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셀스마트 재이
·
4개월 전
믿었던 미국 너 마저... 2개 증권社, 클리오 목표주가 평균 -30% 하향 조정(25.02.24)
믿었던 미국 너 마저... 2개 증권社, 클리오 목표주가 평균 -30% 하향 조정By 현대차증권, 하나증권 화장품 섹터2025-02-24 클리오(237880)의 2024년 4분기 매출은 78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 감소했으며, 영업이익이 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9% 하락률, OPM 0.1%로 시장 컨센서스를 크게 하회했습니다.수익성 급감의 주요인은 사업 부진에 따른 매출 하락에 있으며, 일회성 비용 반영은 전혀 없었습니다.2024년 들어 클리오는 인디 브랜드 육성 및 해외 진출 국가 확대 등의 전략을 펼치며 광고선전비 투입을 늘렸으나, 투자처 분산 및 경쟁 심화의 영향으로 미진한 성과를 보였습니다. 국내 매출에서는 경쟁 심화에 따른 수요 위축으로 주요 성장 채널에서의 매출 감소가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H&B 채널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 감소했으며, 온라인 채널 매출 또한 5% 감소했습니다. 홈쇼핑과 면세의 경우 라이브 방송 축소 및 매장 수 축소 등의 영향으로 감소했습니다.해외 매출에서는 일본은 성장했으나, 2024년 K-뷰티의 흥행을 이끌었던 미국 및 동남아에서의 매출이 역성장을 기록하며 부진했습니다. 특히 미국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36% 감소한 65억 원을 기록하며 부진했습니다.이는 1) K-뷰티 진출 확대 및 경쟁 심화로 클리오 산하 스킨케어 브랜드 중 하나인 구달의 매출 위축과 2) 지난 7월 북미 모크라법(MoCRA) 발표에 따른 대응, 출고 지연으로 색조 신제품 입고가 늦어져 북미 메가 프로모션의 효과를 제대로 받지 못했습니다.동남아의 경우 베트남은 견조한 편이었으나, 베트남을 제외한 기타 국가에서의 판매가 다소 부진했습니다.수익성 측면에서도 매출 감소에 따른 하락이 컸습니다. 홈쇼핑과 면세 채널에서의 매출 감소도 판매 수수료는 전년 동기 대비 23% 감소했지만, 오히려 마케팅 비는 15% 증가한 것이 수익성 악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국가 별로 경쟁이 심화되거나 수요 위축에 따른 매출 부진이 2025년에도 이어질지는 지켜봐야할 것 같습니다.이에 따라 현대차증권과 하나증권은 클리오의 목표주가를 기존 대비 평균 -30% 하향 조정하며 25,500원으로 목표 주가를 재정립했습니다.2월 24일 종가 기준 클리오의 현재 주가는 18,020원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