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홈게시글서비스요금제소개

메뉴

홈
게시글
서비스
요금제
검색
소개
logo
logo

Company

AboutTerms of Service Privacy Policy

Social

LinkedIn Twitter Discord

Contact

contact@coresixteen.com coresixteen.com
상호주식회사 코어16
대표조윤남
사업자등록번호762-81-03235
유선 전화번호070-4225-0201
주소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83, 오투타워 6층

Test1

article
박재훈투영인 프로필 사진박재훈투영인
지금 걱정해야 할 것은 시장 집중도가 아니라 고평가 문제 (25.02.10)
최초 작성: 2025. 3. 19.
중립
중립
이 글은 중립적 관점에서 작성된 분석글입니다. 투자는 항상 신중한 판단 하에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NONE
종목 없음
18
0
0
Fact
S&P 500 상위 10개 기업이 전체 지수 가치의 37.5% 이상 차지. 2024년 시장 수익의 상당 부분은 'Magnificent Seven'이 기여. 역사적으로 특정 섹터(철도, 금융 등)가 시장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한 사례 존재. 1960년대 이후 시장 집중도가 낮아진 시기에는 평균 수익률이 저조. S&P 500의 현재 예상 실적 대비 주가배수(P/E)는 22배로 장기 평균(16.4배) 대비 높음. Magnificent Seven의 평균 P/E는 43.3배,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4.4%.
Opinion
시장 집중도가 높은 것이 반드시 나쁜 것은 아니며, 역사적으로 특정 섹터가 시장을 주도하는 현상은 반복되어 왔다. 문제는 집중도가 아니라 고평가된 주식 가격이며, 현재 시장은 장기 평균 대비 높은 밸류에이션을 보이고 있다. 젊은 투자자들은 노동소득이 주식시장 변동성을 완충할 수 있지만, 은퇴를 앞둔 투자자들은 포트폴리오 보호 전략을 고려해야 한다.
Core Sell Point
시장 집중도 자체보다 주식의 고평가 리스크를 인식하고, 투자자의 연령과 재무 상황에 맞는 자산 배분 전략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거대 기업들이 너무 비대해진 것일까?​

지난 주 S&P 500 지수 상위 10개 기업의 Market Cap이 전체 지수 가치의 37.5% 이상을 차지했다. 많은 시장 전문가들은 주식시장이 이처럼 소수의 종목에 위험할 정도로 집중된 적이 없다고 말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 미국 주식시장은 과거에도 이보다 더 Market Concentration이 높았던 적이 있다. 문제는 이러한 집중도가 시장을 상위 편중적으로 만든다는 것이 아니라, Overvalued되게 만든다는 점이다.​

이 문제를 얼마나 걱정해야 하는지는 주식 시장의 움직임보다는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여러분의 능력에 달려 있다. 젊을수록 걱정할 필요는 줄어든다. 젊은 투자자들은 나이 든 투자자들이 갖지 못한 이점이 있다: 바로 앞으로의 Labor Income이다.​

무엇을 걱정해야 하고 하지 말아야 할지 이해하기 위해, 몇 가지 기본적인 사실들을 살펴보겠다.​

지난해 S&P 500 지수가 기록한 25%의 Total Return 중 절반 이상이 이른바 'Magnificent Seven'이라 불리는 소수의 기업들에서 나왔다: Alphabet, Amazon.com, Apple, Meta Platforms, Microsoft, Nvidia, Tesla. 특히 Nvidia는 171.2%의 수익률을 기록하며 2024년 전체 시장 수익의 5분의 1 이상을 차지했다. 하지만 이처럼 소수 기업이 시장을 지배하는 현상은 특이한 일이 아니다.​

현재 기술주가 S&P 500 시장 가치의 31%를 차지하고 있다. 1812년에는 은행과 보험회사 등 금융주가 미국 전체 주식시장 시가총액의 71%를 차지했다. 뉴욕대학교의 리처드 실라와 센트럴 미시간 대학교의 로버트 라이트 금융 역사학자들에 따르면, 당시 다른 어떤 섹터도 14%를 넘지 못했다고 한다. London Business School과 Cambridge University의 금융 연구진인 Elroy Dimson, Paul Marsh, Mike Staunton의 연구에 따르면, 1900년에는 철도 기업들이 미국 전체 주식시장 가치의 63%를 차지했다. Pennsylvania Railroad는 단독으로 미국 주식시장의 12%를 차지했는데, 이는 현재 시가총액 1위 기업인 Apple이 S&P 500에서 차지하는 비중인 7% 미만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다.​

시장 집중도가 낮아지는 것이 투자자들에게 반드시 좋은 것인지도 명확하지 않다. Morgan Stanley의 투자 전략가 Michael Mauboussin에 따르면, 상위 10개 기업의 미국 시장 가치 비중이 1960년대 중반 약 30%에서 1981년에는 그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처럼 집중도가 하락했던 긴 기간 동안 주식 수익률은 장기 평균을 크게 밑돌았다.

