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한국 주식 시장이 미국, 일본, 중국과 얼마나 유사하게 움직이는지 측정하고, 이러한 동조성의 주요 결정 요인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2003년부터 2016년까지의 한국 산업별 데이터를 사용하여 국제 자본 자산 가격 결정 모형(ICAPM)에 기반한 분석을 수행한다.
주요 연구 결과:
1.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한국 주식 시장의 국가별 동조성 변화:
* 미국 및 일본과의 동조성 감소: 글로벌 금융 위기 (2008-2009) 이후 한국 주식 시장 수익률과 미국 및 일본 주식 시장 수익률 간의 상관관계가 감소했다. 이는 위기 이후 한국 경제와 미국/일본 경제 간의 연관성이 약화되었거나, 한국 주식 시장이 이들 국가의 영향을 덜 받게 되었음을 시사한다.
* 중국과의 동조성 증가: 반면, 한국 주식 시장 수익률과 중국 주식 시장 수익률 간의 상관관계는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증가했다. 이는 중국 경제의 성장과 함께 한국 경제와 중국 경제 간의 상호 의존성이 심화되었음을 의미한다.
2. 무역 연계성이 동조성의 주요 동인:
* 무역 연계성은 한국과 세 국가 간의 주식 수익률 동조성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으로 밝혀졌다. 이는 한국 제조업체의 수출입 활동이 해당 국가의 경제 상황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이는 주식 시장 수익률에도 반영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한국과 특정 국가 간의 무역량이 많을수록 해당 국가 주식 시장의 움직임이 한국 주식 시장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3. 금융 연계성의 영향 미미:
* 외국인 주식 투자는 한국과 세 국가 간의 주식 수익률 동조성과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외국인 투자자들이 한국 주식 시장에 투자할 때 펀더멘털 요인이나 특정 기업의 가치에 더 집중하며, 전체 시장의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외국인 투자자들은 단기적인 차익 거래를 추구하는 경향이 있어 장기적인 동조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할 수도 있다.
4. 산업별 차이:
* 이 연구에서는 한국의 24개 제조업 산업별 데이터를 사용하여 분석을 수행했다. 산업별 특성에 따라 특정 국가와의 동조성이 더 강하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 예를 들어, 중국과의 무역 의존도가 높은 산업은 중국 경제의 영향을 더 크게 받을 수 있으며, 이는 주식 수익률 동조성에도 반영될 수 있다.
5. 정책적 시사점:
* 특정 국가와의 무역 집중은 국내 금융 시장에 불안정 요인이 될 수 있다. 한국 경제가 특정 국가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경우, 해당 국가의 경제 위기나 정책 변화가 한국 주식 시장에 큰 충격을 줄 수 있다.
* 따라서 한국은 외국과의 무역 다변화를 추진하여 특정 국가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금융 시장의 안정성을 확보해야 한다.
추가 설명:
이 논문은 ICAPM 모형을 활용하여 한국 주식 시장의 국제적 연계성을 분석하고, 무역 연계성이 주요 동인임을 실증적으로 보여준다. 특히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한국과 중국 간의 동조성이 강화된 반면, 미국 및 일본과의 동조성은 약화되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 경제가 중국 경제와 더욱 밀접하게 연결되고 있으며, 무역 다변화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데이터:
2003년부터 2016년까지의 주간 데이터 사용
한국 표준 산업 분류(KSIC) 기준에 따른 24개 제조업 산업 데이터
UN Comtrade 데이터베이스에서 한국과 세 국가 간의 연간 수출입 데이터 수집
한국은행 경제 통계 시스템(ECOS)에서 연간 평균 환율 데이터 수집
전반적으로, 이 연구는 한국 주식 시장의 국제적 연계성을 분석하고, 무역 다변화의 중요성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