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tching Days and Abnormal Profits in the US Stock Market"
다음은 요청하신 논문의 내용을 요약 정리한 것입니다.
1. 연구 배경
* 주식 시장에서 흔히 관찰되는 만기 효과(expiration effect), 특히 파생상품(선물, 옵션 등) 만기일에 거래량이 급증하고 가격 변동성이 커지는 현상에 주목한다.
* 특히 미국 주식 시장에서는 개별 주식 파생상품, 주가지수 선물, 주가지수 옵션, 개별 주식 옵션이 동시에 만기가 도래하는 '네 마녀의 날(quadruple witching days)'이 분기별 마지막 달 세 번째 금요일에 발생하며, 이는 시장에 특별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기존 연구들은 만기일 효과, 특히 거래량이나 변동성 증가, 가격 반전 현상 등에 대해 상반된 증거들을 제시해왔다.
* 하지만 이러한 만기일 효과, 특히 네 마녀의 날 효과가 실제 투자자에게 비정상적인 이익 기회를 제공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 논문은 이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룬다.
2. 연구 방법
* 데이터: 미국 주요 3개 주가지수(다우존스, S&P500, 나스닥)의 2000년 1월 1일부터 2021년 9월 20일까지의 일별 및 주별 데이터 (출처: Global Financial Database).
* '네 마녀의 날' 관련 기간 정의:
* d(0): 네 마녀의 날 당일
* d(-1): 네 마녀의 날 전일
* d(+1): 네 마녀의 날 익일
* w(0): 네 마녀의 날을 포함하는 주
* w(-1): 네 마녀의 날 직전 주
* w(+1): 네 마녀의 날 직후 주
* 비정상 가격 패턴 탐지:
* 평균 분석: 일반적인 날/주간 수익률과 마녀의 날 관련 수익률 비교.
* 모수적 검정: 스튜던트 t-검정(Student's t-test), 분산분석(ANOVA).
* 비모수적 검정: 만-휘트니 검정(Mann-Whitney test) (수익률 분포의 fat tail, kurtosis 고려).
* 사건 연구 방법론(Event Study): 수정된 누적 비정상 수익률(Modified CAR) 접근법 및 추세 회귀분석.
* 더미 변수를 이용한 회귀 분석: 마녀의 날 효과의 방향성과 통계적 유의성 분석.
* 수익 기회 검증:
* 거래 시뮬레이션: 마녀의 날 시초가에 매도(sell)하고 종가에 청산하는 간단한 거래 전략 실행.
* 성공률 평가: 50% 이상의 거래에서 이익이 발생하면 이상 현상(anomaly) 존재로 간주.
* 통계적 검증: 시뮬레이션 결과와 무작위 거래(수익률 0) 간의 평균 수익/손실 차이에 대한 t-검정.
3. 주요 결과
* 다우존스 지수:
* '네 마녀의 날(d(0))' 당일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가격 하락 이상 현상이 발견된다. (ANOVA, Regression, Modified CAR, Trading Simulation 결과 일치)
* 이 이상 현상을 이용한 거래 시뮬레이션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비정상 이익(abnormal profits)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test 결과 H0 기각)
* 마녀의 날 전후일(d(-1), d(+1))이나 관련 주간(w(0), w(-1), w(+1))에서는 유의미한 이상 현상이나 수익 기회가 발견되지 않았다.
* S&P500 지수:
* 다우존스와 유사하게 '네 마녀의 날(d(0))' 당일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가격 하락 이상 현상이 모든 분석 방법에서 일관되게 나타났다.
* 거래 시뮬레이션 결과, 이 이상 현상을 통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비정상 이익을 얻을 수 있었다.
* 다른 관련 일자나 주간에서는 뚜렷한 이상 현상이나 수익 기회가 확인되지 않았다.
* 나스닥 지수:
* 세 지수 중 '네 마녀의 날(d(0))' 효과가 가장 강력하게 나타났다. 모든 통계적 검정 및 방법론에서 유의미한 가격 하락 이상 현상이 확인되었다.
* 거래 시뮬레이션 결과, 마녀의 날 당일 매도 전략을 통해 매우 유의미한 비정상 이익을 얻을 수 있었다. (t-값 2.70)
* 다른 관련 기간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발견되지 않았다.
4. 결론
* 미국 주식 시장의 '네 마녀의 날'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가격 하락 이상 현상이 존재한다.
* 이러한 이상 현상은 특히 나스닥 지수에서 두드러지며, 적절히 설계된 거래 전략(예: 당일 매도 후 청산)을 통해 비정상적인 이익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 이러한 실증적 증거는 시장이 항상 모든 정보를 효율적으로 반영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며, 효율적 시장 가설(Efficient Market Hypothesis, EMH)과 배치된다.
* 향후 연구는 이러한 '네 마녀의 날' 이상 현상이 발생하는 근본적인 원인에 대해 더 깊이 탐구할 필요가 있다.
[Compliance Note]
• 셀스마트의 모든 게시글은 참고자료입니다. 최종 투자 결정은 신중한 판단과 개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함을 알려드립니다.
• 게시글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수익과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 코어16은 본 글에서 소개하는 종목들에 대해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 매수 또는 매도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