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 위기 당시 공매도 금지가 시장에 미친 영향 (24.09.14)
최초 작성: 2025. 3. 12.

중립
이 글은 중립적 관점에서 작성된 분석글입니다. 투자는 항상 신중한 판단 하에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74
0
0
Fact
유동성 악화: 호가 스프레드 8% 증가, Amihud 비유동성 지표 상승 → 거래 어려움 증가
거래량 감소: 평균 14.9% 감소 → 시장 내 유동성 공급자 감소 영향
변동성 감소: 평균 8.4% 감소 → 공매도 제한이 시장 안정화에 기여한 가능성
가격 영향 미미: 공매도 금지가 주가를 떠받치거나 하락시키는 효과는 크지 않음
금지 조치 후 지속적 영향: 유동성 악화, 거래량 감소, 변동성 감소 효과가 금지 해제 이후에도 지속됨
주식 특성별 차이: 대형주, 고분산 주식, 파생상품 상장 주식에서 유동성 악화 더 뚜렷
Opinion
이 논문은 공매도 금지가 시장 유동성을 저하시킬 가능성이 높으며, 가격 방어 효과는 제한적임을 보여준다. 공매도 금지는 거래량을 감소시키고 시장 유동성을 악화시키는 반면, 주가에는 큰 영향을 주지 못한다. 즉, 시장 안정화를 위해 공매도를 제한하는 정책이 반드시 주가 상승으로 이어지지는 않으며, 오히려 시장 유동성을 감소시켜 거래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Core Sell Point
2020년 유럽 공매도 금지 조치는 유동성과 거래량을 감소시키는 부작용을 초래했으며, 가격 방어 효과는 제한적이었다.
74
0
0
댓글
0
가장 먼저 댓글을 달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