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홈게시글서비스요금제소개

메뉴

홈
게시글
검색
소개
logo
요금제
logo

Company

AboutTerms of Service Privacy Policy

Social

LinkedIn Twitter Discord

Contact

contact@coresixteen.com coresixteen.com
상호주식회사 코어16
대표조윤남
사업자등록번호762-81-03235
주소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83, 오투타워 6층

Test1

article
박재훈투영인 프로필 사진박재훈투영인
변동성을 기반으로 국면을 식별하고 매도 타이밍을 파악하는 방법 (21.12.06)
최초 작성: 2025. 3. 11.
중립
중립
이 글은 중립적 관점에서 작성된 분석글입니다. 투자는 항상 신중한 판단 하에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NONE
종목 없음
32
0
0
Fact
논문 주제: 다중 국면(regime)을 반영한 포트폴리오 최적화와 최적 매도 전략 사용 모델: 변동성 기반 Markov regime switching 모델 시장 상태 구분: 낮은 변동성, 중간 변동성, 높은 변동성의 3개 상태 분석된 요소(factors): 퀄리티(QMJ), 가치(HML), 크기(SMB) 국면 전환 확률 예측 방법: 설명변수(VXO, yield spread, MA 2500 등), 로지스틱/프로빗 회귀모형, TVTP(시간-변동 전환 확률) 사용
Opinion
이 논문은 시장의 변동성을 바탕으로 국면을 명확히 구분하고, 마르코프 전환 모델을 통해 국면 전환 확률을 보다 정확히 예측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특히 변동성이 높은 국면에서는 보수적 전략을 통해 손실을 최소화하며,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시장 상황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전략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다만, 장기적인 수익률 예측에 대한 설명 변수 추가의 효과가 제한적인 만큼, 모델의 주된 강점은 시장 상황 변화를 정확히 포착하여 위험 관리 및 자산 배분의 유연성을 제공하는 데 있다.
Core Sell Point
변동성을 기준으로 한 Markov regime switching 모델을 통해 시장의 국면 변화를 예측하고, 방어적인 자산 배분 전략을 적용하면 시장 불확실성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Factor Timing Using a Markov-switching Model"제목의 논문은 마코프 전환 모델을 활용해 투자 요소 수익률의 결합 과정을 모델링하고, 포트폴리오 최적화 문제에서 다중 국면을 통합했을 때의 효과를 분석한다. 이 모델은 변동성을 기준으로 국면을 식별하며, 높은 변동성 시기에는 보다 보수적인 투자를 수행한다.

논문에서 사용하는 팩터(요소)는 다음과 같다:

1. 퀄리티 마이너스 정크 (Quality Minus Junk, QMJ): 기업의 퀄리티(수익성, 성장성, 안전성, 배당 등)가 높은 주식과 퀄리티가 낮은 주식 간의 수익률 차이를 나타내는 요소.

2. 고가치 마이너스 저가치 (High Minus Low Value, HML): 장부 가치 대비 시장 가치(Book-to-Market Ratio)가 높은 주식(가치주)과 낮은 주식(성장주) 간의 수익률 차이를 나타내는 요소.

3. 소형 마이너스 대형 (Small Minus Big, SMB): 시가총액이 작은 주식(소형주)과 시가총액이 큰 주식(대형주) 간의 수익률 차이를 나타내는 요소.

국면 전환 확률 예측은 논문에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1. 설명 변수 활용: 국면 전환 확률을 예측하기 위해 다양한 설명 변수(explanatory variables)를 사용한다. 이는 시장 상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모델에 반영하기 위함이다. 설명 변수는 다음과 같은 범주로 나뉜다.

* 금융 조건: TED 스프레드 (TED spread)

* 경제 상황: 수익률 스프레드 (yield spread)

* 시장 심리: VXO (변동성 지수)

* 가치: MA 2500 (장기 이동 평균 대비 상대적 가치)

* 모멘텀: prior r (과거 수익률)

2. 로지스틱 회귀 (Logit Regression) 혹은 프로빗 회귀 (Probit Regression): 설명 변수들을 사용하여 국면 전환 확률을 예측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 혹은 프로빗 회귀를 사용한다. 이 방법은 특정 국면으로 전환할 확률을 0과 1사이의 값으로 예측하는 데 유용하다.

3. 시간-변동 전환 확률 (Time-Varying Transition Probabilities, TVTP): 국면 전환 확률이 시간에 따라 변하도록 설정한다. 이는 시장 상황이 고정되어 있지 않고, 시간에 따라 변화한다는 점을 반영하기 위함이다.

4. 평균 한계 효과 (Average Marginal Effects, AME): 설명 변수가 국면 전환 확률에 미치는 평균적인 영향을 계산한다. AME는 특정 변수가 한 단위 증가할 때, 다른 모든 변수가 일정하다고 가정했을 때, 특정 국면에서 다른 국면으로 전환할 확률이 평균적으로 얼마나 증가하는지를 나타낸다.

요약: 국면 전환 확률 예측은 다양한 설명 변수를 사용하여 로지스틱/프로빗 회귀를 통해 이루어지며, 시간-변동 전환 확률을 통해 시장 상황의 변화를 반영한다. 평균 한계 효과는 각 설명 변수가 국면 전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사용된다.

논문에서 시장 국면은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 기본 원칙: 시장 국면은 변동성에 따라 구분된다. 세 가지 국면은 각각 낮은 변동성(low-volatility), 중간 변동성(medium-volatility), 높은 변동성(high-volatility)으로 정의된다.

* 모델링: 마코프 전환 모델을 사용하여 시장 국면을 모델링한다. 각 국면은 고유한 수익률과 공분산 행렬을 가지며, 마코프 체인을 따라 전환한다.

* 상태 변수: 특정 시점에서 시장이 어떤 국면에 있는지는 마코프 체인의 상태 변수로 표현된다.

* 전환 확률: 국면 간 전환은 특정 확률로 발생하며, 이러한 전환 확률은 시간에 따라 변할 수 있다(시간-변동 전환 확률).

* 구체적인 특징:

* 낮은 변동성 국면: 일반적으로 '상승장(bull market)'과 유사하며, 높은 지속성을 가진다(같은 국면에 머무르는 경향이 강함). 시장 수익률이 긍정적이며, 대부분의 요소가 안정적인 성장을 보인다.

* 중간 변동성 국면: 낮은 변동성 국면과 높은 변동성 국면 사이의 전환 상태로, UMD와 QMJ 요소가 존재하며, 다소 불안정하다.

* 높은 변동성 국면: 일반적으로 '하락장(bear market)'과 유사하며, 지속성이 낮다(국면이 자주 바뀜). 시장 수익률이 낮고, 경제적 침체와 관련이 있다.

* 국면 식별: 마코프 전환 모델은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현재 시장이 어떤 국면에 있는지 확률적으로 추정한다. 특정 국면에 대한 확률이 높을수록 해당 국면일 가능성이 높다.

요약하자면, 이 논문에서는 시장 국면을 변동성을 기준으로 세 가지 상태로 구분하고, 마코프 전환 모델을 사용하여 각 국면을 식별하며, 시간-변동 전환 확률을 통해 시장 상황의 변화를 반영한다.

32
0
0
댓글
0
가장 먼저 댓글을 달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