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림픽 이후 중국 어디로]흔들리는 경제지표(2008.8.27)
최초 작성: 2025. 2. 14.

매도
이 글은 매도 의견이 포함된 분석글입니다. 제시된 위험 요소들을 충분히 검토하시기 바랍니다.
45
0
0
Fact
중국 상반기 무역흑자 전년대비 12% 감소
중국은 한국 수출의 22% 차지하는 최대 시장
선전 최저임금 750위안→900위안(20% 인상)
선전 진출 대만기업 8%(150곳) 폐업
중국 도시화율 40% 수준
정책기조 '경기과열·인플레이션 억제'에서 '경기후퇴 방지'로 전환
한국기업들 향후 8-9% 성장률 전망
Opinion
중국 경제가 매우 위험한 전환점에 도달한 것으로 보입니다. 긴축정책의 후유증과 수출 둔화가 동시에 발생하는 가운데, 임금 상승 압박으로 인한 기업 이탈까지 겹치면서 구조적 문제가 심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우려되는 점은 산업구조 고도화 정책이 한국 기업들과의 직접적인 경쟁 심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Core Sell Point
중국의 긴축 후유증, 수출 둔화, 임금 상승이 동시에 발생하는 가운데 산업구조 고도화까지 추진되면서 한국 경제에 대한 위협이 전방위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45
0
0
댓글
0
가장 먼저 댓글을 달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