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에 대한 NH투자증권의 투자의견이 매수에서 중립으로, 목표주가가 1만3천원에서 1만1,500원으로 하향 조정됨
LG유플러스의 성장성과 차별화 요소가 약화되고 있음
영업이익 성장률이 둔화되는 추세이며, 신사업에서 아직 가시적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음
2024년 평촌 제2 IDC 센터 준공이 향후 매출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됨
Opinion
NH투자증권이 LG유플러스에 대해 투자의견을 하향한 배경에는 성장성 둔화와 차별화 요소 약화가 자리잡고 있습니다. 무선통신 사업에서의 점유율 경쟁력이 약해지고, 영업이익 성장세도 한계에 부딪히는 모습입니다. 신사업 투자에도 불구하고 가시적인 성과가 뒷받침되지 않고 있어 향후 실적 개선을 장담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목표주가 하향은 이런 부정적 전망이 반영된 결과라고 판단됩니다.
Core Sell Point
LG유플러스의 성장동력 약화와 수익성 정체라는 구조적 문제를 해결할 돌파구가 마련되지 않는 한 투자매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입니다.
LG유플러스 투자의견과 목표주가가 모두 낮아졌다.
LG유플러스는 3위 통신 사업자로서의 장점인 고성장 추세뿐 아니라 다른 통신사와 차별화된 포인트가 사라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안재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2일 LG유플러스 목표주가를 기존 1만3천 원에서 1만1500원으로, 투자의견을 매수(BUY)에서 중립(HOLD)으로 하향 조정했다.
1일 LG유플러스 주가는 1만110원에 장을 마쳤다.
안 연구원은 “LG유플러스는 점유율 상승으로 과거에는 무선 매출 성장폭이 경쟁사 대비 컸지만 지금은 큰 차이가 없는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LG유플러스는 영업이익 성장률도 둔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LG유플러스의 영업이익 성장률은 2020년 29.1%에서 2021년 10.5%, 2022년 10.4%, 2023년 0.8%, 2024년 3.4%로 둔화되는 구간에 진입한 것으로 파악된다.
콘텐츠, 인공지능, 구독서비스와 같은 신사업에 지속 도전하고 있으나 아직 가시적인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안 연구원은 “통신산업의 특성상 차별화가 쉽지 않지만 경쟁사를 따라가는 전략은 의미가 없다. LG유플러스의 고성장과 차별화 포인트가 사라지고 있다”며 “다만 최근 준공된 평촌 제2 IDC센터는 연면적 20만 대의 서버를 수용할 수 있는 대형 데이터센터로 2024년 이후 LG유플러스 매출 성장에 기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LG유플러스는 2024년 매출 12조1천억 원, 영업이익 1조1300억 원, 순이익 7033억 원을 낼 것으로 예상됐다. 2023년 실적 전망치보다 매출은 3.7%, 영업이익은 3.4%, 순이익은 1.1% 증가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