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 4월 9일 예정된 관세 계획 유지
글로벌 시장 이틀간 약 7조4600억 달러 증발
상무·재무 장관 모두 관세 계획 재확인
Opinion
미국 정부는 단기적인 시장 충격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인 무역 질서 재편을 목표로 강경한 정책 입장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시장의 변동성을 장기화시킬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Core Sell Point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강행 방침으로 글로벌 금융시장의 단기적 충격과 변동성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행정부가 최근 글로벌 증시의 급락에도 불구하고 보복성 관세 정책을 예정대로 강행하겠다는 입장을 다시 한번 명확히 밝혔다. 하워드 루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7일(현지시간) CBS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표는 농담이나 협상용이 아니며, 4월 9일 예정대로 발효될 것"이라고 못 박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2일, 전 세계 모든 수입품에 10%의 관세를 기본 부과하고, 57개 국가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고율 관세를 매기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후 미국 증시를 비롯한 글로벌 금융시장이 급격한 하락을 겪었으며, 발표 후 이틀간 전 세계 시가총액 중 약 7조4600억 달러가 사라지는 충격이 발생했다.
루트닉 장관은 이어 "현재의 글로벌 무역 질서를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면서, 미국의 무역 적자와 다른 국가들의 무역 흑자가 지속되는 기존 구조를 더 이상 유지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같은 날 NBC 방송에 출연한 스콧 베센 재무장관 역시 "관세는 예정된 날짜에 반드시 시행된다"며 트럼프 행정부의 강경한 입장을 재확인했다.
[Compliance Note]
셀스마트의 모든 게시글은 참고자료입니다. 최종 투자 결정은 신중한 판단과 개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함을 알려드립니다.
게시글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수익과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코어16은 본 글에서 소개하는 종목들에 대해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 매수 또는 매도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