​

주식 수익률은 양의 왜도(Positive Skewed)를 보입니다. 즉, 손실은 0까지만 가능한 반면 수익은 무한히 커질 수 있어 일부 주식이 수년간 계속해서 커지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합리적인 결론은 하나입니다. 최적의 시장 집중도라는 것은 없으며, 대형주들의 규모가 커져 위험이 치솟게 되는 특정 시점을 정확히 구분하는 것도 불가능하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투자자들이 진정으로 걱정해야 할 것은 Overvaluation이다.​

Strategas Research Partners에 따르면, S&P 500 지수는 현재 향후 12개월 예상 실적 대비 약 22배에 거래되고 있다. 이는 1990년 이후 평균인 16.4배를 크게 상회하는 수준이다. Strategas의 분석에 따르면, 다른 모든 지표들(매출 대비 주가, 현금흐름, 장부가치, 지난해 실적, 장기 인플레이션 조정 실적 등) 에서도 주식 시장은 수십 년 만의 최고치에 근접해 있다.​

지난달 말 기술주가 주춤했음에도 불구하고, Magnificent Seven은 이번 주 향후 12개월 예상 실적 대비 평균 43.3배에 거래되고 있다. 게다가 지난 가을부터 크게 상승한 10년물 미국채 금리가 4.4%를 기록하면서, 주식의 상대적 위험은 수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에 도달했다.​

최근 많은 Wall Street Journal 독자들이 미국 주식의 고평가 우려에 대해 이메일을 보내왔다. 그중 Andrew Jacobs는 이렇게 물었다: "30대에게는 대부분 주식 위주의 공격적인 투자를 조언하는데... 만약 제가 잘못된 시기에 주식 비중을 높게 가져가게 된다면 어떨까요? 차라리 더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를 구성했어야 했다고 후회하게 될 것 같다."

이에 대해 세 명의 투자 이론가들의 의견을 구했다: Connecticut주 Eastford의 Efficient Frontier Advisors의 William Bernstein, 장기 자산 수익률을 연구하는 Santa Clara University의 은퇴 경영학 교수 Edward McQuarrie, 그리고 1990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Stanford University의 명예 금융학 교수 William Sharpe이다.​

이들은 모두 한 가지 의견에 동의했다. 주식을 충분히 오래 보유하면 채권보다 항상 좋은 성과를 낼 것이라는 일반적인 믿음과는 달리, 장기적으로 그럴 가능성은 높지만 절대 확실한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현재 주식이 비쌀수록, 향후 좋은 성과를 낼 것이라는 기대를 더 낮춰야 한다.​

세 전문가는 또 다른 점에서도 의견이 일치했다:. 20대, 30대, 40대에는 Human Capital이 매우 크다다. 이는 미래 직장 생활에서 얻게 될 수입의 현재 가치를 의미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이는 채권과 같다. 수십 년 동안 손실 위험이 거의 없는 안정적인 수입을 제공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젊었을 때 자금의 대부분을 주식에 투자하는 것은 지금처럼 주식이 고평가되어 보이더라도 합리적이다. Human Capital이 금융 자본의 하락을 상쇄할 수 있는 효과적인 장기 헤지 수단이 되기 때문이다. 주식이 훨씬 저평가된 미국 외 국가에 투자하는 것도 포트폴리오의 위험을 낮추는 또 다른 방법이다.​

하지만 은퇴했거나 은퇴가 임박한 경우에는 더 이상 수십 년의 급여가 보장되지 않으며, Human Capital이 헤지 수단으로서의 효력을 잃게 된다. 국채 물가연동채권(Treasury inflation-protected securities, TIPS)은 주식시장 하락 위험과 인플레이션의 침식 효과로부터 자산을 보호하는 이상적인 방법이다. 저는 TIPS에 투자했으며, 지금이야말로 여러분도 TIPS 투자를 고려해봐야 할 시점이라고 생각한다.

[Compliance Note]

·         셀스마트의 모든 게시글은 참고자료입니다. 최종 투자 결정은 신중한 판단과 개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함을 알려드립니다.

·         게시글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수익과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         코어16은 본 글에서 소개하는 종목들에 대해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 매수 또는 매도할 수 있습니다.

​

18
0
0
댓글
0
가장 먼저 댓글을 달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