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The Best of Strategies for the Worst of Times: Can Portfolios be Crisis Proofed?" 요약
본 논문은 장기 강세장 후반부에 투자자가 예상되는 대규모 주식 조정의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취할 수 있는 조치를 분석한다. 특히 주식 포트폴리오를 헤지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들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며, 다양한 방어 전략의 성과를 조사한다.
주요 결과:
1. 수동적 헤지 전략:
장점: 주식 시장 하락에 대한 직접적인 보호를 제공하며, 잠재적 손실을 제한할 수 있다.
단점: 옵션 프리미엄으로 인해 비용이 많이 들 수 있으며, 시장 하락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프리미엄은 손실로 이어진다.
장점: 긍정적인 캐리 이자를 제공하며, 위기 발생 시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단점: 신용 스프레드가 축소될 경우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위기 시 안전자산 선호 현상으로 인해 효과가 감소할 수 있다.
장점: 경제적 불확실성 증가 시 가치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
단점: 주식 시장과의 상관관계가 항상 음수인 것은 아니며, 수익률이 낮을 수 있다. 특히 금은 변동성이 크고 특유 위험이 높을 수 있다.
2. 능동적 헤지 전략: 시장 상황에 따라 포지션을 능동적으로 조정하여 위험을 관리하는 전략이다. 이러한 전략은 일반적으로 비용이 더 많이 들지만, 하방 위험을 더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다.
장점: 시장 추세를 따라 수익을 얻을 수 있으며, 급격한 주식 시장 하락에 효과적일 수 있다.
단점: 추세가 갑자기 반전될 경우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시장 변동성이 클 경우 비용이 많이 들 수 있다.
장점: 시장 패닉 시 안전 자산에 대한 선호 심리가 강화되어 고품질 기업이 저품질 기업보다 더 나은 성과를 낼 수 있다.
단점: 시장 상황에 따라 고품질 기업과 저품질 기업 간의 수익률 격차가 축소될 수 있으며, 시장 방향성에 대한 노출을 관리해야 한다.
3. 결론:
* 주식 포트폴리오에 대한 노출을 제한하는 것이 위기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 선물 시계열 모멘텀 전략과 퀄리티 롱숏 주식 전략은 개념적으로 다를 뿐만 아니라 역사적으로 상관관계가 없는 수익률을 가지므로, 포트폴리오 내에서 상호 보완적인 위기 헤지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 대부분의 팩터 분위수 포트폴리오와 팩터 포트폴리오 수익률은 시장 초과 수익률을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없다.
* 위기 발생 시 최적의 전략을 선택할 때 성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보호 수단을 구현하는 데 드는 전반적인 비용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시사점
* 투자자들은 위기에 대한 포트폴리오 보호에 대한 다양한 접근 방식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
* 위기 보호 비용, 헤지 효과의 신뢰성, 전체적인 장기 성과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 단일 '최고의' 전략은 없으며, 유망한 방어 전략을 다양화하는 것이 가장 현명할 수 있다.
[Compliance Note]
• 셀스마트의 모든 게시글은 참고자료입니다. 최종 투자 결정은 신중한 판단과 개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함을 알려드립니다.
• 게시글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수익과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 코어16은 본 글에서 소개하는 종목들에 대해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 매수 또는 매도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