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마트의 실적 전망이 시장 기대치를 밑돌면서 투자자들의 우려를 키웠다. 이에 따라 월마트 주가는 6.53% 급락했고, 타겟과 갭 등 소매 판매주도 각각 2.00%, 2.65% 하락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뉴욕 증시 3대 지수가 일제히 하락했다. 다우존스 지수는 1.01% 떨어졌으며,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주간 고용 지표 악화와 콘퍼런스보드의 1월 경기선행지수 하락으로 경기 둔화 우려가 커졌다.
특히, 금융권에서도 타격이 컸다. 골드만삭스와 제이피모간체이스 등 주요 은행주가 각각 3.87%, 4.46% 하락했다.
한편, 트럼프 행정부의 국방 예산 감축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AI 방위산업 관련 기업인 팔란티어의 주가가 5.17% 하락하는 등 시장의 불안이 확대되었다.
매출: 1,806억 달러로 전년 대비 4.1% 증가, 고정환율 기준(cc) 5.3% 증가
총마진율: 53bps(0.53%) 상승, 주로 Walmart U.S. 부문의 성장이 주도
영업이익: 6억 달러 증가(8.3% 상승), 조정 기준(cc) 9.4% 증가
높은 총마진 및 멤버십 수익 증가의 영향
전자상거래(eCommerce) 부문의 수익성 개선 효과 반영
글로벌 전자상거래 매출: 16% 증가, 주로 매장 기반 픽업 및 배송 서비스와 미국 마켓플레이스 성장이 주도
Flipkart의 ‘Big Billion Days’(BBD) 세일 이벤트 일정 변경으로 일부 성장 둔화
글로벌 광고 사업: 29% 성장, 그중 미국 내 Walmart Connect 사업은 24% 성장
조정 주당순이익(EPS): $0.66, 일부 항목 제외
주식 및 기타 투자에서 발생한 0.02달러 손실 제외
오피오이드 관련 법적 합의금 수익 0.01달러 포함
VIZIO 인수 완료
월마트는 전자상거래 및 광고 사업의 강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VIZIO 인수를 통해 스마트 TV 기반 광고 및 디지털 전략을 더욱 강화할 계획임.
3.0%~4.0% 증가 예상
윤년(lapping leap year) 기저효과로 약 100bps(1.0%) 역풍 요인 포함
VIZIO 인수 효과로 약 15bps(0.15%) 순풍 요인 반영
0.5%~2.0% 증가 예상
윤년 기저효과로 약 250bps(2.5%) 역풍 요인 포함
VIZIO 인수로 약 70bps(0.7%) 역풍 요인 반영
$0.57~$0.58 예상
환율 영향으로 약 $0.02 감소 반영
자료: walmar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