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시장 분석 및 주요 종목 업데이트 (2025-10-20)
최초 작성: 2025. 10. 21.
중립
중립
이 글은 중립적 관점에서 작성된 분석글입니다. 투자는 항상 신중한 판단 하에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0
0
0
Fact
2025년에는 건설, 배터리, 원자력 등 인프라와 에너지 섹터의 성장 기대가 높아지고 있으며, 글로벌 공급망 확대와 신사업 추진이 시장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여러 기업들이 해외 원전사업, 배터리 공급 확대, 신약 개발, 글로벌 수주 등 실적 개선과 성장 기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또한, 디지털 헬스케어, 엔터테인먼트, 자율주행 등 신성장 분야에서도 긍정적 전망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Opinion
시장 전반적으로 2025년 성장 모멘텀이 강화되고 있으며, 기업들은 글로벌 공급망 확장과 신사업 추진을 통해 실적 개선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일부 기업은 단기적 변동성이나 글로벌 경기 둔화 가능성에 대비하며, 장기 성장 전략을 추진 중입니다. 전반적으로 인프라 투자 확대와 신기술 개발이 시장의 성장 기대를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Core Sell Point
단기적 글로벌 경기 둔화와 원자재 가격 변동, 일부 기업의 사업 지연 가능성은 주의해야 할 리스크입니다. 또한, 경쟁 심화와 기술개발 지연, 해외 수주 일정 지연 등도 성장 모멘텀에 영향을 줄 수 있으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셀스마트 인디입니다. 오늘의 종목 분석입니다.

시장 개요

2025년에는 건설, 배터리, 원자력 등 인프라 및 에너지 관련 섹터의 성장 기대가 높아지고 있으며, 글로벌 공급망 확대와 신사업 추진이 시장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엔터테인먼트, 디지털 헬스케어, 자율주행 등 신성장 분야에서도 실적 개선과 시장 기대가 지속되고 있어 전반적으로 성장 모멘텀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섹터별 하이라이트

건설/인프라: 현대건설과 현대차의 해외 원전사업 및 글로벌 플랜트 수주 기대가 높아지고 있으며, 미국과 유럽 시장에서의 원전 프로젝트 추진이 실적 회복과 성장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배터리/에너지: LG에너지솔루션과 엘앤에프의 글로벌 배터리 공급 확대와 양극재 수주 기대, 포스코퓨처엠의 천연흑연 공급계약 체결이 장기 성장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바이오/제약: 한미약품과 파마리서치의 신약 개발, 글로벌 시장 확대 전략이 실적 호조와 가치 재평가 기대를 이끌고 있으며, 기술 이전 및 R&D 모멘텀도 지속되고 있습니다.

엔터테인먼트/디지털: 와이지엔터테인먼트의 글로벌 활동 확대와 수익성 개선, 휴비츠의 디지털 덴티스트리 신제품 출시 기대가 시장 내 성장 기대를 높이고 있습니다.

반도체/자동화: 코미코와 코윈테크의 글로벌 생산시설 증설, 공급 확대와 자동화 수요 증가가 산업 전반의 경쟁력 강화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핵심 포인트

  • 글로벌 공급망 확장과 신사업 추진이 2025년 시장 성장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하며, 에너지, 건설, 배터리 섹터의 실적 개선 기대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 신기술 개발과 공급 확대, 글로벌 수주 경쟁이 기업 가치 재평가와 성장 모멘텀을 견인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 단기적 변동성 및 글로벌 경기 둔화 가능성은 존재하나, 장기적으로는 인프라 투자 확대와 신사업 강화를 통해 시장 전반의 성장세가 지속될 전망입니다.

HDC현대산업개발

투자포인트:

  • 2025년 3분기 매출액 약 1조원, 영업이익 740억 원으로 예상
  • 내년 영업이익은 479.6십억원으로 증가 전망, 영업이익률 약 10.6% 기대
  • 3Q25 외주주택 일회성 정산손실로 수익성 일시적 부진 예상
  • 2025년 예상 매출액은 4조 1990억 원, 영업이익은 325억 원으로 집계

투자 인사이트: HDC현대산업개발은 2025년 3분기 실적이 약 1조원 수준으로 예상되면서, 분양과 사업 진행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어요. 내년에는 수익성 회복 기대와 함께 영업이익이 크게 늘어날 전망이지만, 외주주택 부문의 일회성 비용이 수익성에 일시적 영향을 미칠 수 있어요. 시장에서는 제재수위 강화와 영업 정지 우려로 밸류에이션이 하락하는 모습도 보여지고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사업 안정화와 분양물량 유지가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앞으로 신규 착공사업과 내년 추가 분양 계획이 실적 개선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여,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겠어요.

