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S&P500 6.8배 vs 금 11배, 킹 골드의 귀환
최초 작성: 2025. 9. 8.
매수
매수
이 글은 매수 관점에서 작성된 분석글입니다. 투자는 항상 신중한 판단 하에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47
2
0
Fact
2025년 상반기 달러는 1973년 이후 최악의 성과(-10% 내외), 금은 1980년 이후 최고 상승률(+30%)을 기록했으며, 장기적으로 금은 1999년 대비 11배 올라 S&P500(6.8배)을 앞질렀다
Opinion
이는 달러 예외주의에 균열이 생기고, 불확실성 시대에 금이 여전히 본능적 피난처이자 장기 성과에서도 우위를 점한 자산임을 보여준다
Core Sell Point
달러 약세와 금 강세는 단순한 가격 움직임이 아니라, 글로벌 자산 질서 재편과 투자 포트폴리오 축의 변화를 시사한다

도이치뱅크 전략가 Jim Reid가 최근 발간한 차트북에는 올해 상반기 금융시장의 변화를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차트들이 실려 있다. 특히 눈에 띄는 것은 미국 달러와 금의 상반된 궤적이다. 달러는 1973년 이후 최악의 상반기 성과를 기록한 반면, 금은 1980년 이후 가장 강력한 상승세를 나타냈다. 이 차트들은 단순한 가격 움직임 이상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 글로벌 투자자들이 달러의 ‘예외성’을 다시 묻는 동시에, 불확실성의 시대에 금이 여전히 가장 본능적인 피난처임을 재확인하고 있기 때문이다.


1)달러의 2025년 상반기 성과: 달러의 예외주의의 균열, 1973년 이후 최악의 상반기 성과


이 차트는 미국 달러 인덱스의 상반기(H1) 성과를 1971년 이후 연도별로 보여주고 있다. 2025년 상반기, 가장 최근의 막대는 –10%에 가까운 낙폭을 기록하였으며, 1973년 이후 달러에 찾아온 최악의 상반기를 의미한다. 이는 단순한 환율 변동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다. 달러가 ‘유일한 안전통화’라는 인식이 흔들리기 시작했음을 보여주며, 글로벌 투자자들이 미국 경제의 예외적 지위를 재검증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2)금의 2025년 상반기 성과: 혼란 속 빛난 금, 1980년 이후 가장 강력한 상반기 랠리



이 차트는 금 가격의 상반기 성과를 1980년 이후 연도별로 나타낸다. 2025년 H1 상승률은 30%에 달해, 40여 년 만에 가장 큰 폭의 반등을 기록했다. 이는 불확실성과 변동성이 극대화된 환경에서 여전히 금이 투자자들의 본능적 피난처임을 보여준다.



3) 자산 총수익률 비교 (1999.12.31=100): 금, 21세기의 진정한 승자, S&P500을 넘어선 금의 위상


이 차트는 1999년 말 100을 기준으로 주요 자산의 총수익률을 비교한다. 2025년 현재, 금은 11배 이상 상승해 6.8배 오른 S&P500을 크게 앞질렀다. 금은 단순한 원자재를 넘어, 장기 투자 성과 측면에서도 글로벌 투자 포트폴리오에서 핵심 축임을 입증하고 있다.


4) 실질 금 가격 장기 추이 (1790년~): 역사 속 반복되는 사이클, 실질 금 가격의 1980년대 고점 재현



이 차트는 실질 금 가격($/oz)을 18세기 말부터 현재까지 장기적으로 추적한다. 금은 1971년 달러와의 금태환이 종료된 이후 실질 가치가 열 배 가까이 상승했으며, 최근 급등은 1980년대 초반의 고점 수준에 다시 도달하고 있다. 이는 장기적으로 대부분의 원자재가 인플레이션을 상회하기 어렵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금만큼은 예외적으로 화폐제도의 변화와 함께 주기적이지만 강력한 랠리를 반복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5)유가는 오르내리지만 결국 평균 회귀: 실질 유가로 본 150년 사이클


이 차트는 1870년 이후 WTI 유가를 실질 기준으로 나타낸 것이다. 단기적으로는 1970년대 오일쇼크, 2008년 금융위기 전 급등,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큰 폭의 변동을 보였지만, 장기적으로는 실질 평균치인 약 50달러 선에 수렴하는 모습이 반복된다. 이는 유가가 정치적 충격과 공급 차질에 민감하게 반응하면서도, 장기적으로는 인플레이션을 초과해 상승하기 어려운 원자재라는 구조적 성격을 보여준다.





[Compliance Note]

  • 셀스마트의 모든 게시글은 참고자료입니다. 최종 투자 결정은 신중한 판단과 개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함을 알려드립니다.
  • 게시글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수익과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 코어16은 본 글에서 소개하는 종목들에 대해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 매수 또는 매도할 수 있습니다.

























47
2
0
댓글
0
가장 먼저 댓글을 달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