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ama-French의 주식 기대 수익률 횡단면 분석 (12.04.30)
최초 작성: 2025. 3. 19.

중립
이 글은 중립적 관점에서 작성된 분석글입니다. 투자는 항상 신중한 판단 하에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29
0
0
Fact
CAPM 한계 지적: Fama-French(1992), CAPM의 베타와 수익률 간 관계가 실증적으로 약함을 확인.
규모 효과(Size Effect): 소형주가 대형주보다 높은 수익률을 보이는 현상 발견.
가치 효과(Value Effect): 장부가치/시장가치 비율(B/M)이 높은 기업(가치주)이 낮은 기업(성장주)보다 높은 수익률 기록.
베타 역할 축소: 규모·B/M 비율을 고려하면 베타의 설명력 감소.
다요인 모형 제안: 1993년 Fama-French 3요인 모형(시장+규모+가치)으로 확장, 자산 가격 결정 모형 발전 기여.
Opinion
Fama-French(1992)는 CAPM의 한계를 지적하며, 주식 수익률이 시장 베타뿐만 아니라 다른 요인(규모, 가치)에 의해 영향을 받음을 실증적으로 증명했다. 이는 이후 자산 가격 결정 모델의 패러다임 변화를 가져왔으며, "시장+규모+가치" 3요인 모형이 투자업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소형주 효과는 유동성 부족, 정보 비대칭성 등의 위험 프리미엄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되며, 가치 효과는 시장의 저평가된 기업이 장기적으로 수익률이 높은 현상을 설명하는 데 활용된다.
Core Sell Point
CAPM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Fama-French는 규모·가치 효과를 포함한 다요인 모형을 제시하며, 이는 이후 금융시장에서 투자 전략 및 자산 가격 결정 모형의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29
0
0
댓글
0
가장 먼저 댓글을 달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