HL만도

투자포인트:

  • 2025년 3분기 영업이익, 전년 동기 대비 11% 증가 전망
  • 관세비용 낮아짐으로 수익성 개선 기대, 390.3억원 전망
  • 최근 3년간 연평균 수주금액 15.1조원으로 성장세 유지
  • 관세부담 낮아지면 산업 전반에 긍정적 영향 기대

투자 인사이트: HL만도는 2025년 3분기 영업이익이 약 918억 원으로 전망되며, 전년 동기 대비 11%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관세비용이 낮아지면서 수익성 개선이 기대되고 있는데요, 2025년 영업이익 전망치는 약 390억 원입니다. 최근 3년간 연평균 수주금액이 15.1조원으로 양호한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어 앞으로도 성장 가능성이 높아 보여요. 관세 비용 부담이 해소되면 산업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고, 이는 시장의 기대와 부합하는 모습입니다. 다만, 관세 인하가 예상보다 지연되거나 낮은 효과를 가져올 위험도 고려해야 합니다. 전반적으로 수익성 개선 기대와 성장세가 조화를 이루고 있어, 앞으로의 실적 흐름이 주목됩니다.

LG에너지솔루션

투자포인트:

  • 2025년 3분기 매출액 5.7조원(57,000억원), 영업이익 6,013억원 기록
  • 2025년 예상 매출액 23,362억원, 영업이익 1,804억원으로 전망
  • 폴란드 공장에서 르노 Ampere 향 LFP 파우치 배터리 공급이 2025년 말부터 시작될 예정
  • 해외 LFP 배터리 장기 공급 계약이 미국에서 약 6조원 규모로 체결됨

투자 인사이트: LG에너지솔루션은 2025년 하반기부터 폴란드 공장에서 르노의 Ampere 모델에 공급하는 LFP 배터리와 미국에서의 대규모 장기 공급 계약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어요. 2025년 3분기 실적이 컨센서스를 상회하며, 2026년에도 매출과 영업이익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특히 유럽과 미국 시장에서의 수주 확대와 신사업 추진이 장기 성장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여요. 시장에서는 이 같은 공급 확대와 신사업 기대를 바탕으로 LG에너지솔루션이 섹터 내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다만, 환율 변동과 경쟁사 대응 속도는 여전히 고려해야 할 위험 요소입니다. 전반적으로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와 수익성 개선이 기대되는 기업입니다.

LG전자

투자포인트:

  • 2025년 인도법인 매출, 전체 매출의 약 6% 차지 전망
  • 2025년 인도법인 영업이익, 전체 영업이익의 약 12% 예상
  • 인도법인 시가총액, 18조원으로 본사 시가총액 13조원보다 높게 평가
  • 2025년 10월 14일 인도법인 IPO, 공모금액 약 1.8조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

투자 인사이트: LG전자는 인도 시장에서 강력한 유통망과 높은 성장 기대를 받고 있어요. 특히 2025년 인도법인 IPO 성공으로 시장의 평가가 높아졌으며, 앞으로 인도 내 가전시장 점유율 확대와 매출 성장 가능성이 크다고 보여집니다. 인도는 인구가 많고 가전 보급률이 낮아 성장 잠재력이 매우 크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시장 지배력을 강화할 수 있는 좋은 기회로 보입니다. 다만 글로벌 경기 둔화와 원자재 비용 상승은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요. 전반적으로 인도 내 성장 기대와 저평가 구간이 맞물려, 앞으로의 실적 개선이 기대되는 종목입니다.

SK텔레콤

투자포인트:

  • 2025년 3분기, AI CIC 출범 이후 5년간 AI 매출 목표 5조원 달성 기대
  • 2025년 4분기, 판교 데이터센터 양수와 울산 AI 데이터센터 구축 예정
  • 2025년 3분기 실적, 매출액 4조561억 원으로 전년 대비 0.8% 감소 예상
  • 2025년 3분기 영업이익은 112억 원으로 전년 대비 97.9% 감소 예상

투자 인사이트: SK텔레콤은 인공지능 분야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지속하며, 5년간 5조원 규모의 AI 매출 목표를 세우고 있어요. 3분기 실적은 부진했지만, 4분기부터는 정상화가 기대되고 있습니다. 특히, 판교와 울산에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 등 인프라 확장에 힘쓰고 있어 경쟁력을 높이고 있죠. 이러한 AI 전환과 인프라 투자로 기업가치가 점차 올라갈 것으로 보여, 앞으로의 성장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어요. 시장에서는 AI 사업 확대 기대와 함께, 부진한 실적이 일시적일 수 있다는 전망이 공존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SK텔레콤은 기술력과 인프라 확장에 힘쓰는 기업으로서, 장기적인 성장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대우건설

투자포인트:

