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mple Selection and the Relation between Investor Sentiment and Profitable Trading Strategies"
연구 목표 및 가설:
* 본 연구는 투자자 심리와 다양한 수익성 있는 거래 전략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기존 연구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기존 연구(Stambaugh, Yu, and Yuan, 2012)에서는 단기 매도 제약이 있는 주식으로 구성된 포트폴리오를 활용하는 전략이 투자 심리가 높을 때 수익성이 더 높다는 결과를 제시했다.
*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더 많은 거래 전략을 사용하여 이러한 관계가 일반적인지, 아니면 특정 전략에만 국한되는 것인지 확인하고자 한다.
* 또한, 투자자 심리가 거시 경제 상황과 관련되어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이러한 관계가 거시 경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분석한다.
데이터 및 방법론:
* 1965년부터 2010년까지의 미국 주식 시장 데이터를 사용한다.
* 주요 변수는 다음과 같다.
* 수익성 있는 거래 전략: 기존 문헌에서 알려진 86개의 다양한 거래 전략 (예: 가치 투자, 모멘텀 투자 등)
* 투자자 심리: Baker and Wurgler (2006)에서 제시한 투자 심리 지수, 미시간 대학교 소비자 신뢰 지수 등 다양한 측정 방법 사용
* 거시 경제 변수: 실업률, 인플레이션율, 산업 생산 증가율 등
*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 다양한 거래 전략을 구성하고, 각 전략의 수익률을 계산한다.
* 투자 심리가 높을 때와 낮을 때의 수익률 차이를 비교한다.
* 회귀 분석을 통해 투자 심리가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Fama-French 3 요인 모델 등을 사용하여 위험을 조정한다.
* 시뮬레이션을 통해 투자 심리와 관련된 수익성 있는 롱-숏 포트폴리오를 구성한다.
주요 결과:
이 연구는 투자 심리가 수익성 있는 거래 전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기존 연구와 상반되는 결과를 보였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1. 약한 관계의 발견:
더 넓은 범위의 거래 전략 분석: 기존 연구(Stambaugh, Yu, and Yuan, 2012)에서 사용된 16가지 전략 외에 34가지 추가적인 거래 전략을 포함하여 분석했다.
약한 상관관계: 분석 결과, 더 많은 전략을 포함했을 때 투자 심리와 수익성 있는 거래 전략 간의 관계가 기존 연구보다 훨씬 약하게 나타났다. 이는 특정 전략에만 투자 심리가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광범위한 전략에서는 그 영향이 미미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2. 단기 매도 제약 가설에 대한 미약한 지지:
단기 매도: 기존 연구에서는 단기 매도가 어려운 주식(hard-to-short)을 매도하는 전략이 투자 심리가 높을 때 수익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본 연구 결과: 조사 결과, 이러한 주장이 40% 미만의 전략에서만 지지되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단기 매도 제약이 모든 수익성 전략의 주요 원인이 아님을 시사한다.
3. 거시경제 요인과의 관계:
거시경제 통제: 투자 심리가 거시 경제 상황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분석에 거시경제 변수를 포함했다.
일관성: 거시경제 변수를 통제한 후에도, 투자 심리와 수익성 있는 거래 전략 간의 관계는 여전히 약하게 나타났다. 이는 거시 경제 요인이 투자 심리와 거래 전략 간의 관계를 완전히 설명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4. 시뮬레이션 결과:
무작위 포트폴리오 생성: 10,000개의 롱, 숏, 롱-숏 포트폴리오를 무작위로 생성하여 투자 심리와의 관계를 분석했다.
낮은 관련성: 시뮬레이션 결과, 오직 약 10%의 포트폴리오만이 투자 심리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냈다. 이는 투자 심리가 수익성 있는 거래 전략의 중요한 결정 요인이 아닐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5. 결론:
결과의 차이: 기존 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투자 심리가 수익성 있는 거래 전략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임을 밝혀냈다.
표본 대표성의 중요성: 수익성 있는 거래 전략을 분석할 때, 표본의 크기와 대표성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기존 연구에서 사용된 특정 전략은 표본 편향으로 인해 실제보다 강한 관계를 보였을 수 있다.
요컨대, 본 연구는 투자 심리가 일부 거래 전략에 영향을 줄 수 있지만, 대부분의 수익성 있는 거래 전략은 투자 심리보다는 다른 요인(예: 위험, 거래 비용)에 의해 설명될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한다. 또한, 기존 연구 결과가 모든 거래 전략에 일반화될 수 없다는 점을 지적하며, 표본 선정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Compliance Note]
· 셀스마트의 모든 게시글은 참고자료입니다. 최종 투자 결정은 신중한 판단과 개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함을 알려드립니다.
· 게시글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수익과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 코어16은 본 글에서 소개하는 종목들에 대해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 매수 또는 매도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