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상황과 유사한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투자 수익률을 예측하는 방법론을 제시함.
경제 유사성 평가는 7가지 경제 변수(S&P 500, 수익률 곡선, 유가, 구리 가격, 금리, VIX, 주식-채권 상관관계)의 조합으로 수행함.
1985~2024년의 데이터로 테스트한 결과, 유사성 기반의 팩터 타이밍 전략이 전통적인 팩터 투자보다 높은 초과 수익률을 달성함.
유사 경제 상황 이후 평균 수익이 긍정적이면 롱, 부정적이면 숏 포지션을 취함.
Opinion
본 논문은 기존의 단순한 팩터 투자가 아닌 '경제 유사성'이라는 새로운 기준을 도입하여, 역사적 유사성을 바탕으로 시장의 숨겨진 규칙성을 포착하고자 했다. 특히, 경제적 상황이 반복적으로 발생한다는 가정하에, 데이터 기반의 유사성 평가를 통해 예측 정확도를 높이고 위험 조정 성과를 개선하는 데 성공했다. 다만, 경제 상황의 복잡성과 데이터의 유사성 평가 방법에 따라 성과가 민감하게 달라질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정교한 검증이 필요하다.
Core Sell Point
경제적 유사성을 기반으로 과거 데이터를 활용한 투자 전략은 전통적인 투자 방식보다 우수한 초과 수익을 제공할 수 있다.
"Regimes"
이 논문에서는 현재 경제 상황과 유사한 과거 경제 상황을 식별하고, 이 정보를 활용하여 투자 수익률을 예측하는 새로운 체계적인 방법을 제시했다. 기존 연구와 달리, 가능한 경제 상황을 미리 정의하는 대신 경제 변수를 사용하여 역사적 시점에서 이 변수의 값이 가장 유사한 시점을 파악한다. 현재 자산 포지션을 결정하기 위해, 과거 유사한 시기를 식별하고 자산의 후속 성과를 측정한다. 과거 성과가 긍정적이면 매수 포지션을 취하고, 부정적이면 매도 포지션을 취한다.
핵심 아이디어:
경제 상황 유사성 기반 투자: 현재 경제 상황과 유사한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투자 결정을 내린다.
체계적인 경제 상황 식별: 경제 변수를 사용하여 현재 경제 상황과 유사한 과거 시점을 체계적으로 식별한다.
역추세(Anti-regimes) 활용: 현재와 가장 다른 과거 시점(역추세)에 대한 정보도 투자에 활용한다.
주요 연구 방법:
7가지 경제 변수(S&P 500 지수, 수익률 곡선, WTI 유가, 구리 가격, 미국 3개월 만기 재무성 증권 수익률, VIX, 미국 주식-채권 상관관계)를 사용하여 유사한 경제 상황을 식별한다.
과거 데이터와의 유사성을 측정하기 위해 z-score를 사용한다.
식별된 경제 상황을 기반으로 6가지 롱-숏 주식 팩터(Market, Size, Value, Profitability, Investment, Momentum)의 성과를 분석한다
주요 연구 결과:
구체적으로, 논문 저자들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분석을 진행했다.
투자 대상 팩터 선정: 파마-프렌치 5가지 팩터(시장, 규모, 가치, 수익성, 투자)와 모멘텀 팩터를 포함한 6가지 롱-숏 주식 팩터를 투자 대상으로 선정했다. 이러한 팩터들은 학계와 실무에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장기적으로 양의 수익률을 제공하는 경향이 있다.
팩터 타이밍 전략 적용: 각 팩터에 대해, 현재 경제 상황과 유사한 과거 상황을 식별하고, 해당 과거 상황 이후의 평균 수익률을 계산했다. 만약 평균 수익률이 양수이면 해당 팩터에 대해 롱 포지션을 취하고, 음수이면 숏 포지션을 취했다. 이 과정을 매월 반복하며 팩터 포지션을 조정했다.
역추세 활용: 현재와 가장 유사하지 않은 과거 경제 상황을 식별하고, 유사한 상황과 반대로 팩터 포지션을 설정했다. 즉, 유사하지 않은 과거 상황 이후의 평균 수익률이 양수이면 숏 포지션을 취하고, 음수이면 롱 포지션을 취했다.
성과 측정: 1985년부터 2024년까지 팩터 타이밍 전략의 성과를 측정했다. 주요 성과 지표로는 샤프 비율, 알파, 벤치마크 대비 초과 수익률 등을 사용했다.
결과 분석: 분석 결과, 경제 상황 기반 팩터 타이밍 전략이 정적 롱온리 전략보다 높은 샤프 비율과 알파를 제공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제안된 방법이 위험 대비 수익률을 개선하고, 시장 상황에 관계없이 추가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안된 방법은 1985년부터 2024년까지 6가지 롱-숏 주식 팩터에서 상당한 초과 수익을 가져다줌을 보여준다
통계적 유의성: 초과 수익이 단순히 우연에 의한 것이 아니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저자들은 t-검정 등의 통계적 검증 방법을 사용하여 초과 수익의 유의성을 확인했을 것이다.
경제적 중요성: 초과 수익이 투자자의 포트폴리오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준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즉, 거래 비용, 세금 등을 고려하더라도 충분히 매력적인 수준의 수익률 개선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지속 가능성: 초과 수익이 특정 기간에만 나타나는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
결론적으로, "제안된 방법이 1985년부터 2024년까지 6가지 롱-숏 주식 팩터에서 상당한 초과 수익을 가져다줌을 보여준다"는 결과는 경제 상황 기반 팩터 타이밍 전략이 투자 성과를 개선할 수 있는 실질적인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하지만, 앞서 언급했듯이, 이러한 결과는 특정 데이터셋과 모델 설정을 기반으로 도출된 것이므로 일반화에는 신중해야 한다. 실제 투자에 적용하기 전에 충분한 검증과 테스트를 거쳐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