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셀스마트 재이
·
4개월 전
올해 실적 성장 빨간불... iM증권, LX세미콘 목표주가 -19% 하향 조정(25.02.25)
올해 실적 성장 빨간불... iM증권, LX세미콘 목표주가 -19% 하향 조정By iM증권 정원석 애널리스트2025-02-25LX세미콘(108320)의 2024년 연간 실적은 매출 1조 8,656억 원으로 전년 대비 -1.9% 감소했으며, 영업이익의 경우 1,670억 원으로 전년 대비 29.5% 증가했습니다. 지난해 비우호적인 반도체 업황으로 인해 매출은 역성장했으나, 재고관리 개선 및 고환율 효과에 힘입어 수익성을 개선했습니다.LX세미콘의 실적은 코로나 펜데믹 수혜가 강했던 지난 2022년 이후 크게 둔화하는 추세 속에 있습니다.iM증권의 정원석 애널리스트는 LX세미콘이 지난해와 더불어 올해 또한 실적 성장이 제한적일 것으로 분석했습니다.현재 2025년 1분기는 디스플레이 산업의 통상적인 비수기임에도 불구하고 주요 TV 세트 업체들의 TV 패널 수요가 강하게 이어지고 있습니다.이는 1) 중국 정부의 이구환신 정책에 따른 IT 기기 소비 심리 개선과 2)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리스크 완화를 위한 TV 제조사들의 전략적인 패널 구매 증가 때문입니다.특히 현재 미국에서 판매되는 TV 세트의 상당수가 높은 관세 부과가 예정된 멕시코, 중국 등에서 제조되고 있으므로 미국 내 점유율을 높이려는 TV 제조업체들은 미국 시장 TV 세트 출하 시점을 서두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TV 제조사들의 패널 구매 계획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그러나 LX세미콘의 경우 주요 TV 패널 고객사인 LG디스플레이의 사업 정상화를 위한 구조조정과 주력 중국 고객사 내에서의 LX세미콘 점유율 하락 등의 요인으로 실질적인 수혜를 받지 못할 것으로 예상됩니다.LG디스플레이가 중국 광저우 LCD 공장을 CSOT에 매각하며 향후 CSOT가 자국 내 업체를 통해 DDI 부품 수주 계약을 체결할 가능성이 크므로 LX세미콘은 점유율을 빼앗길 리스크가 있습니다.그 밖에도 주력 고객사인 LG디스플레이의 1분기 아이폰향 P-OLED 패널 출하량이 20%(YoY) 증가했지만, LG디스플레이는 이미 지난해 말 선제적인 구매를 통해 모바일용 DDI 재고를 확보한 것으로 파악됩니다. 이에 LX세미콘까지의 낙수효과는 크지 않을 것으로 분석됩니다.이처럼 LG디스플레이의 구조조정 및 DDI 공급사 다변화로 인해 LX세미콘의 실적 성장에는 압박이 가해지고 있습니다. DDI 단일 사업으로 기대할 수 있는 성장성에 한계가 존재하고 있는 것입니다.이에 따라 정원석 애널리스트는 LX세미콘의 목표주가를 기존 100,000원에서 81,000원으로 19% 하향 조정했습니다. 2월 25일 종가 기준 LX세미콘의 현재 주가는 64,900원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