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9월 시총 비중: 보통주 18.61%, 우선주 포함 20.72%
2022년 10월 이후 최저 수준
현재 주가 6만600원, 시총 361.7조원
장중 5만9900원까지 하락 (52주 최저가)
맥쿼리증권: 목표가 12.5만원→6.4만원 하향
Opinion
삼성전자의 시총 비중 하락은 단순한 주가 하락을 넘어서는 의미를 갖습니다. 한국 증시의 대표기업이자 글로벌 테크 기업으로서의 위상이 흔들리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특히 우려되는 점은 AI 반도체 시장에서의 경쟁력 약화입니다. HBM 시장에서 SK하이닉스에 주도권을 내주고, 엔비디아 공급망 진입이 지연되는 것은 향후 성장동력 확보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메모리 반도체의 공급과잉 우려는 이러한 구조적 문제를 더욱 악화시키는 요인입니다.
Core Sell Point
삼성전자의 시총 비중 하락은 AI 시대 기술 경쟁력 약화와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구조적 문제가 중첩된 결과로, 단기 반등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삼성전자의 주가가 연일 하락하면서 지난달 국내 증시 시가총액 비중이 2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6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9월 유가증권시장 내 삼성전자 보통주의 시가총액 비중은 18.61%로 집계됐다. 우선주와 합할 경우 시총 비중은 20.72%다. 이는 지난 2022년 10월 이후 최저치다.
당시 삼성전자의 시총 비중은 보통주 기준 18.05%였고 우선주까지 포함 시 20.32%였다.
시총 비중은 해당 기간 매일 거래된 삼성전자 최종 시가의 총액을 유가증권시장에서 거래되는 모든 종목의 최종 시가 총액을 합한 금액으로 나눈 비율을 1개월 평균한 수치다.
삼성전자의 주력인 반도체 사업이 지난해 사상 최악의 부진을 겪은 데 이어 경쟁사 대비 회복 속도가 더디면서 주가가 내린 영향으로 풀이된다. 특히 최근 인공지능(AI) 시장 확대로 급부상한 고대역폭 메모리(HBM) 시장의 주도권을 SK하이닉스에 빼앗긴 상태고, ‘큰손’ 고객인 엔비디아 납품도 늦어지고 있다.
이에 국내외 증권가는 9월 이후 삼성전자의 목표주가를 줄줄이 내리고 있다.
맥쿼리증권은 지난달 25일 삼성전자에 대한 보고서에서 메모리 부문이 다운 사이클에 진입하면서 수익성이 악화하고, D램 등 메모리 공급 과잉에 따라 평균판매단가(ASP)가 내림세로 전환하면서 수요 위축이 실적 둔화로 이어질 우려가 크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삼성전자의 목표주가를 기존 12만 5000원에서 6만 4000원으로 내리고, 투자 의견은 ‘중립’으로 하향 조정했다. 국내 증권사들도 대부분 삼성전자의 목표주가를 10만 원 이하로 낮췄다.
삼성전자는 10월 들어서도 주가 부진이 지속되고 있다.
가장 최근 거래일인 지난 4일 종가는 전 거래일 대비 1.14% 내린 6만 600원으로, 시총은 361조 7688억원을 기록했다. 지난 2일에는 장중 5만 9900원을 기록하면서 52주 최저가를 경신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