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이 실제로 어떻게 작동하는지 이해하기 위한 3가지 핵심 개념
1️⃣ Market Capitalization — 진짜 중요한 절대 가격
많은 투자자들이 주가만 보면 그 회사가 비싼지 싼지 알 수 있다고 착각한다.
회사가 "상장"한다는 건 주인들이 "우리 피자를 조각으로 나눠 팔 테니, 사고 싶은 사람?"이렇게 외치는 것과 같다. 원래 주인들은 현금을 챙기고, 우리 같은 일반인들이 한 조각씩 사게 되는 것이다.
훌륭한 대기업도 상장 안 하는 곳이 많고, 별 볼 일 없는 회사도 상장하기도 한다. 어쨌든 원래 주인들은 돈을 좀 빼가는 셈이다.
스마트폰 주식 앱을 열어보면:
- Meta: 주당 $769
- Google: 주당 $202
-
...사실 이 숫자만으론 아무것도 알 수 없다.
놀랍게도 기업들은 주가를 마음대로 조정할 수 있다.
$769 주식이 $202 주식보다 "더 비싼" 게 아니다. 피자를 8조각으로 자르나 16조각으로 자르나 피자값은 똑같은 것처럼 말이다.
핵심은 조각이 총 몇 개나 되는지 아는 것이다. 계산은 간단하다:

[주가 × 발행 주식수 = 시가총액]
이게 바로 진짜 가격표 — 시장이 매긴 회사 전체의 가치다.
- Apple: $229/주 × 148.4억 주 = $3.4조 시가총액
- Elf Beauty: $101/주 × 5,600만 주 ≈ $57억 시가총액
$3.4조가 있다면 Apple을 통째로 살 수 있다 (물론 캘리포니아 세금은 악몽이지만).
Apple의 시가총액은 Elf Beauty의 무려 600배다 (Hailey Bieber에겐 미안한 얘기지만). 그래서 $1,000를 투자하면:
- Apple 지분 0.0000000294%
- Elf 지분 0.0000176%
시가총액 관점에서 사고하는 습관을 들이면 (그리고 내 투자금으로 얼마만큼의 지분을 살 수 있는지 계산하면), 주식 투자 결정이 확실히 똑똑해진다.
좀 더 쉽게 말하면 (...극단적으로 단순화하자면), 시장은 우리에게 이런 메시지를 던지는 셈이다: 트렌디한 뷰티 브랜드가 Apple보다 600배나 덜 중요하다고. 사람들이 Elf 제품에 $100 쓸 때 Apple 제품엔 $6,000를 쓴다는 얘기다.
그리고 Elf 주주가 되면, 같은 $1,000로 회사 지분을 600배나 더 많이 가질 수 있다. 이익과 성공에 대한 권리도 600배 더 많다는 뜻이다. 우리 뇌는 이런 규모를 제대로 이해하기 어렵지만, 최소한 개념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거대하고 성공한 기업은 절대 가격이 높고, 작고 평범한 기업은 절대 가격이 낮다. 같은 돈을 투자해도 내가 가질 수 있는 지분율은 회사 크기에 반비례한다.
2️⃣ P/E Ratio — 진짜 중요한 상대 가격
시가총액이 절대 가격이라면, P/E는 상대 가격이다 — 회사가 버는 돈 대비 얼마나 비싼지 보여주는 지표다.
- Apple P/E ≈ 30 → 회사가 1년에 $1 벌 때마다 $30 지불
- Palantir P/E ≈ 620 → 회사가 1년에 $1 벌 때마다 $620 지불
- Ball Corp P/E ≈ 4 → 회사가 1년에 $1 벌 때마다 $4 지불
$500를 투자하든 $100만을 투자하든 이 비율은 똑같이 적용된다.
높은 P/E는 "성장주", 낮은 P/E는 "가치주"라고 부른다.
어느 쪽이 더 좋다는 건 없다. 성장주는 흥미진진하지만 위험하고 (Tesla, Palantir), 가치주는 안정적이지만 지루하다 (유리병이나 치약 만드는 회사들). 하지만 오해하지 말자: 성장주라고 해서 실제로 더 빨리 성장한다는 뜻은 아니다. 그냥 수익 대비 더 비싸게 거래된다는 의미고, 가치주는 상대적으로 싸게 거래된다는 뜻이다.
3️⃣ Multiple Expansion — 가격이 변하는 원리
P/E 멀티플이 상승하면:
- 수익은 그대로인데 주가가 오른 경우 (투자자들이 미래 성장을 기대), 또는
- 주가는 그대로인데 수익이 줄어든 경우
P/E가 하락하면 그 반대다. 멀티플이 축소되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상대 가격을 움직이는 역학이다. 어떤 글로벌 트렌드나 미래 전망이 매력적으로 보이기 시작하면, 투자자들은 현재 수익 $1에 더 많은 프리미엄을 지불할 마음이 생긴다.
하지만 다른 투자 대안도 중요하다. 예를 들어 무위험 채권 수익률이 오르면? 투자자들은 이렇게 생각할 것이다 — "채권에서 보장된 수익을 얻을 수 있는데, 왜 똑같은 돈을 주고 주식을 사지?"
결국 멀티플은 회사와 직접 관련된 요인(AI 활용 계획 같은)과 전혀 무관한 요인(금리나 다른 투자처 수익률) 모두에 의해 확대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Nvidia의 시가총액은 최근 $4.5조로 폭증해 세계 최고 가치 기업이 됐지만, 놀랍게도 P/E는 2023년보다 오히려 낮아졌다. 절대적으론 훨씬 비싸졌지만 상대적으론 오히려 싸진 셈이다.
앞으로 Nvidia의 멀티플은 확대될 수도 있다 (P/E가 120 이상으로) — 투자자들이 현재 수익 $1에 더 높은 가격을 기꺼이 지불하거나 (분자 상승), 수익이 줄어도 현재와 비슷한 가격을 유지하려 하거나 (분모 하락).
반대로 멀티플이 축소될 수도 있다 — 투자자들이 더 이상 수익 $1당 $120를 지불하고 싶어하지 않거나 (분자 하락), 수익이 늘어도 주가는 오르지 않거나 (분모 상승).

[Compliance Note]
• 셀스마트의 모든 게시글은 참고자료입니다. 최종 투자 결정은 신중한 판단과 개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함을 알려드립니다.
• 게시글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수익과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 코어16은 본 글에서 소개하는 종목들에 대해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 매수 또는 매도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