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준비제도(연준)는 5월 7일 기준금리를 연 4.25~4.50%로 동결
1분기 미국 GDP는 -0.3% 역성장(연율 기준)을 기록, 순수출 악화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
Opinion
연준이 ‘관세’ 언급을 피하면서도 경기 불확실성을 강조한 것은, 정책 대응 여지를 남기기 위한 포석으로 해석됨.
관세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단기 상승할 수 있지만, 수요 위축이 병행될 경우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블룸버그, 파이낸셜타임스, 뉴욕타임스 등 주요 외신은 ‘무역전쟁→기업활동 위축→경기 둔화’의 가능성을 연쇄적으로 지적 중임.
지금 나스닥의 주가 반등은 ‘금리 동결’에 안도한 단기적 기술 반등일 수 있음.
연준이 '경제 약화에 대한 명확한 증거가 나올 때까지 기다릴 것'이라고 밝힌 만큼, 정책 지연 리스크 역시 존재함.
Core Sell Point
지금은 금리 동결에 안도할 시점이 아니라, 관세 리스크와 실물경제 지표를 예의주시해야 할 중립 구간이다.
연준 금리 동결과 관세 리스크, 나스닥의 3가지 미래 시나리오
① 시나리오 A – ‘통제된 리플레이션’
관세 인상에도 소비와 고용이 일정 수준 유지된다면, 연준은 금리를 유지하면서 통화정책을 중립적으로 운용할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은 일정 수준 반등을 시도할 수 있다.
적절한 분할 매도와 리밸런싱 필요.
② 시나리오 B – ‘스태그플레이션 본격화’
관세로 인해 물가는 상승하지만 수요가 위축되어 실업률이 올라갈 경우, 연준은 정책 딜레마에 직면한다.
금리 인하로 대응하기엔 인플레이션이 발목을 잡고, 금리 유지엔 경기침체가 가속될 수 있다.
이 경우 나스닥은 조정 가능성 높으며, 매도 전략 우위.
③ 시나리오 C – ‘경기침체 후 후행 인하’
연준이 침체 신호를 인지하고 뒤늦게 금리를 인하할 경우, 초기에는 증시가 더 큰 충격을 받을 수 있다.
다만 이후 완화 기조로 전환되면 기술주는 빠르게 회복될 여지도 있다.
초기 대응은 보수적으로, 반등 구간에서 전술적 매도 고려.
🧾 결론: 셀스마트 이용자는 지금 어떻게 움직여야 할까?
현재 시장은 '금리 동결'에 대한 단기적 안도와 ‘관세 리스크’에 대한 중장기적 우려가 공존하는 중립 구간이다. 실질적인 무역 충격이 지표에 반영되기까지 시차가 존재하는 만큼, 나스닥 보유자라면 당장 공격적인 매도보다는 수익구간을 점검하며 분할매도 시점 포착에 집중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특히, 향후 연준이 어떤 지표를 근거로 금리 인하 또는 동결을 유지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무역전쟁이 실물경제를 강타하는 시점은 지금이 아니라 2분기 말~3분기 초가 될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