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주식시장에서 가격제한폭 도달 종목에 대한 연구 (17.12.31)
최초 작성: 2025. 3. 14.

중립
이 글은 중립적 관점에서 작성된 분석글입니다. 투자는 항상 신중한 판단 하에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63
0
0
Fact
상한가 종목은 체계적 위험이 낮고 개별 기업 요인에 의해 상승
하한가 종목은 체계적 위험이 높고 시장 전반의 하락에 민감
가격 제한 규칙은 변동성을 억제하고 시장 보호 효과를 가짐
상한가는 기업 내부 요인, 하한가는 시장 외부 요인에 의해 발생
Opinion
이 연구는 도쿄 증권거래소의 가격 제한 규칙이 주식 변동성을 완화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한가와 하한가가 서로 다른 메커니즘에 의해 발생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보여준다. 상한가는 기업의 긍정적인 실적 개선이나 성장 기대감에 의해 발생하는 반면, 하한가는 시장의 전반적인 하락 압력에 의해 주로 발생한다. 또한, 체계적 위험이 낮은 종목일수록 개별 요인으로 인해 상한가에 도달하는 경향이 있으며, 반대로 시장 전반에 민감한 종목은 급격한 하락을 경험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결과는 투자자가 주가 급등락의 원인을 분석할 때 기업 고유 요인과 시장 전반 요인을 구분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Core Sell Point
상한가는 기업 내부 요인, 하한가는 시장 외부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가격 제한 규칙은 주가 변동성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63
0
0
댓글
0
가장 먼저 댓글을 달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