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은 이번 분기에만 약 9억 달러 규모의 관세 비용을 감수하고 있지만, 이 같은 부담은 시간이 지날수록 더 커질 가능성이 높고, 결국 iPhone 가격 인상이라는 형태로 소비자에게 전가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지금까지 애플은 이 비용을 내부적으로 흡수해왔지만, 수익성 중심의 경영기조를 유지해야 하는 월가의 기대를 감안할 때, 마진을 희생한 채 관세를 계속 감당하는 전략은 지속 가능하지 않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시각이다.
Raymond James의 애널리스트 스리니 파주리는 애플의 최근 실적 발표 이후 “향후 애플이 가격 인상에 나설 것이라는 시나리오가 기본이며, 이는 관세 영향을 일정 부분 상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팀 쿡 CEO도 6월 분기에 한정된 예외적 요인을 언급하며 향후 관세 부담이 더 커질 수 있음을 시사했고, 이는 단순한 일회성 비용 증가로 보기 어려운 배경을 암시한다.
Melius Research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예고한 부문별 관세 도입 가능성을 고려하면, 현재 약 9억 달러 수준의 비용이 몇 분기 내 두 배 이상으로 확대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았다. 이러한 비용 압박은 시장의 우려로도 이어지고 있으며, 실적 발표 직후 애플 주가는 4% 가까이 하락했고, 초박형 iPhone 모델이 배터리 수명 등의 사양 타협을 포함할 수 있다는 보도가 나오자 추가로 3% 이상 추가 하락하기도 했다.
애플은 관세 부담을 줄이기 위해 인도와 베트남 등으로 생산 거점을 다변화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공급망의 상당 부분이 여전히 중국에 집중되어 있고, 특히 얇은 본체나 구부러지는 디스플레이 같은 고난도 제조 기술은 기존 체계에서 벗어나기 어렵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라는 지적도 있다.
이러한 한계 속에서 애플이 선택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응은 결국 가격 인상이다. 플래그십 모델의 가격을 999달러로 고정한 채, 고용량 옵션 및 프리미엄 모델 중심의 포트폴리오로 평균 판매가를 끌어올리는 전략은 이미 수년간 반복되어 왔으며, Visible Alpha에 따르면 iPhone의 평균 판매가는 2019년 약 755달러에서 최근 963달러로 상승했다. 이는 애플이 관세와 원가 상승을 소비자 가격 구조에 반영하는 데 익숙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문제는 모든 소비자가 1,000달러 이상 스마트폰을 감당할 수 있는 여력이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더욱이 과거에는 통신사들이 보조금과 프로모션을 통해 소비자 부담을 낮춰주는 역할을 했지만, Verizon과 AT&T는 최근 실적 발표에서 “핸드셋에 대한 관세 인상 부담을 감당하지 않겠다”며 그 역할에서 물러날 가능성을 명확히 했다. 이는 애플이 구조적으로 소비자에게 가격 인상 부담을 전가할 수밖에 없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결국 애플은 관세 부담을 더 이상 피할 수 없으며, 이는 곧 소비자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당장은 통신사 보조로 인한 완충 장치가 있지만, 그마저도 무력화되는 시점에서는 평균 가격이 다시 상승 곡선을 그릴 가능성이 크다. 관세 압박이 계속된다면, iPhone은 이전보다 더 비싸질 수밖에 없고, 이는 중장기적으로 애플의 브랜드 전략과 소비자 수요 사이에 새로운 균형을 요구하게 될 것이다.
[Compliance Note]
• 셀스마트의 모든 게시글은 참고자료입니다. 최종 투자 결정은 신중한 판단과 개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함을 알려드립니다.
• 게시글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수익과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 코어16은 본 글에서 소개하는 종목들에 대해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 매수 또는 매도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