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절한 마켓 타이밍과 행운, 그리고 강력했던 강세장 등이 어울어지면서, 많은 투자자들이 지난 봄에 발생한 코로나 폭락 시점이후 엄청난 이익을 얻고 있다.(물론 뒤늦게 참여한 투자자들은 수익이 적을 수 있다). 2020년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했던 기업들 가운데 상당 수가 2021년에 추가적인 상승세를 경험했다. 반면에 다소 현실로 돌아온 종목들도 존재한다. 왔습니다. 이러한 종목들을 보유하고 있는 것은 행복한 고민이지만 또한 다음과 같이 머리를 써야 하는 의사결정에 직면해 있다.
①지금 차익실현을 해야 하는 것일까?
②아니면 추가적으로 과감하게 비중을 더 늘려야 하나?
③그것도 아니라면 그냥 들고만 있어야 할까?
작년 3월 저점이후, S&P 500 지수는 거의 75% 상승하면서 1950년 이후 가장 큰 폭의 지수 상승을 기록했다. 이러한 상승세는 개별 주식이나 암호화폐와 비교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다.
2020년 3월 23일 시장이 바닥을 친 이후 Tesla는 750% 가까이 상승했다. Wayfair는 900% 이상 상승했다. Penn National Gaming은 820% 급등했다. Bitcoin은 650% 오른 반면 이더리움은 1000% 이상 올랐다. 이는 어느 투자자에게나 대단한 장기 수익율에 해당되는 것이다. 그런데 워낙 짧은 기간에 이러한 수익률을 얻었다는 점에서 다음에 무엇을 해야 할지 고민하게 만든다.
차익실현을 해야 할까? 아니면 더 오를 것으로 기대하면서 그대로 보유해야 할까? 그렇지 않으면 차세대 주도주를 찾아봐야 하는 것일까? 불행하게도, 미래는 알 수 없기 때문에 쉬운 해답은 없다. 분명히, 막대한 이익을 챙기는 것은 투자자로서 행복한 고민이지만, 만약 여러분이 여러분의 행동을 안내해 줄 적절한 계획이 없다면, 이는 문제가 될 수 있다.
수정 구슬 대신에, 투자자들이 한가지 종목으로 부터 막대한 이익을 취한 이후 다음에 무엇을 해야 할지 고민해봐야 하는 다섯 가지 질문이 있다.
1. 내가 이 종목을 매수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는 투자자로서의 여러분이 어떤 투자대상이든지 매수하기 전에 반드시 스스로에게 물어봐야 할 질문이다. 왜냐하면 이는 여러분의 리스크 성향과 투자기간을 정의할 때 도움이 된다. 그러나 여러분은 대규모 손실을 입었을 때보다는 대규모 이익을 얻고 있을 때 이러한 질문을 하는것이 더 많은 도움이 된다.일부 투자자들은 어떤 경우에도 buy &hold전략을 선호한다. 또 다른 투자자들은 차익실현이나 손절매와 같은 전술적인 매매를 선호하기도 한다.많은 가상화폐 찬성론자들은 영원히 buy&hold 하기로 결정한 것 같다. Tesla도 비슷한 매수 기반을 갖고 있다. 여러분이 엄청난 변동성을 감내하기로 결정한 이상 이러한 전략은 전려혀 잘못된 것이 아니다.
어떤 사람들은 buy&hold하려는 강인한 인내심이 없는 경우도 있다. 만약에 이러한 경우라면, 행동에 옮길 수 있는 출구 전략이나 적어도 주먹구구식의 원칙을 갖고 있어야 한다. 그렇게 하면 주식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매도시점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된다.
2. 차익실현한 자금을 사용할 좋은 계획을 갖고 있는가?
CNBC에서 활약하고 있는 투자전문가 Jim Cramer는 최근에 Bitcoin에서 차익실현한 돈을 모기지 상환에 사용하기로 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렇다면 Jim Cramer는 Bitcoin이 추가적으로 상승해도 미련을 갖지 않을까? 거의 그렇다고 확신 한다.나는 어느 누구도 기회비용에 상관없이 모기지를 상환하는데 후회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어떤 사람들은 부채를 상환할 때 더 높은 리스크 기준을 갖고 있다. 또 어떤 사람들은 이자나 다른 사람들로 부터 돈을 빌리는 것을 싫어한다.
