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가치주에서 수익률 예측 가능:
HSE 증가 시 대형 가치주의 향후 수익률 상승 경향
사회적 효용을 제공하는 기업이 긍정적 투자 심리를 자극하는 효과
HSE는 투자 리스크 요인:
기존 투자 심리 지표와 달리, 자산 가격 결정 요인으로 해석 가능
투자자들은 사회적 효용이 높은 기업을 선호하는 경향 반영
시장 이상 현상과 무관한 독립적 정보 제공:
규모(Size) 및 BE/ME를 통제해도 HSE는 수익률 예측에 유효
HSE와 기업 규모의 비선형적 관계:
HSE가 높은 주식과 낮은 주식 모두 시장 가치가 낮은 경향
중간 수준의 HSE 주식은 시장 가치가 높은 경향
Opinion
본 연구는 온라인 검색 데이터를 활용한 새로운 자산 가격 결정 요인을 발굴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특히 HSE가 대형 가치주의 수익률을 예측하는 데 유효하다는 점은 투자자들에게 새로운 투자 전략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다만, HSE가 실제 기업 가치와 무관한 투자 심리를 반영하는지, 혹은 기업의 사회적 효용과 연결되는지에 대한 명확한 인과 관계 분석이 부족하다. 또한, Google Trends 데이터의 변동성과 검색 행태의 변화가 장기적으로 지속될지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온라인 검색량이 단순한 투자 심리 지표가 아니라 자산 가격 결정 요인이 될 가능성을 제시한 연구로, 향후 검색량 데이터 기반의 투자 전략 개발 가능성을 높였다.
Core Sell Point
Google Trends '행복' 검색량(HSE)은 대형 가치주의 향후 수익률을 예측하는 데 유용하며, 검색 데이터가 투자 심리뿐만 아니라 자산 가격 결정 요인으로도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Words that Matter: The Impact of Negative Words on News Sentiment and Stock Market Index"
본 논문에서는 Google Trends 데이터를 활용하여 한국 주식 시장에서 행복(happiness)이라는 검색어의 검색량과 주식 수익률 간의 관계를 분석한다.
1. 연구 목표:
* '행복' 검색어 검색량(Happiness Search Exposure, HSE)이 투자 심리 측정 지표로서가 아닌 자산 가격 결정(asset pricing) 요인으로서 작용하는지 탐구한다.
* HSE가 향후 수익률을 예측할 수 있는지, 특히 규모가 크고 가치 있는 기업에서 그러한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는지 조사한다.
* HSE 기반 전략이 기관 투자자의 성과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지 평가한다.
2. 연구 방법:
* 1990년 1월 4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의 한국 일간 경제 뉴스 기사 45,723개를 수집한다.
* Google Trends에서 '행복' 검색어에 대한 검색량 데이터를 수집한다.
* Fama-French 5 팩터 모델을 사용하여 예상 수익률을 추정하고, 비정상 수익률을 계산한다.
* HSE와 KOSPI200 지수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시계열 선형 회귀 분석 방법을 사용한다.
* 규모, 장부가치/시장가치(BE/ME) 등의 요인을 통제 변수로 사용하여 결과를 검증한다.
3. 주요 결과:
HSE는 대형 가치주에서 향후 수익률을 설명한다: '행복' 검색어에 대한 검색량 노출(HSE)은 특히 규모가 크고 가치 있는 기업의 향후 수익률을 예측하는 데 유용하다. 이는 HSE가 기업의 재무 건전성이나 성장 잠재력보다는 사회적 효용(societal utility)을 충족시키는 능력과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즉, 사회적 가치를 제공하는 기업일수록 '행복'과 관련된 검색량이 증가하고, 이는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하여 주가 상승으로 이어진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HSE는 위험 요인으로 간주될 수 있다: HSE는 기존의 투자 심리 측정 지표와는 달리, 합리적인 자산 가격 결정(rational asset pricing)의 관점에서 위험 요인으로 해석될 수 있다. 투자자들은 사회적 효용을 충족시키는 기업에 투자하는 것을 선호하며, HSE는 이러한 선호를 반영하는 지표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규모 효과 및 가치 효과 통제 시 결과 유지: 규모(Size) 및 장부가치/시장가치(BE/ME)와 같은 요인을 통제하더라도 HSE는 여전히 향후 수익률을 예측하는 데 유효하다. 이는 HSE가 단순히 기존 시장 이상 현상(market anomalies)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독자적인 정보 콘텐츠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비선형적인 시장가치 분포: HSE가 높은 주식과 낮은 주식 모두 시장 가치가 낮은 경향이 있으며, 중간 수준의 HSE 주식은 시장 가치가 높은 경향이 있다. 이는 HSE와 기업 규모 간에 단순한 선형 관계가 존재하지 않음을 시사한다.
4. 결론:
본 연구는 Google Trends의 특정 검색어(예: 행복)가 투자 심리 측정 지표일 뿐만 아니라, 자산 가격 결정 요인으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HSE는 대형 가치주의 수익률을 예측하는 데 유용하며, 기관 투자자는 HSE 기반 전략을 통해 투자 성과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잘 선택된 Google Trends 검색어는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리스크와 관련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