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 "What's So Special about the Time Series Momentum?"은 1950년 1월부터 2019년 4월까지의 S&P 500 지수를 사용하여 추세 추종 전략인 시계열 모멘텀(TSM)과 매수 후 보유(B&H) 전략의 성과를 비교 분석했습니다. 또한, 단순 이동 평균(SMA) 전략과 함께 TSM 및 B&H 전략의 수익성을 분석합니다.
1.Data and performance testing protocol (데이터 및 성과 테스트 프로토콜):
* 1950년 1월부터 2019년 4월까지 Yahoo Finance에서 S&P 500 지수의 일별 가격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에 사용했습니다.
* 월별 수익률을 계산하기 위해 각 월의 시작일과 마지막 날짜를 기준으로 수익률을 계산하는 두 가지 방식을 사용했습니다.
* 시계열 모멘텀(TSM) 전략에서는 Moskowitz et al.(2012)의 방법을 따라 지난 12개월간의 누적 수익률이 긍정적이면 해당 월의 수익률을 추가하고, 그렇지 않으면 거래가 없다고 가정하여 수익률을 0으로 처리했습니다.
* 표본 크기를 늘리고 월말 효과 편향을 피하기 위해 월별 수익률 대신 21일 거래일 수익률을 사용했습니다.
* 매수 후 보유(B&H), TSM 및 단순 이동 평균(SMA) 전략의 수익률을 비교하기 위해 쌍체 t-검정을 사용했으며, 샤프 비율도 비교했습니다.
2.Time series momentum versus buy-and-hold strategy in Jan 1950 – Apr 2019 (1950년 1월 ~ 2019년 4월 시계열 모멘텀 대 매수 후 보유 전략):
* 월별 및 21일 표본 모두 유사한 결과를 보였지만, 표본 크기가 큰 21일 표본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습니다.
* TSM은 수익률 측면에서는 B&H보다 낮은 성과를 보였지만, 변동성이 낮아 샤프 비율 측면에서는 더 나은 성과를 보였습니다.
* TSM은 지난 12개월 동안의 수익률이 음수일 때 나타나는 가격 상승 기회를 놓치는 경향이 있습니다.
Performance of the simple moving average strategy (단순 이동 평균 전략의 성과):
* SMA, B&H 및 TSM 전략의 성과를 10년 및 20년 기간 동안 비교했습니다.
* SMA 전략은 단기/장기 기간 조합 63/252을 사용하여 샤프 비율 측면에서 B&H 및 TSM을 능가했지만, B&H는 수익률 측면에서 더 나았습니다.
* B&H의 우수한 성과는 2004년 이전에 종료된 기간에만 유지되었으며, 최근 데이터 표본에서는 B&H 수익률이 20년 기간 동안만 TSM 및 SMA보다 우수했습니다.
* TSM은 B&H 및 SMA보다 거래 시작 날짜에 더 민감하게 반응했지만, SMA 수익률은 항상 긍정적이었습니다.
본 연구는 1950년부터 2019년까지 S&P 500 지수를 분석한 결과, 매수 후 보유 전략이 시계열 모멘텀 전략보다 높은 수익률을 보였지만, 시계열 모멘텀 전략은 낮은 변동성으로 인해 더 나은 위험 조정 수익률을 제공했습니다. 단순 이동 평균 전략은 과거에는 시계열 모멘텀 전략보다 뛰어난 성과를 보였지만, 최근에는 그 차이가 줄어들었습니다. 따라서 장기 투자 전략을 선택할 때 수익률과 위험 조정 수익률을 모두 고려해야 하며, 시장 상황에 따라 적합한 전략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