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수출 부진과 마케팅 비용 증가로 실적 악화가 지속되고 있으며, 특히 중국 의존도가 높아 소비 경기 반등 없이는 회복이 어려울 것으로 분석됩니다.
Core Sell Point
높은 중국 의존도와 내수 경기 부진으로 매출 성장에 제약이 있는 상황에서, 목표 주가는 13,200원으로 하향 조정되었으며, 2월 21일 종가 기준 현재 주가는 13,620원으로 목표 주가 13,200원을 넘어섰습니다.
목표 주가 20% 하향에 투자 등급도 Hold로 하향... 위기의 애경산업
By 흥국증권 이지원 애널리스트
2025-02-13
애경산업(018250)은 2024년 4분기 매출액은 1,71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 감소했으며, 영업이익은 3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6.5%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실적 하락의 주된 이유는 1) 핵심 화장품 수출국 중국의 수요 약세로 인한 매출 감소, 2) 마케팅 비용 증가입니다. 특히 2024년 4분기 화장품 사업부문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683억 원, 2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2% 하락, 70.4% 하락했습니다.
애경 산업은 화장품 주요 수출국인 중국에서의 실적 상승을 위해 중국에서 라이브 쇼핑 방송을 적극 활용하며 탑라인 회복 노력을 기울였지만 수출 부진을 막아내진 못했습니다. 또한 중국 시장의 매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지역 다변화와 리브랜딩을 위한 마케팅비 집행 또한 확대되어 화장품 부문의 수익성 악화가 심화된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 시장의 경우 주력 제품인 Age20's 에센스팩트의 컬러 확장과 제품 구성 리뉴얼, 아마존 중심의 마케팅 확대 전략 등 적극적으로 진출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이고 있으나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의미 있는 매출 인식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판단됩니다.
애경산업의 경우 해외 화장품 매출액에서 중국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이 80%로 매우 큰 수준입니다. 이에 따라서 중국 소비 경기의 영향을 크게 받습니다. 결국 애경산업의 높은 중국 의존도는 근본적 소비 경기 반등 없이 해외 수출의 지속적 성장을 장담할 수 없게 하는 요소로 작용됩니다.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경기부양책에도 불구하고 소비 부진은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으며, 흥국증권은 올해 중국 소비 경기 반등에 대해 부정적인 관점을 유지함에 따라 실적 추정치를 보수적으로 가정했습니다.
또한 생활용품 사업 부문에 있어서도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6% 하락, 45.7% 하락했습니다. 큰 폭의 영업이익 감소세에는 내수 소비 경기 부진에 따른 국내 매출 하락이 주된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파악됩니다.
이에 따라 흥국증권의 이지원 애널리스트는 애경산업의 목표주가를 기존 16,500원 대비 20% 하향한 13,200원으로 산출하였으며, 투자 등급 역시 기존 Buy에서 Hold로 하향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