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골드만삭스 보고서: Magnificent 7과 2025년 S&P 500 목표치 하향 조정 (25.03.11)
최초 작성: 2025. 3. 17.
중립
중립
이 글은 중립적 관점에서 작성된 분석글입니다. 투자는 항상 신중한 판단 하에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46
0
0
Fact
1. Magnificent 7: 상승에서 하락으로 전환 2023년: Mag 7은 S&P 500 전체 수익률 25% 중 절반 이상 기여 → 기술 대형주 중심 시장 상승 2025년 3월: Mag 7 주가 3주간 14% 급락 → S&P 500 하락의 주 원인 2. S&P 500 목표치 하향 조정 골드만삭스의 전망: 2025년 목표치 6500 → 6200으로 4% 하향 PER(주가수익비율) 21.5배 → 20.6배로 낮춤 EPS 성장률 전망 9% → 7% 하향 조정 주요 배경: 미국 GDP 성장 둔화 관세율 상승 전망 → 기업 이익 감소 가능성 정치·경제적 불확실성 증가 → 위험 프리미엄 상승
Opinion
Mag 7의 부진은 단순한 조정이 아니라 시장 구조적 변화의 신호일 가능성이 있다. 과거 몇 년간 시장을 주도했던 대형 기술주 중심의 상승이 흔들리면서, 시장의 변동성이 커지고 있다. 또한 관세 상승, 경제 성장 둔화, 정책 불확실성 증가라는 3대 리스크가 S&P 500 전체의 성장 전망을 낮추고 있다. 결국, 투자자들은 단기적인 Mag 7 반등을 기대하기보다는, 포트폴리오 다각화와 리스크 관리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Core Sell Point
Mag 7 주가 하락과 S&P 500 목표치 하향 조정은 미국 증시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으며, 투자자들은 리스크 관리에 더욱 집중해야 한다.

골드만삭스 보고서의 핵심 내용인 Magnificent 7 (이하 "Mag 7")의 변화와 2025년 S&P 500 목표치 하향 조정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기로 한다.

1. Magnificent 7: 영광에서 몰락으로?

  • 과거의 영광: 2023년 Mag 7은 S&P 500 전체 수익률 25%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이는 소수의 기술 대형주가 시장 상승을 주도했음을 의미한다.

  • 현재의 위기: 보고서 작성 시점 기준 (2025년 3월 11일) 지난 3주 동안 Mag 7 주가는 14% 폭락하며 S&P 500 하락의 주요 원인이 되었다. 이는 급격한 변화이며, "Maleficent 7"이라는 새로운 용어가 등장한 이유다.

  • 원인 분석:

    • 정책 불확실성 증가: 특히 관세와 관련된 정책 변화 가능성이 투자 심리를 위축시켰다.

    • 경제 성장 전망에 대한 우려: 경제 성장 둔화 가능성이 투자자들을 불안하게 만들었다.

    • 포지션 청산: 헤지 펀드를 중심으로 Mag 7에 대한 과도한 롱 포지션이 청산되면서 주가 하락을 부채질했다.

  • 시사점: 소수 대형 기술주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시장은 변동성에 취약할 수 있다. Mag 7의 부진은 시장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투자 전략의 변화를 요구할 수 있다.

2. 2025년 S&P 500 목표치 하향 조정:

  • 하향 조정: 골드만삭스는 2025년 말 S&P 500 지수 목표치를 기존 6500에서 6200으로 4% 낮췄다.

  • 주요 근거:

    • 주가수익비율(PER) 감소: 적정 주가수익비율을 기존 21.5배에서 20.6배로 낮췄다.

    • 주당순이익(EPS) 성장률 전망 축소: 2025년 EPS 성장률을 기존 9%에서 7%로 낮췄다. (2026년 성장률은 7% 유지)

  • 배경 설명:

    • 경제 성장 둔화: 골드만삭스 경제팀은 미국 GDP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다.

    • 관세율 상승: 미국의 관세율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며, 이는 기업 이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불확실성 증가: 정치적, 경제적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주식 위험 프리미엄이 상승했다.

  • 관련 데이터:

    • 새로운 목표치는 현재 수준에서 11% 상승 여력을 의미한다.

    • 골드만삭스는 2025년 EPS를 262달러, 2026년 EPS를 280달러로 전망한다. 이는 컨센서스 전망치보다 낮은 수치다.

3. 추가 고려 사항:

  • 관세의 영향: 미국의 관세율이 5% 상승할 때마다 S&P 500 EPS는 약 1~2% 감소할 수 있다고 분석한다 (기업들이 대부분의 관세를 소비자에게 전가할 수 있다고 가정).

  • 지표 변화: 경제 정책 불확실성 지수가 급증했으며, S&P 500 EPS 수익률과 실질 10년 만기 미국 국채 수익률 간의 격차가 확대되었다.

결론:

Mag 7의 부진과 2025년 S&P 500 목표치 하향 조정은 미국 주식 시장에 대한 골드만삭스의 신중한 전망을 보여준다. 정책 불확실성, 경제 성장 둔화, Mag 7의 변동성 증가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변화를 인지하고, 위험 관리 및 포트폴리오 다각화에 더욱 신경 써야 할 것이다.

46
0
0
댓글
0
가장 먼저 댓글을 달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