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개요: ChatGPT가 자산 선택 및 포트폴리오 관리를 개선할 수 있는지 분석
자산 선택 방법: ChatGPT가 주식, 암호화폐, 상품, 통화, 채권 중 2~4개 자산 선택
다양성 평가: Simpson 지수, Shannon 지수, 평균 상관관계를 활용하여 자산 다양성 분석
포트폴리오 성과 비교: ChatGPT 기반 포트폴리오와 무작위 포트폴리오의 Sharpe 비율 및 변동성 비교
주요 결과: ChatGPT의 자산 선택이 무작위 선택보다 다양성이 높고, 성과가 더 우수함
결론: ChatGPT는 포트폴리오 구성 시 분산 투자 효과를 높이는 유용한 도구가 될 가능성이 있음
Opinion
이 논문은 ChatGPT가 포트폴리오 구성에서 어떤 기준을 따르는지 분석한다. Simpson 지수와 Shannon 지수를 활용하여 자산 선택의 다양성을 평가하고, ChatGPT가 단순한 랜덤 선택보다 분산 투자 효과를 높이는 방식으로 자산을 선택하는지 검증한다. 연구 결과, ChatGPT 기반 포트폴리오는 무작위 포트폴리오보다 높은 Sharpe 비율을 기록하며, 이는 AI가 투자 결정을 지원하는 데 유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Core Sell Point
ChatGPT는 포트폴리오 구성에서 무작위 자산 선택보다 더 우수한 다양성을 제공하며, 투자 성과 개선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다.
"Can Chatgpt Improve Investment Decision? From a Portfolio Management Perspective"
이 연구는 ChatGPT가 투자 의사 결정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지 포트폴리오 관리 관점에서 분석한다. 챗GPT에게 다양한 자산군을 선택하도록 요청하고, 그 결과의 다양성 지수를 평가하며, 벤치마크 포트폴리오와 비교한다. 연구 결과, 챗GPT의 자산 선택이 무작위 선택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나은 다양성 지수를 나타내며, 챗GPT의 선택을 기반으로 구성된 포트폴리오가 무작위로 선택된 자산을 기반으로 구성된 포트폴리오보다 더 나은 성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챗GPT는 포트폴리오 구성에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고 결론짓는다.
다양성 지수 계산: 챗GPT가 선택한 자산의 다양성을 평가하기 위해 Simpson 지수와 Shannon 지수를 계산한다. 또한 자산 수익률 간의 평균 상관관계를 측정한다.
포트폴리오 구성: 챗GPT가 선택한 자산을 바탕으로 접점 포트폴리오(Tangency Portfolio)와 최소 위험 포트폴리오를 구성한다.
성과 평가: 챗GPT 기반 포트폴리오와 무작위로 선택된 자산으로 구성된 포트폴리오의 성과를 Sharpe 비율, 표준 편차 등을 사용하여 비교 분석한다.
Simpson 지수와 Shannon 지수 설명
Simpson 지수 (Simpson Diversity Index): 어떤 집단에서 특정 속성(여기서는 자산군)을 가진 개체가 선택될 확률을 나타내는 지표다. 값이 높을수록 다양성이 낮고, 특정 속성에 편중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집단 내 임의의 두 개체를 선택했을 때 같은 속성을 가질 확률로 해석할 수도 있다. 수식은 다음과 같다.
D = 1 - Σ pi² (pi는 i번째 속성을 가진 개체의 비율)
값이 0에 가까울수록 다양성이 높고, 1에 가까울수록 다양성이 낮다.
Shannon 지수 (Shannon Diversity Index): 집단 내 정보량(entropy)을 나타내는 지표로, 값이 높을수록 다양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특정 속성을 가진 개체가 얼마나 예측 불가능한지를 나타내는 척도로 해석할 수도 있다. 수식은 다음과 같다.
H = - Σ pi * ln(pi) (pi는 i번째 속성을 가진 개체의 비율, ln은 자연로그)
값이 높을수록 다양성이 높고, 낮을수록 다양성이 낮다.
본 논문에서의 의미
본 논문에서는 Simpson 지수와 Shannon 지수를 사용하여 ChatGPT가 선택한 자산군(주식, 암호화폐, 상품, 통화, 채권)의 다양성을 평가한다.
높은 Simpson 지수, 낮은 Shannon 지수: ChatGPT가 특정 자산군에 편중된 선택을 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포트폴리오의 다양성이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
낮은 Simpson 지수, 높은 Shannon 지수: ChatGPT가 다양한 자산군을 고르게 선택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포트폴리오의 다양성을 높일 가능성이 있다.
평균 상관관계: 자산 수익률 간의 평균 상관관계를 함께 고려하여, ChatGPT가 단순한 자산군 다양성을 넘어 실제로 분산 투자 효과를 높이는 자산을 선택하는지 평가한다.
결론:
이 논문은 ChatGPT를 활용하여 자산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그 다양성을 평가한다. Simpson 지수와 Shannon 지수를 사용하여 ChatGPT가 무작위 선택보다 더 나은 자산 배분 철학을 따르는지 확인한 결과, ChatGPT의 자산 선택이 무작위 선택보다 낮은 Simpson 지수와 높은 Shannon 지수를 나타낸다. 따라서 챗GPT는 포트폴리오의 다양성을 높일 수 있는 자산 선택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결론짓는다.
[Compliance Note]
· 셀스마트의 모든 게시글은 참고자료입니다. 최종 투자 결정은 신중한 판단과 개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함을 알려드립니다.
· 게시글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수익과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 코어16은 본 글에서 소개하는 종목들에 대해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 매수 또는 매도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