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탄소세 도입 확산…국제 무역 질서 흔드나 (25.03.17)
최초 작성: 2025. 3. 18.

중립
이 글은 중립적 관점에서 작성된 분석글입니다. 투자는 항상 신중한 판단 하에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90
0
0
Fact
EU, 2025년 CBAM 본격 시행…역외 국가에도 간접적 탄소세 부과 예정
미국, 청정경쟁법·FPFA 도입 검토…일부 주(州)는 배출권거래제(ETS) 운영 중
세계 39개국 탄소세 도입, 36개국 배출권거래제 시행
CBAM 도입으로 중국·인도·브라질 등 신흥국 반발…COP29에서 공식 논의 예정
Opinion
탄소세는 개별 국가의 환경 정책을 넘어 국제 무역의 핵심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선진국들은 자국 기업 보호와 기후 목표 달성을 위해 탄소 관세 도입을 추진하는 반면, 신흥국들은 보호무역주의 조치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탄소세가 향후 글로벌 무역 구조를 재편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Core Sell Point
탄소세 부담이 현실화되면서, 기업들은 탄소 배출 감축 및 공급망 최적화를 통해 생산 비용 상승과 무역 장벽 강화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90
0
0
댓글
0
가장 먼저 댓글을 달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