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2가지 상태(강세장, 약세장)를 갖는 regime-switching 모델을 활용하여 최적의 추세 추종 전략을 도출.
Markov 모델에서는 지수 이동 평균(EMA) 규칙이 최적이며, semi-Markov 모델에서는 이동 평균 수렴/확산(MACD) 규칙과 유사한 형태가 최적.
이론적으로 도출된 최적 규칙이 10개월 SMA 및 12개월 모멘텀 전략보다 우수한 성과를 보인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확인.
Opinion
기존 연구들은 다양한 추세 추종 전략의 수익성을 단순 비교하는 데 초점을 맞춘 반면, 본 논문은 최적의 전략을 도출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Markov 모델은 일정한 전환 확률을 가정하므로, 최근 가격 변화에 기하급수적으로 가중치를 부여하는 EMA가 최적 규칙이 된다. 반면, semi-Markov 모델은 상태 지속 시간에 따라 전환 확률이 달라지므로, 단기 모멘텀과 장기 평균 회귀를 조합하는 MACD 유사 전략이 최적이다. 실증 분석에서도 이론적으로 도출된 규칙이 기존 전략보다 성과가 뛰어남을 확인하여, 실무에서도 적용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Core Sell Point
이 논문은 regime-switching 모델을 기반으로 EMA 및 MACD 유사 규칙이 최적의 추세 추종 전략임을 이론적으로 도출하고, 실증 분석을 통해 기존 전략보다 우수한 성과를 보임을 입증한다.
"Optimal Trend Following Rules in Two-State Regime-Switching Models"
논문 주요 내용 요약
이 논문은 추세 추종 투자 전략을 분석하고, 최적의 규칙을 찾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한다. 기존 연구가 단순히 다양한 거래 규칙의 수익성을 테스트하는 데 집중한 반면, 이 논문은 2가지 상태(강세장, 약세장)를 가진 regime-switching 모델에서 최적의 추세 추종 규칙을 도출한다. Markov 모델에서는 지수 이동 평균(EMA) 규칙이 최적이며, semi-Markov 모델에서는 이동 평균 수렴/확산(MACD) 규칙과 유사한 형태가 최적이라는 것을 밝힌다. 또한, 이론적으로 도출된 최적 규칙이 실제 데이터에서도 널리 사용되는 10개월 단순 이동 평균(SMA) 및 12개월 모멘텀 규칙보다 우수한 성과를 보임을 실증 분석을 통해 확인한다.
방법론
연구에서 사용된 방법론은 다음과 같다.
1. 수익률 모델링: 주식 시장 수익률을 모델링하기 위해 2가지 상태(강세장, 약세장)를 갖는 regime-switching 모델을 사용한다.
2. Markov 모델과 semi-Markov 모델: 상태 전환 확률이 고정된 Markov 모델과 상태 지속 시간에 따라 전환 확률이 변하는 semi-Markov 모델을 고려한다.
3. 최적 추세 추종 규칙 도출: 각 모델에서 최적의 추세 추종 규칙을 분석적으로 또는 수치적으로 도출한다.
4. 실증 분석: 미국을 포함한 다양한 국제 주식 시장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론적으로 도출된 최적 규칙의 성과를 검증한다.
주요 결과 및 사례
논문에서 발견한 최적의 추세 추종 규칙은 모델의 가정에 따라 다르다.
Markov 모델 (MSM): 이 경우, 지수 이동 평균 (EMA, Exponential Moving Average) 규칙이 이론적으로 최적의 추세 추종 규칙으로 도출된다. EMA 규칙은 과거 가격에 지수적으로 감소하는 가중치를 부여하여 현재 추세를 파악하는 데 사용된다.
Semi-Markov 모델 (ESMSM): 이 경우, 최적의 추세 추종 규칙은 이동 평균 수렴/확산 (MACD, Moving Average Convergence/Divergence) 규칙과 유사한 형태를 가진다. MACD 규칙은 두 개의 EMA의 차이를 계산하여 추세의 강도와 방향을 파악하는 데 사용된다. ESMSM에서 도출된 규칙은 MACD와 마찬가지로 단기 모멘텀과 장기 평균 회귀를 모두 활용하는 특징을 가진다.
요약하면:
MSM에서는 EMA 규칙
ESMSM에서는 MACD 유사 규칙
구체적인 사례는 다음과 같다.
* 미국 시장 분석: 1875년부터 1974년까지의 미국 시장 데이터를 사용하여 모델 파라미터를 추정한 후, 1975년부터 2020년까지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3가지 추세 추종 전략(이론적 최적 규칙, 10개월 SMA, 12개월 모멘텀)의 성과를 비교다. 그 결과, 이론적으로 도출된 최적 규칙은 EMA 또는 MACD 유사 규칙을 사용하며, 상황에 따라 10개월 SMA 및 12개월 모멘텀 규칙보다 더 나은 성과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
* 해외 시장 분석: 16개 해 주식 시장 데이터를 사용하여 아웃오브샘플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 대부분의 국가에서 추세 추종 전략은 단순 매수 후 보유 전략보다 더 나은 성과를 보였다. 이론적으로 도출된 최적의 추세 추종 전략이 다른 전략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일부 국가에서는 10개월 SMA 또는 12개월 모멘텀 전략이 더 나은 성과를 보이기도 한다
결론
이 논문은 regime-switching 모델을 사용하여 최적의 추세 추종 규칙을 도출하고, 이론적 분석과 실증 분석을 통해 그 타당성을 검증한다. 결과적으로, 전통적인 추세 추종 전략인 EMA와 MACD의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며, 시장 상황에 맞는 적절한 추세 추종 전략을 선택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