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주식 밸류에이션이 해외 주식 대비 높음.
주요 스타일 요인 외에도 미국 상장 여부가 높은 밸류에이션의 주요 원인임.
미국 매출 비중이 높은 기업은 상대적으로 낮은 밸류에이션을 받음.
미국과 해외 시장 간 밸류에이션 격차의 절반이 펀더멘털이 아닌 미국 상장 여부에 기인함.
따라서 향후 해외 주식의 상대적 매력 상승 예상.
Opinion
미국 주식이 펀더멘털을 넘어 과도하게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장기적으로 평균 회귀(mean reversion)에 따라 밸류에이션 격차가 축소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향후 해외 주식 시장으로의 투자를 확대하는 것이 수익성 측면에서 더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Core Sell Point
미국 주식 시장의 높은 밸류에이션은 지속되기 어렵기 때문에 향후 해외 시장으로의 투자를 확대하는 전략이 바람직하다.
본 보고서에서는 미국과 해외 주식 시장 간의 지속적인 성과 차이와 이로 인한 밸류에이션 격차 확대에 대해 분석하고 있으며, 미국 주식 시장에 상장된 기업이 높은 밸류에이션 프리미엄을 받는 이유와 향후 전망을 제시한다.
1. 주요 내용:
* 밸류에이션 격차: 미국 주식 시장의 밸류에이션이 해외 주식 시장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그 원인에 대한 논쟁이 뜨겁다.
* 미국 예외주의(US Exceptionalism) vs. 평균 회귀(Mean Reversion): 미국 주식 시장의 높은 수익 성장으로 인한 정당성을 주장하는 의견과 밸류에이션 격차가 펀더멘털로 설명하기에는 너무 크며 평균 회귀가 예상된다는 의견이 대립한다.
* 밸류에이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전 세계 상위 1,000개 주식에 대한 회귀 분석을 통해 규모, 퀄리티, 수익성, 투자 스타일, 섹터 등 주요 스타일 요인과 더불어 미국 시장 상장 여부, 미국 매출 비중 등이 밸류에이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 유의미한 변수: 퀄리티가 높은 기업일수록 밸류에이션이 높고, 미국 시장에 상장된 기업은 해외 시장에 상장된 기업보다 밸류에이션이 높다는 사실을 확인한다.
* 미국 매출 비중: 미국 매출 비중이 높은 기업은 밸류에이션이 낮게 평가되는 경향이 있다.
* 상장 위치의 중요성: 밸류에이션 격차의 절반은 펀더멘털 요인 외에 단순히 미국 거래소에 상장되었다는 사실만으로 설명된다.
2. 투자 전략:
* 밸류에이션 격차가 주로 상장 위치에 의해 설명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과거 10년간의 저조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미국 주식보다는 해외 주식에 투자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예상한다.
* 해외 주식은 미국 주식에 비해 규모가 작고 미국 매출 비중이 낮은 경향이 있다.
3. 요약:
본 보고서는 미국 주식 시장이 높은 밸류에이션 프리미엄을 받는 주된 이유로 펀더멘털 요인 외에 단순히 상장 위치가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따라서 밸류에이션 격차 축소를 예상하며, 해외 주식에 대한 투자 기회를 모색할 것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