  • 2025년 3분기 영업이익, 전년 동기 대비 47.3% 하락한 509억 원 기록
  • 이라크 토목공사 발주 일정 지연으로 해외토목 부문 수익성 부진 예상
  • 2025년 매출액은 8,506십억 원, 영업이익은 369십억 원으로 전망
  • 하반기 해외토목 공사 계약 연장 또는 지연 관련 공지로 수주 기대감 유지

투자 인사이트: 대우건설은 해외토목 부문에서 이라크 침매터널 준공지연 등으로 인해 수익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요. 3분기 영업이익이 기대보다 낮았고, 원가 부담이 지속될 것으로 보여서 수익성 개선이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하지만, 수주는 누계 기준 10조 원을 넘기며 연간 가이던스인 14.2조 원 달성 가능성도 열려 있어요. 건축과 플랜트 부문은 비교적 안정적인 마진을 유지하고 있어, 전체적으로는 업황이 부정적이지만 일부 부문은 견조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시장은 단기적으로 수익성 악화 우려를 반영해 약한 반응을 보이고 있지만, 하반기 해외공사 계약 연장 기대감도 함께 존재하는 상황입니다. 앞으로 원가 부담과 해외공사 일정 지연이 어떻게 전개될지 주목할 필요가 있겠어요.

에스엠

투자포인트:

  • 2025년 예상 영업이익 1,733억 원, 98.1% YoY 성장 전망
  • 2026년 영업이익 2,126억 원으로 22.6% 증가 예상
  • 2026년 P/E는 18.3배로 경쟁사 중 가장 낮아 저평가 상태
  • 3Q25 예상 영업이익 491억 원, 전년 동기 대비 268.6% YoY 증가

투자 인사이트: 에스엠은 저연차 IP, TME, MD 등 핵심 성장 모멘텀을 유지하며, 2025년과 2026년 실적이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특히 3분기 실적은 시장 기대치를 소폭 상회하며 실적 안정성을 보여주고 있어요. 현재 시장에서는 낮은 P/E 배수와 성장 잠재력을 높이 평가하고 있으며, 글로벌 경쟁사 대비 저평가된 상태입니다. 다만, 실적 하향 조정 가능성과 글로벌 경기 변동성은 주의해야 할 리스크로 남아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성장 모멘텀과 저평가 상태를 고려할 때, 향후 주가 상승 여력이 충분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엘앤에프

투자포인트:

  • 2025년 3분기 매출액, 6,70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1% 증가
  • 2026년 3분기 대구공장 연 3만톤 생산 후 공급 시작 예정
  • 2025년 3분기 영업이익, 81억원으로 컨센서스(69억원) 상회
  • 2025년 하반기 외형 성장 지속, LFP 양극재 수주 기대감 높아

투자 인사이트: 엘앤에프는 2025년 3분기에 매출액이 6,709억원으로 크게 늘어나면서 실적이 양호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요. 특히, 2026년 3분기 이후 대구공장에서 연 3만톤 규모의 공급이 시작되고, 연말까지 6만톤이 추가될 예정이라 앞으로의 성장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답니다. 테슬라와 SK온 등 글로벌 고객사의 수요가 꾸준히 늘어나면서, LFP 양극재 공급 확대와 글로벌 수요 확장도 기대되고 있어요. 이러한 공급 확대는 국내외 배터리 및 양극재 산업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요. 다만, 글로벌 경기 둔화와 원자재 가격 변동성은 잠재적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와이지엔터테인먼트

투자포인트:

  • 2025년 3분기 영업이익, 341억 원으로 시장 기대치 상회
  • 2025년 매출액, 2,113억 원으로 전년 대비 153% 증가 예상
  • 2025년 EPS, 3,629원에서 4,325원으로 수익성 개선 전망
  • 2025년 영업이익, 87십억 원 기록하며 흑자 전환 기대

투자 인사이트: 와이지엔터테인먼트는 2025년 실적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보여요. 3분기 영업이익과 매출이 시장 기대를 뛰어넘으며, 아티스트 활동 확대와 글로벌 투어 효과가 실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답니다. 특히, 코첼라 참여와 신인 그룹 데뷔 계획이 장기 성장 모멘텀을 만들어줄 것으로 기대돼요. 글로벌 인지도 상승과 브랜드 가치 강화도 기대할 수 있어, 앞으로의 성장 가능성이 흥미롭네요.

