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대선 6개월~4개월 전: 초기 상승 국면
2. 대선 3개월~1개월 전: 우세 후보 테마주 상승
3. 대선 1개월 전~선거일 전날: 하락세
4. 선거 이후 일주일: 상승주는 급등, 하락주는 급락
Opinion
D-47 ~ D-30: 후보자 여론조사 결과에 따라 우세 후보 관련주에 집중 투자하세요.
D-30 ~ D-1: 변동성 급등 구간으로, 수익 실현을 고려하며 과도한 욕심은 금물입니다.
선거 이후 일주일: 상승 테마주에 추가 투자하고, 하락세가 뚜렷한 종목은 신속한 손절을 검토하세요.
Core Sell Point
정확한 타이밍과 리스크 관리 전략이 있다면, 정치 테마주도 유효한 투자처가 될 수 있다.
대선 국면이 다가오면 여의도뿐만 아니라 주식시장도 '정치 테마주'로 뜨거워집니다. 정치 테마주는 후보자 지지율과 정치적 이슈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높은 변동성을 보이기 때문에 데이터 기반의 철저한 전략이 필수적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과거 18대(2012년), 19대(2017년), 20대(2022년) 대통령 선거 데이터를 바탕으로 정치 테마주의 움직임을 분석하고 최적의 투자 전략을 제시합니다.
시점별 과거 데이터가 알려주는 정치 테마주 특성
1. 대선 6개월~4개월 전: 초기 상승 국면
18대 대선: 문재인 후보 관련 우리들휴브레인은 단 20일 만에 147% 급등, 박근혜 후보 관련 서한은 +23%, 비트컴퓨터는 +25% 상승했습니다.
20대 대선: 이재명 후보 관련 동신건설이 한 달 만에 +28%, 안철수 후보 관련 안랩과 써니전자는 각각 +49%, +55% 급등했습니다.
2. 대선 3개월~1개월 전: 우세 후보 테마주 상승
후보 등록과 당내 경선을 통해 최종 후보가 확정되며 우세 후보 테마주의 변동성이 높아지는 시기입니다.
19대 대선: 문재인 후보 관련 국일신동과 조광페인트가 각각 +7.5% 상승했습니다.
20대 대선: 윤석열 후보 관련 덕성, 서연, NE능률이 선거 40일~30일 전 기간에 각각 +5.0%, +5.9%, +7.5% 상승했습니다.
3. 대선 1개월 전~선거일 전날: 하락세
선거 직전 대부분의 정치 테마주는 상승분을 반납하며 큰 폭으로 하락합니다.
18대 대선: 박근혜 후보 관련 EG(-18.9%), 서한(-21.5%), 비트컴퓨터(-33.1%) 급락. 문재인 후보 관련 우리들휴브레인(-49.8%), 우리들제약(-50.6%), 바른손(-21.7%)도 큰 폭 하락했습니다.
20대 대선: 윤석열 후보 관련 덕성(-25.3%), 서연(-15.2%), NE능률(-25.0%)과 이재명 후보 관련 오리엔트정공(-8.9%), 에이텍(-15.5%), 동신건설(-15.0%)이 하락했습니다.
4. 선거 이후 일주일: 상승주는 급등, 하락주는 급락
대통령이 당선 되고 난 이후 정치 테마주는 어떻게 될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주가가 하락할 경우 급격한 하락을 보이고, 상승할 경우 강하게 상승합니다.
대표적인 사례를 볼까요?
18대 대선: 박근혜 후보의 EG는 +13.5%, 안철수 후보의 써니전자는 +51.3% 상승한 반면 문재인 후보의 우리들휴브레인은 -27.4% 급락했습니다.
20대 대선: 윤석열 후보 관련 덕성(-14.2%), 서연(-11%), NE능률(-13.1%)이 하락했으며, 안철수 후보 관련 안랩(+29.1%), 오픈베이스(+22.3%), 써니전자(+29.4%)가 급등했습니다.
데이터 기반의 투자 전략 제안
21대 대통령 선거가 47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정치 테마주는 "투자"이기보다는 "대응"의 영역입니다. 분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략을 세워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