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OP의 월평균 방문자수(MUV)는 작년 동기 대비 17% 감소
목표주가가 기존 14만원에서 8만2000원으로 하향 조정(전일 종가 대비 15.1% 낮음)
글로벌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예: 트위치)은 MAU와 체류시간이 각각 12%와 24% 감소
Opinion
숏폼 콘텐츠 확산으로 라이브 스트리밍 시장이 급격히 위축되고 있으며, 경쟁력 약화와 매출 감소 우려로 SOOP의 실적 개선 전망은 매우 불투명하다. 이로 인해 단기적 반등에 머무를 가능성이 크며, 향후 성장성이 악화될 위험이 높다.
Core Sell Point
라이브 스트리밍 시장 위축과 경쟁 심화로 인한 구조적 리스크가 커지고 있으므로, 보수적으로 포트폴리오를 재구성하자.
최근 숏폼 콘텐츠의 확산과 함께 라이브 스트리밍 시장이 뚜렷하게 위축되고 있다. 국내 주요 플랫폼인 SOOP의 월평균 방문자수(MUV)가 전년 동기 대비 17% 감소하며, 기술적으로도 사용자 체류 시간이 급감하는 추세가 관측된다. 글로벌 대표 플랫폼 트위치의 월간활성이용자수(MAU)와 체류시간 역시 각각 12%와 2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라이브 스트리밍 산업 전반의 성장성이 의문시되고 있다.
이러한 시장 환경 변화에 따라 미래에셋증권은 SOOP에 대해 투자의견 '매도'를 제시했다. 목표주가는 기존 14만원에서 8만2000원으로 하향 조정되었으며, 전날 종가보다 15.1% 낮은 수준이다. 제품 가격 인상에도 불구하고 라이브 스트리밍 수요가 급감하고, 경쟁 플랫폼과의 격차가 벌어지면서 SOOP의 실적 개선 전망은 불투명해졌다. 또한, 글로벌 동향과 국내외 경쟁 심화로 인해 SOOP의 향후 성장성이 크게 악화될 우려가 있다.
더불어, 업계에서는 숏폼 콘텐츠로 인한 소비자 관심 분산과 함께, 경쟁력 약화 및 매출 과대 계상 의혹에 따른 회계 감리 등이 추가 리스크로 작용하고 있다고 본다. 이 모든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가운데, SOOP의 주가 상승은 단기적 반등에 불과할 가능성이 높아, 현재의 포지션을 청산하고 보수적인 투자 전략을 채택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