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 가격 급등과 강세 지속 전망 (25.03.18)
최초 작성: 2025. 3. 18.

중립
이 글은 중립적 관점에서 작성된 분석글입니다. 투자는 항상 신중한 판단 하에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40
0
0
Fact
금 가격 상승: BofA, Citi, Macquarie, 금 강세 전망($3,000 돌파, 목표 $3,500). 중국·중앙은행 매수 증가, 안전자산 선호 심리 강화.
금 ETF 매수 전환: 4년간 매도세 후 2024년 순매수, 2월 자금 유입 2020년 7월 이후 최대. 개인 투자자 매수 시 추가 상승 가능.
주식시장 변동성 위험: 경제 위기 시 금 상승, 하지만 주식 폭락 시 금 매도 가능성. 단기 조정 가능성 경고(TD), 장기 강세(BofA).
실질 금리 상승에도 금 강세: 금리 상승에도 금 수요 증가, 재정 적자·국채 신용 위험 회피 요인 작용.
중앙은행 매수 지속: 1월 18톤 추가 매입, 중국 4개월 연속 매수(7,361만 온스). Goldman Sachs, 연말 목표 $3,100.
Opinion
금 가격 상승의 핵심 동력은 중앙은행 매수, 경기 불안, 안전자산 선호 심리다. 특히 중국과 글로벌 중앙은행의 적극적인 금 매입이 상승세를 주도하고 있으며, 개인 투자자들의 본격적인 참여가 시작될 경우 추가적인 랠리가 가능하다. 그러나 주식 시장 급락 시 단기 조정 가능성이 있으며, 2008년 금융위기 및 2020년 팬데믹 당시와 같은 패턴이 반복될 수 있다. 금은 위기 시 안전자산으로 매수되지만, 유동성 확보를 위한 매도 가능성도 존재한다. 전통적으로 실질 금리 상승은 금 가격 하락 요인이지만, 이번 랠리에서는 재정 적자 확대, 국채 신용 위험 증가가 오히려 금에 대한 투자 선호를 높이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 요인이 장기적으로 금 가격을 지지할 가능성이 크다.
Core Sell Point
중앙은행 매수, 경기 불안,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금 가격 상승을 주도하며, 단기 조정 가능성이 있지만 장기적으로 강세장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40
0
0
댓글
0
가장 먼저 댓글을 달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