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손해보험은 후순위채에 대해 콜옵션을 행사해 조기상환을 추진했지만, 금융감독원은 지급여력비율이 기준에 미달한다는 이유로 이를 불허했다.
이에 따라 한국예탁결제원도 상환 대금 지급과 투자자 계좌 이체 절차를 중단했다.
롯데손보는 일반계정 자금을 활용해 상환하겠다는 입장이며, 보험금 지급에는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이번 조기상환 추진은 자본성증권 시장의 투자심리를 위축시키고, 보험사의 자금 조달 비용 상승 우려를 키우고 있다.
Opinion
투자자 입장에서 이번 조기상환 결정이 마냥 긍정적으로만 보이진 않는다.
신용등급 하락 가능성과 자본 재확충 계획의 불확실성이 겹치면, 단기 상환 이득보다 장기 리스크가 더 클 수 있다.
결국 ‘빨리 돈을 받는 대신 리스크를 떠안는 구조’가 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신중한 해석이 필요하다.
향후 회사의 대응 방향과 금융당국의 제재 수위를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
Core Sell Point
롯데손보의 후순위채 조기상환 강행은 금융당국과의 충돌로 신뢰 리스크가 부각되며, 향후 제재 및 자본 확충 부담이 주가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후순위채 콜옵션 행사 배경 롯데손해보험은 2018년 발행한 900억 원 규모의 후순위채에 대해 발행 5년이 경과한 2024년 5월 8일, 콜옵션을 행사해 조기상환하기로 결정했다. 회사 측은 “일반계정 자금을 활용하므로 계약자 보험금 지급에는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금감원, 지급여력 부족 이유로 제동 그러나 금융감독원은 지급여력비율(K-ICS)이 150%를 하회한 점을 들어 콜옵션 행사를 불허했다. 금감원은 “건전성이 저하된 상황에서 일반계정으로 후순위채를 상환하는 것은 계약자 보호를 저해할 수 있으며, 보험업법 위반 소지가 있다”고 지적했다.
예탁결제원, 기술적 집행 불가 입장 한국예탁결제원 또한 금감원의 불승인을 근거로 콜옵션 행사 집행이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지급여력비율 미충족으로 상환 대금을 지급할 수 없고, 투자자 계좌 이체 절차도 중단된다는 설명이다.
자본성증권 시장에 미칠 여파 이번 사태는 자본성증권 투자 심리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신용등급이 낮은 보험사 및 금융사의 후순위채 조달 비용 상승, 채권시장 유동성 위축 가능성도 제기된다. 업계에서는 감독당국의 엄정한 대응 필요성도 함께 언급되고 있다.
향후 관전 포인트: 제재 수위와 자본 확충 방안 금감원은 현재 롯데손보에 대한 경영 및 검사 제재를 검토 중이다. 롯데손보는 유상증자 등 자본 확충과 함께 규정 준수 실태를 점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논란은 보험사의 재무건전성과 계약자 보호라는 두 축 간 균형을 재조명하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Compliance Note]
셀스마트의 모든 게시글은 참고자료입니다. 최종 투자 결정은 신중한 판단과 개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함을 알려드립니다.
게시글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수익과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코어16은 본 글에서 소개하는 종목들에 대해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 매수 또는 매도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