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자 인식이 높을수록 단기적으로 주가 상승, 장기적으로 예상 수익률 하락
투자자 인식이 높아지면 기업은 자금 조달과 투자를 확대
단기적으로 투자자 인식이 주가 변동의 주요 요인(17.51% 설명), 장기적으로 펀더멘털이 더 중요(56.58% 설명)
투자자 인식과 펀더멘털을 함께 고려하면 주가 변동 설명력이 증가
Opinion
이 연구는 투자자 인식이 단기적인 주가 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며, 기업이 투자자 인식이 높은 시기에 적극적으로 투자와 자금 조달을 수행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단기적으로 투자 심리가 시장을 주도하지만, 장기적으로는 기업의 펀더멘털이 주가를 결정하는 핵심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는 시장에서 과열된 관심을 받는 주식이 단기적으로 상승할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기대 수익률이 낮아지는 현상을 설명한다. 투자자들은 투자 기간에 따라 투자자 인식과 기업의 펀더멘털을 적절히 활용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Core Sell Point
단기적으로 투자자 인식이 주가를 결정하지만, 장기적으로는 기업의 펀더멘털이 주가의 핵심 요인이다.
"What Makes Stock Prices Move? Fundamentals vs. Investor Recognition"
이 논문은 투자자 인식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존 연구를 종합하고 확장하여 제시한다. 1986년부터 2008년까지의 미국 주식 데이터를 사용하여, 투자자 인식은 주가 움직임의 뚜렷하고 중요한 결정 요인임을 밝혀냈다.
주요 결과
1.투자자 인식과 수익률의 관계:
투자자 인식 변화와 실현 수익률의 양(+)의 상관관계: 투자자들의 관심이 증가하는 주식은 일반적으로 더 높은 수익률을 보인다.
이는 투자자들의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해당 주식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주가가 상승하는 현상을 반영합니다.
투자자 인식 수준과 예상 수익률의 음(-)의 상관관계: 투자자 인식이 높은 주식은 낮은 예상 수익률을 제공합니다.
이는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은 주식은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인식되어 투자자들이 더 낮은 수익률을 감수하려는 경향 때문일 수 있습니다. 또한, 많은 투자자들이 몰리는 만큼 경쟁이 심화되어 주가가 상승하고, 결과적으로 예상 수익률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2. 기업의 투자 및 자금 조달 결정:
투자자 인식과 투자 활동: 기업은 투자자 인식이 높은 시기에 새로운 투자를 활발하게 진행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투자자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자본 비용이 낮아지고, 더 많은 투자 기회가 매력적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투자자 인식과 자금 조달: 기업은 투자자 인식이 높은 시기에 새로운 증권 발행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증권 발행이 더 용이해지고, 자금 조달 비용도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3. 투자 기간에 따른 펀더멘털과 투자자 인식의 상대적 중요성:
단기 (분기별): 투자자 인식은 단기 주가 움직임을 설명하는 데 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분기별 수익률 변동의 17.51%를 투자자 인식이 설명하는 반면, 펀더멘털은 8.64%만 설명합니다.
장기 (5년): 펀더멘털은 장기 주가 움직임을 설명하는 데 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5년 수익률 변동의 56.58%를 펀더멘털이 설명하는 반면, 투자자 인식은 37.92%만 설명합니다.
해석: 단기적으로는 투자 심리가 주가를 좌우하는 주요 동력이지만, 장기적으로는 기업의 실질적인 가치가 주가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4. 통합 설명력:
펀더멘털과 투자자 인식을 함께 고려할 경우, 분기별 수익률 변동의 22.29%, 5년 수익률 변동의 61.72%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이는 투자자 인식 외에도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이 존재한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예시: 소매 투자자의 단기적인 관심 변화, 일시적인 유동성 충격 등
핵심 내용 상세:
* 투자자 인식: 더 많은 투자자가 특정 주식에 대해 알게 되면, 해당 주식의 가격이 상승하고 예상 수익률은 감소한다. 이는 투자자들이 덜 알려진 주식은 더 높은 위험을 감수해야 하므로 더 높은 수익률을 요구하기 때문일 수 있다.
* 기업 행동: 기업은 투자자 인식이 높아져 자본 비용이 낮아질 때 새로운 자금 조달 및 투자 활동을 늘리는 경향이 있다.
* 투자 기간: 단기적으로는 투자자 인식이 주가에 큰 영향을 미치지만, 장기적으로는 기업의 펀더멘털이 주가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이는 단기적으로는 투자 심리가 주가를 움직이는 주요 동력이지만, 장기적으로는 기업의 가치에 따라 주가가 수렴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이다.
결론:
투자자 인식은 주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기업의 자원 배분 결정에도 영향을 미친다. 기업은 투자자 인식을 높이기 위해 IR 활동과 투자 은행 활동에 상당한 자원을 할당하며, 이는 주가 상승과 자본 비용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이 연구는 Baker and Wurgler (2007)가 제시한 투자 심리 (investor sentiment) 연구와 관련되어 있으며, 투자 심리는 투자자 인식의 중요한 결정 요인일 가능성이 높다.
시사점:
투자자는 단기적인 주가 예측을 위해 투자자 인식 변화를 분석하고, 장기적인 투자 결정을 위해서는 기업의 펀더멘털을 중점적으로 분석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