여러분이 차익실현한 돈을 사용할 좋은 계획을 갖고 있다면, 나머지 여생동안 금융관련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주도주를 매도하는 것은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3. 적절한 더 좋은 투자기회가 있는가?
순전히 투자자로서의 자세를 견지하기 위한 가장 간단한 방법 가운데 한가지는 여러분은 현재 현금만을 갖고 있고 처음부터 다시 시작한다면 이를 어떻게 투자해야 하는지를 생각해보는 것이다.여전히 동일한 자산군, 펀드 또는 현재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에 투자할 생각인가? 다른 투자 방법을 생각하고 있는가? 변하지 않는 것은 무엇일까?
과세대상계좌를 보유하고 있다면 이에 따른 세금문제가 있기 때문에 여러분은 매일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투자행위를 할 수 없다. 하지만 생각해볼 점은 새로운 시각으로 포트폴리오를 찾아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자신만의 투자 전략을 고려해야 한다.
4. 어떤 투자계획을 갖고 있는가?
포트폴리오와 계획간에는 커다란 차이가 있다. 주식 포트폴리오, 뮤추얼 펀드, ETF, 다른 투자대상등은 단지 여러분이 매수한 것이다. 그 다음으로는 포트폴리오 운용이고, 이를 위해서는 구체적인 행동의 지침이 필요하다.포트폴리오 운용에는 시장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든지 간에 상관없이 사전에 이에 관한 의사결정과 예측력을 위한 좋은 계획이 필요하다. 만약에 여러분이 단순히 매도 또는 리밸런싱 원칙이 없이 주가가 상승하기를 기원하면서 투자대상을 매수한다면, 결국에는 여러분은 이에 따른 책임을 고스란히 떠 안아야 한다. 어느 누구도 상승만 하는 투자대상을 매수할 만큼 뛰어나지는 않다.
전량매도를 윈한 한가지 대안은 원칙에 기반한 리밸런싱 계획을 세우는 것이다. 여러분이 작년 3월에 Tesla를 2%정도 매수했다고 가정해보자. 7배 상승하게 되면 포트폴리오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5%에 이르게 된다. 여러분은 동 종목에 대한 투자비중 한도를 갖고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러분이 Tesla의 비중이 10%에 이를때 마다 비중을 줄이고 그다지 강력하지 않은 종목을 편입한다고 가정해보자. 또한 이와 같이 주가가 큰 폭으로 상승하기전에 Tesla가 60%이상 하락했다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여러분은 여러분의 포트폴리오에서 5%미만까지 하락할 때마다 추가매수하는 원칙도 갖고 있어야 한다.
여러분이 안도할 만한 수준에 기반한 포지션 크기를 파악해야 한다. 그러나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저점매수/고점매도를 하는 기계적인 방법이다. 이는 더 낮은 가격에 매수할 기회가 많아지기 때문에 변동성이 큰 투자에 도움이 될 수 있다.
5. 차익실현으로 인해 가장 후회할 요인은 무엇일까?
투자 그 자체는 후회를 최소화하는 형태이다. 여러분은 미래에 더 많은 돈을 가지고 무언가를 소비할 기회를 주기 위해 현재 소비를 포기하고 있는 것이다.
일부 투자자들은 다른 투자자들보다 급락구간에서 버티는데 더 능숙할 수 있다. 또 어떤 사람들은 장기적으로 더 낮은 기대수익률을 얻기 위해 리스크를 줄인다 하더라도 변동성을 줄이는 리스크 관리 전략에 더 능숙할 수 있다.여러분이 포지션을 어떻게 처분하든지 간에, 여러분은 여러분의 포트폴리오에서 커다란 이익을 실현한 이후 이보다 더크게 후회할 요인이 무엇인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너무 빨리 이익실현에 나서서 추가적인 이익기회를 상실하는 것은 아닌지, 또는 너무 오래 보유해서 이러한 대규모 이익이 줄어들지는 않는지에 대한 생각을 해봐야 한다.
후회를 최소화하기 위해 필요한 가장 중요한 요소는 투자자로서의 자신과 어떤 감정이 가장 부담이 되는지를 이해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