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대해 전 세계 모든 나라를 대상으로 25% 추가 관세를 부과할 계획을 발표했다.
한국은 현재 연 263만 톤의 철강을 무관세로 수출할 수 있는 쿼터를 유지하고 있으나, 이번 조치로 인해 해당 쿼터에도 25%의 관세가 적용될 가능성이 있다.
Opinion
이번 관세 조치는 한국을 직접 겨냥한 것은 아니지만, 미국 철강 시장에서 한국산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약화시킬 가능성이 있다.
한국 철강업체들은 관세 회피를 위해 미국 현지에 생산 시설을 건설하는 방안을 더욱 적극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이 여전히 불확실하며, 개별 국가와의 협상 가능성이 남아 있어 최종적인 영향은 추후 행정명령이 나온 후에야 명확해질 것이다.
Core Sell Point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대해 전 세계 모든 나라를 대상으로 25% 추가 관세를 부과할 계획을 발표함에 따라 한국도 영향권에 들어갈 수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전 세계 모든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대해 25% 추가 관세 부과를 발표했다. 한국은 현재 263만 톤까지 무관세 쿼터를 적용받고 있지만, 이마저도 25%의 관세 대상이 될 가능성이 있다.
과거 2018년 트럼프 1기 행정부에서도 무역확장법 232조를 적용해 25%의 관세를 부과했으며, 한국은 수출량을 줄이는 대신 무관세 혜택을 받는 방식으로 대응한 바 있다.
이번 조치는 한국을 직접 겨냥한 것이 아니지만, 미국 철강 시장에서 수입 철강 제품의 경쟁력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한국 철강업체들은 미국 현지 생산을 고려할 가능성이 높아졌으며, 현대제철은 이미 미국 내 제철소 건설을 검토 중이다.
향후 미국 정부의 구체적인 행정명령과 개별 국가 협의 여부가 한국 철강업계의 대응 전략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