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년 3분기 이후 메모리 반도체 업황 악화로 고객사 가동률이 하락.
- 반도체 Spot 가격은 2024년 3분기 이후 하락세.
- 2025년 상반기까지 전방 산업(NAND 업계)의 재고 조정 및 감산 기조 지속 예상.
Opinion
올해 상반기까지 전방 산업의 재고 조정 및 자체 생산 축소(Capa 축소) 기조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반기 가동률이 반등하더라도 인위적 감산 및 전환 투자 영향으로 작년과 비슷한 실적 수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되며 고객사의 GAA 기술 도입 지연으로 하반기 매출 성장 여력도 제한적일 것으로 분석됩니다.
Core Sell Point
고객사 가동률 조정 및 감산으로 인한 수요 감소가 지속될 가능성이 존재하며, 반도체 재고 조정 및 가격 하락 압력이 2025년 상반기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목표 주가가 35% 하향 조정됨에 따라 향후 주가 상승 여력이 제한적일 수 있음에 주의해야 합니다.
2025년에도 어려운 반도체 업황... 신투, 솔브레인 35% 목표주가 하향
By 신한투자증권 김형태 수석연구원, 여현석 연구원
2025-02-21
솔브레인(357780)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2차전지 전해액 및 전자 관련 화학 소재 제조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입니다. 솔브레인은 지난 2024년 4분기, 예상보다 부진한 메모리 반도체 업황에 따라 고객사 가동률이 하락하며 실적은 컨센서스를 하회했습니다.
이에 따라 신한투자증권의 김형태 수석 연구원은 올해 상반기 또한 전방 산업(NAND 업계)의 재고 조정 및 Capa 자체 축소 기조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하반기 가동률이 반등하더라도 대규모 전환 투자를 통한 인위적 감산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와 비슷한 실적 수준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처럼 고객사의 가동률 조정기에는 소재와 부품 수요가 축소되기 마련이므로, 반도체 업계의 소재 제조를 담당하는 솔브레인은 고객사 감산 추세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2024년 4분기 솔브레인의 실적은 매출 2,17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7% 상승하였고, 영업이익의 경우 37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5.3% 증가했습니다. 그러나 반도체 Spot 가격이 2024년 3분기를 기점으로 하락했고, 고객사들의 재고 소진이 선행되어 향후 가동률 상승은 제한적입니다.
전방 산업의 재고 조정 및 감산 기조는 반도체 가격 하락이 둔화되는 2025년 상반기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고객사의 GAA 본격화가 지연됨에 따라 하반기 매출 성장 여력 또한 상대적으로 덜할 것으로 분석됩니다.
이에 따라 신한투자증권의 김 수석 연구원은 솔브레인의 목표 주가를 기존 2024년 6월 11일 보고한 40만 원에서 약 35% 하향한 26만 원으로 조정했습니다.
기존 P/E 가치평가에서 Target PER도 17.9배에서 13.7배로 약 23.4% 배수 하향 조정 했습니다.
비교적 PER가 높았던 2022년과 2023년의 평균 PER 멀티플을 Target PER로 선정한 방식에서 2021년 ~ 2023년 평균 PER 멀티플을 Target PER로 변경하며 최근 3개년의 업황을 반영한 것으로 분석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