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지펀드 보유 상위 종목 중 12개가 배당주
NVIDIA 포함, Amazon과 Berkshire만 무배당
복리는 투자 시작 시점이 빠를수록 자산 격차 확대
10년 투자한 A가 30년 투자한 B보다 자산 많음
장기 보유가 복리 효과 극대화의 핵심
Opinion
헤지펀드가 선호하는 종목 다수가 배당을 지급하는 대형주라는 점은 배당주가 안정성과 성장성을 동시에 제공하는 투자 자산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NVIDIA처럼 성장주의 대표 종목도 포함되어 있어, 배당 여부와 관계없이 시장 신뢰도와 장기 수익성이 핵심 보유 기준이 된다는 점이 확인된다. 복리 사례는 투자 초기 진입 시점의 중요성을 수치로 보여주며, 단순히 투자 기간보다 언제 시작했는지가 장기 자산 형성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교훈을 준다. 이는 자주 매매하는 전략보다 꾸준한 장기 보유와 조기 진입이 복리의 본질을 살리는 방법임을 강조하는 메시지다.
Core Sell Point
배당주 중심의 장기 보유와 조기 투자는 복리 효과를 극대화하는 가장 강력한 자산 증식 전략이다.
다음은 TJ Terwilliger의 2025년 6월 16일자 투자 칼럼 「💸 12 Dividend Stocks Hedge Funds Love」를 번역한 내용입니다.
1️⃣ 헤지펀드가 사랑하는 배당주 12선
업로드 한 이미지에는 헤지펀드들이 가장 많이 보유한 주식이 정리되어 있다.
흥미로운 점은?
상위 종목 대부분이 S&P 500의 상위 구성종목과 유사하다.
총 14개 종목 중 12개가 배당금을 지급한다. (맞다, NVIDIA도 포함이다!)
배당을 지급하지 않는 두 종목은?
Berkshire Hathaway
Amazon
👉 이들조차도 ‘배당 없는 장기 성장주’로 간주되며 포트폴리오 내에서 핵심 역할을 하고 있다.
2️⃣ 인내의 힘 = 복리의 마법
아래 이미지가 보여주는 건 간단하다: **복리(compound interest)**의 힘을 제대로 경험하려면 무조건 빨리 시작해야 한다.
두 명의 투자자를 비교해보자:
A 투자자: 25세에 시작해 10년간 투자, 그 후 중단
B 투자자: 35세에 시작해 30년간 투자
결과는?
더 적게 투자한 A가 B보다 최종적으로 175,000달러 이상 자산이 많았다.
📌 교훈:
일찍 시작할수록 유리하다.
투자 기간이 길어질수록 복리 효과는 가속화된다.
3️⃣ 오늘의 투자 격언
"복리 효과는 인내가 최고의 미덕임을 증명해준다." – Mohnish Pabrai
Pabrai는 이렇게 말한다:
부자는 자주 매매하는 사람이 아니라,
장기 보유로 자산을 증식하는 사람에게서 나온다.
👉 즉, 장기 투자에 충실하라. 👉 주식을 사고 나서 놔두는 것이 부의 핵심이다.
[Compliance Note]
• 셀스마트의 모든 게시글은 참고자료입니다. 최종 투자 결정은 신중한 판단과 개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함을 알려드립니다.
• 게시글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수익과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 코어16은 본 글에서 소개하는 종목들에 대해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 매수 또는 매도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