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장은 실체가 될 수 있을까-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수주와 이익률 사이에서 (25.04.10)
최초 작성: 2025. 4. 8.

중립
이 글은 중립적 관점에서 작성된 분석글입니다. 투자는 항상 신중한 판단 하에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22
0
0
Fact
• 5공장 가동 시작, 6공장 연내 착공 계획
• 2024년 CDMO 매출: 2조 8,983억 원
• 2024년 기준 수주총액: 163억 달러 (약 23.5조 원)
• 수주잔고: 82억 달러 (약 11.8조 원) → 최소 4년치 물량 확보
• 2024년 유형자산 감가상각: 2,919억 원 / 신규 취득 자산: 1조 7,875억 원
• 현재 가동률: 75.2%, 지속적으로 상승 중
• 영업이익률: 2022년 32.8% → 2024년 29.0%로 소폭 하락
• 주가 급등 이유: 관세 이슈에서 제외 + 증권사 성장 보고서 발간
Opinion
• 관세 제외로 ‘하락 요인 제거’는 맞지만, ‘급등 이유’는 다소 과잉 해석
• 공장 증설로 인한 감가상각 증가가 단기 이익률 저하를 유발할 수 있음
• Capex 지출은 아직 변동비처럼 작용하지만 향후 고정비화 시 레버리지 효과 기대
• 매출은 늘고 있지만 아직은 이익의 극적인 증가로 연결되진 않음
• 시장은 현재 ‘미래 수주’와 ‘점유율 확대 가능성’을 선반영 중
Core Sell Point
• 높은 밸류에이션 부담: 2025E PER 약 70배 이상
• 이익률 하락은 단기적이나, 성장성을 지나치게 선반영할 경우 밸류 조정 가능성 존재
• 공격적인 Capex 전략이 수익보다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는 구간
• 가동률이 100% 도달 전까지 수익성 비효율 구조가 당분간 지속
• 실적 레버리지 효과가 본격화되기 전까지 "비용이 먼저 눈에 띄는 국면"
22
0
0
댓글
0
가장 먼저 댓글을 달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