분석하고, 향후 시즌 종료 가능성과 투자 전략까지 제시한다.2. 단기 분석: 과열 신호와 조정 리스크2.1 기술적 지표 분석4시간봉 차트 관점:비트코인은 하락 추세 채널(녹색 평행 채널)을 상방 돌파한 이후, 빠르게 94K 구간까지 상승하였다. 그러나 추세 돌파 이후 강한 매수세가 지속되지 못하는 모습이 감지되고 있다.MACD는 이미 고점 신호를 보내며 데드크로스 초입에 있으며, Stochastic RSI 역시 과매수권(80~100)에서 하락 반전을 시도하고 있다.일봉 차트 관점:일봉 기준으로도 Stochastic RSI는 97 이상에 도달하여 명확한 과매수 신호를 보이고 있다. 일봉 MACD는 아직 상승 중이나, 히스토그램 증가폭이 둔화되면서 모멘텀 약화 조짐을 보인다.2.2 가격 패턴과 저항현재 가장 중요한 저항선은 99,053달러이다.이는 과거 주요 고점 구간이며, 현재의 상승 사이클에서는 '1차 목표'로 인식되고 있다.이 구간은 단순 심리적 저항뿐 아니라 기술적으로도 다중 저항대가 겹치는 영역으로, 단기적으로는 상당한 매도 압력이 예상된다.2.3 단기 결론단기적 관점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과열 지표가 다수 포착되고 있으며,가격은 강한 저항대 근처에 위치하고 있으며,매수 세력의 추가 동력은 점차 약화되고 있다.이에 따라,단기적으로는 조정(가격 하락) 가능성이 매우 높다.조정 시 주목할 가격대는 88,000달러, 85,000달러 부근이다.3. 중장기 분석: 상승장의 지속 가능성3.1 기술적 지표 분석주봉 차트 관점:주봉 MACD는 아직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히스토그램 또한 플러스를 유지하고 있으나, 그 증가 속도는 둔화되고 있어 향후 방향성 전환 가능성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Stochastic RSI는 고점권에 도달한 이후 약간의 하락 기울기를 보이지만, 여전히 50 이상을 유지 중이다.3.2 가격 구조 분석현재 주봉상에서 비트코인은 중장기 상승 채널(파란색 채널) 상단에 근접하고 있다.특히, 99,053달러를 뚫을 경우 다음 타겟은 112,110달러까지 열리게 된다.이는 대략 추가 18~20% 상승 여력을 의미한다.반면, 99K 저항을 돌파하지 못할 경우, 현재까지의 상승 사이클이 중장기 고점으로 작용할 가능성 또한 존재한다.특히 실패 후 하락세가 가팔라질 경우, 심리적 지지선인 85K, 80K 부근 테스트 가능성이 대두될 것이다.3.3 중장기 결론주봉상 상승 추세는 여전히 유효하며,주요 저항 돌파 여부가 대세 방향을 결정할 것이다.따라서 현재 단계는 시즌 종료 확정이 아니라 "변곡점 진입"으로 해석하는 것이 정확하다.4. 시즌 종료 가능성 평가시즌 종료를 판단하는 핵심 요건은 다음과 같다:가격 기준:99K 돌파 실패 + 하락 전환하락 시 88K, 85K 주요 지지 이탈 여부모멘텀 기준:주봉 MACD 데드크로스 발생주봉 Stochastic RSI 50 이탈 및 하방 가속현재까지는 이들 조건이 완전히 충족되지는 않았으나, 단기 조정 후 진행될 가격 흐름에 따라 시즌 종료 가능성이 빠르게 높아질 수 있다.즉, "현재 시즌 종료는 아니다" → 그러나 "시즌 종료 리스크는 점진적으로 증가 중"이라고 볼 수 있다.5. 전략적 제언5.1 단기 트레이딩 전략현재 구간(94K)에서 무리하게 롱 포지션 추가 진입은 리스크가 크다.조정 예상 구간(88K~85K)에서 저점 매수 시도를 고려하되, 스톱로스를 엄격하게 설정할 것.99K 돌파 시 롱 추가 진입 고려 가능. (단, 돌파 후 안착 여부 반드시 확인)5.2 중장기 투자 전략현재 포지션 유지 가능하나, 99K 저항 돌파 실패 시 리밸런싱 준비 필요.추가 상승 목표는 112K 부근으로 설정하되, 도달 시 분할 매도 전략을 추천.주봉 MACD, Stochastic RSI의 방향 전환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것.6. 최종 종합 정리현재 비트코인 시장은 "단기 과열 해소 + 중장기 상승 지속 가능성 테스트"라는 복합적인 국면에 진입해 있다.단기적으로는 조정이 유력하지만, 중장기 추세는 여전히 살아 있으며, 결정적인 분수령은 99,053달러 저항선이다.99K를 강하게 돌파하고 안착할 경우, 비트코인은 다음 사이클 목표가인 112K까지 상승할 여력을 확보할 것이다.반면, 돌파에 실패하고 하락 전환한다면, 현 상승 사이클은 마무리되고 본격적인 하락장이 시작될 수 있다.지금 이 시점은 추격 매수보다는 냉정한 관찰과 준비가 필요한 순간이다.[Compliance Note]• 셀스마트의 모든 게시글은 참고자료입니다. 최종 투자 결정은 신중한 판단과 개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함을 알려드립니다.• 게시글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수익과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코어16은 본 글에서 소개하는 종목들에 대해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 매수 또는 매도할 수 있습니다.
article
중립
중립
BTC
Bitcoin
user
셀포터즈 서지훈
·
2주 전
코스피, 단기 반등 속 숨은 리스크, 지금은 관망이 답인가?
article
중립
중립
226490
KODEX 코스피
user
셀포터즈 서지훈
·
3주 전
대한민국 코인의 왕. 업비트 그 미래는?
article
강한 매도
강한 매도
NONE
종목 없음
user
셀포터즈 서지훈
·
1개월 전
위기는 곧 기회
article
중립
중립
NONE
종목 없음
user
셀포터즈 서지훈
·
1개월 전
차트는 의미 없다고? 보조지표 툴을 알려줄게(1)
article
중립
중립
NONE
종목 없음
user
셀포터즈 서지훈
·
1개월 전
???: 아니, 이럴거면 급등주 탔지,,,
article
매도
매도
UNH
UnitedHealth Group
user
셀포터즈 서지훈
·
1개월 전
???: 국장은 장소가 아니라 대한민국 투자자의 밀집도에 따라 나뉜다.
article
매도
매도
TSLA
Tesla
user
셀포터즈 서지훈
·
1개월 전
사람들이 죽어야 돈을 버는 회사?
article
매도
매도
012450
한화에어로스페이스
user
셀포터즈 서지훈
·
2개월 전
BTC 시즌종료인가? 건전한 조정인가?(4)
article
중립
중립
BTC
Bitcoin
user
셀포터즈 서지훈
·
2개월 전
BTC 시즌종료인가? 건전한 조정인가?(3)
article
중립
중립
BTC
Bitcoin
user
셀포터즈 서지훈
·
2개월 전
BTC 시즌종료인가? 건전한 조정인가?(2)
article
중립
중립
BTC
Bitco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