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복이라는 검색어와 한국 주식시장 수익률간의 관계 (23.08.19)
최초 작성: 2025. 3. 17.

중립
이 글은 중립적 관점에서 작성된 분석글입니다. 투자는 항상 신중한 판단 하에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96
0
0
Fact
대형 가치주에서 수익률 예측 가능:
HSE 증가 시 대형 가치주의 향후 수익률 상승 경향
사회적 효용을 제공하는 기업이 긍정적 투자 심리를 자극하는 효과
HSE는 투자 리스크 요인:
기존 투자 심리 지표와 달리, 자산 가격 결정 요인으로 해석 가능
투자자들은 사회적 효용이 높은 기업을 선호하는 경향 반영
시장 이상 현상과 무관한 독립적 정보 제공:
규모(Size) 및 BE/ME를 통제해도 HSE는 수익률 예측에 유효
HSE와 기업 규모의 비선형적 관계:
HSE가 높은 주식과 낮은 주식 모두 시장 가치가 낮은 경향
중간 수준의 HSE 주식은 시장 가치가 높은 경향
Opinion
본 연구는 온라인 검색 데이터를 활용한 새로운 자산 가격 결정 요인을 발굴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특히 HSE가 대형 가치주의 수익률을 예측하는 데 유효하다는 점은 투자자들에게 새로운 투자 전략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다만, HSE가 실제 기업 가치와 무관한 투자 심리를 반영하는지, 혹은 기업의 사회적 효용과 연결되는지에 대한 명확한 인과 관계 분석이 부족하다. 또한, Google Trends 데이터의 변동성과 검색 행태의 변화가 장기적으로 지속될지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온라인 검색량이 단순한 투자 심리 지표가 아니라 자산 가격 결정 요인이 될 가능성을 제시한 연구로, 향후 검색량 데이터 기반의 투자 전략 개발 가능성을 높였다.
Core Sell Point
Google Trends '행복' 검색량(HSE)은 대형 가치주의 향후 수익률을 예측하는 데 유용하며, 검색 데이터가 투자 심리뿐만 아니라 자산 가격 결정 요인으로도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96
0
0
댓글
0
가장 먼저 댓글을 달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