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S 예상치 $1.57 (+156.5% YoY)
매출 예상치 $88.3억 (+29.8% YoY)
실적 발표 후 평균 수익률:
· 2주 뒤 –1.47%
· 1개월 뒤 –0.79%
Opinion
과거 데이터는 실적 발표 이후 주가 반등이 제한적이었음을 보여주며, 이번에도 실적보다 가이던스와 향후 수요 전망이 시장 기대와 충돌할 가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Core Sell Point
실적이 예상치를 상회해도, 보수적 가이던스는 주가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Micron Technology가 2025년 6월 25일 실적 발표를 앞두고 있다. 시장 예상은 주당순이익 $1.57, 매출 $88.3억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56.5%, +29.8% 성장한 수치다. 이는 고대역폭 메모리(HBM)와 AI 수요 증가, 전방업체들의 관세 회피 목적의 선제적 주문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히스토그램은 어떤 이벤트가 발생한 뒤, 과거에 그 종목의 수익률이 얼마나 오르거나 내렸는지를 한눈에 보여주는 그래프
빨간 점선(MEAN)은 평균 수익률을 나타내며, 과거에 이 이벤트 이후 보통 어느 정도 수익이 났는지를 보여준다.
파란 점선(Q1)과 초록 점선(Q3)은 수익률의 하위 25%와 상위 25% 지점을 표시한다. → 즉, Q1은 손실이 컸던 하위 그룹, Q3는 수익이 컸던 상위 그룹을나타냄.
하지만 과거 데이터를 보면, 실적이 시장 예상치를 10% 미만으로 상회하더라도 주가 반응은 제한적이었다. 실적 발표 후 2주 뒤 평균 수익률은 –1.47%, 1개월 뒤는 –0.79%로 오히려 하락하는 경향이 확인된다. 특히 Micron은 보수적인 가이던스를 제시하는 경향이 강해, 실적 대비 주가 반등이 미진했던 사례가 반복됐다.
마이크론 테크놀로지(MU) 예상치 상회(0~10%) 이벤트 : 1995년 이후 이벤트 31회 발생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예상치 상회 이벤트, 2주 뒤 수익률 분포>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예상치 상회 이벤트, 1개월 뒤 수익률 분포>
올해 들어 Micron 주가는 이미 +46.9% 상승했으며, 미국 반도체 투자계획과 AI용 HBM3E 수요 확대가 반영된 상태다. 결국 이번 발표에서는 실적 자체보다 향후 가이던스와 관련 코멘트가 주가 흐름을 결정짓는 핵심 요인이 될 가능성이 크다.
[Compliance Note]
셀스마트의 모든 게시글은 참고자료입니다. 최종 투자 결정은 신중한 판단과 개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함을 알려드립니다.
게시글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수익과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코어16은 본 글에서 소개하는 종목들에 대해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 매수 또는 매도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