코미코

투자포인트:

  • 2025년 예상 영업이익 1170억 원, 2026년 1480억 원, 2027년 1740억 원으로 전망되어 성장세 지속
  • 2025년 3분기 매출액 1513억 원, 영업이익 297억 원으로 예상되며, 전년 동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증가
  • 대만 및 우시 FAB 준공, 미국 오스틴 공장 증축 등 글로벌 생산시설 증설이 진행 중으로 공급 확대 기대
  • 반도체 공급 확대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신규 인력 채용 및 설비 증설이 지속되어 산업 전반에 긍정적 영향 예상

투자 인사이트: 코미코는 2024년부터 2027년까지 매출과 영업이익이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어요. 특히 2025년에는 영업이익이 1170억 원에 달할 전망이고, 3분기 실적도 전년 동기 대비 크게 늘어나면서 실적 호조가 계속되고 있죠. 글로벌 생산시설인 대만과 우시 FAB의 준공, 미국 오스틴 공장 증축 등 증설 계획이 진행 중이어서 공급망이 확대되고 경쟁력이 강화될 것으로 보여요. 이러한 성장 기대감은 시장에서도 높게 평가되고 있으며, 공급 확대와 수요 호조가 지속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따라서, 반도체 산업 내에서의 위치와 성장 잠재력을 고려할 때, 코미코는 앞으로도 산업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아 보여요.

코윈테크

투자포인트:

  • 2025년 9월 글로벌 ESS 제조기업 대상 신규 수주, 1,042억 원 대비 100% 이상 증가 예상
  • 2021년부터 이차전지 전극 공정의 AGV 개발 및 공급, 글로벌 배터리 업체에 공급 실적 확보
  • 2024년 매출액 2440억 원, 영업이익 360억 원, 순이익 1100억 원, PER 9.3배, ROE 9.5%로 안정적 재무구조 유지
  • 2024년 3분기 실적 개선 기대, 물류로봇 성장과 자동화 수요 확대에 따른 매출 증가 전망

투자 인사이트: 코윈테크는 물류로봇 시장의 성장과 함께 2025년까지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어요. 특히, 2024년 글로벌 ESS 제조기업 대상 신규 수주가 1,042억 원을 넘어서며 수주가 크게 늘어난 점이 눈에 띕니다. 2021년부터 이차전지와 반도체, 디스플레이 산업의 자동화 장비를 공급하며 시장에서의 입지를 다지고 있고, 앞으로도 자동화 수요가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여요. PER이 9.3배로 비교적 낮아 밸류에이션 리레이팅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답니다. 전반적으로 물류로봇과 공정 자동화 분야의 성장세가 지속되면서, 관련 산업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집니다.

파마리서치

투자포인트:

  • 2025년 예상 EPS 99.9원으로, 2024년 26.1원 대비 약 282% 성장 전망
  • 2025년 3분기 예상 매출 583억 원, 영업이익 243억 원으로 실적 호조 기대
  • 신사업 추진과 글로벌 시장 확대 전략이 실적 성장의 핵심 동력
  • 산업 평균 P/E 13.7배와 ROE 최대 31.6%를 감안할 때 밸류에이션 매력 존재

투자 인사이트: 파마리서치는 2025년 실적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어요. 특히 EPS가 99.9원으로 예상되어, 지난해보다 훨씬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입니다. 3분기 매출과 영업이익도 각각 583억 원과 243억 원으로 전망되어 실적 호조가 예상됩니다. 신사업과 글로벌 시장 확대 전략이 실적을 견인할 것으로 보여, 앞으로의 성장 가능성도 높게 평가되고 있어요. 시장에서도 파마리서치의 성장 기대감이 높게 형성되어 있으며,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브랜드 가치 상승이 기대됩니다. 다만, 경쟁 심화와 글로벌 경기 변동성 등 위험 요소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포스코퓨처엠

투자포인트:

  • 2025년 3분기 매출액 9,104억원, 전년 동기 대비 1% 감소 예상
  • 2025년 3분기 영업이익 237억원, 영업이익률 2.6%로 전망
  • 2027년 10월부터 2031년 9월까지 글로벌 자동차 업체에 약 6,710억원 규모의 이차전지용 천연흑연 공급계약 체결 예정
  • 중국 외 핵심 원자재 공급망 확보로 글로벌 배터리 및 자동차 산업 경쟁력 강화 기대

투자 인사이트: 포스코퓨처엠은 2025년 3분기 실적이 컨센서스에 부합할 것으로 예상되며, 북미 시장 대응과 중국 외 핵심 원자재 확보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어요. 특히, 2027년부터 2031년까지 진행될 대규모 이차전지용 천연흑연 공급계약은 향후 수주 확대와 수익성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집니다. 다만, 인조흑연 수율개선 문제와 양극재 가동률 불확실성은 실적 모멘텀에 일부 영향을 줄 수 있어 신중한 관점이 필요합니다. 전반적으로, 북미 시장과 공급망 확보를 통한 장기 성장 기대가 높은 종목입니다.

한라캐스트

투자포인트:

  • 2025년 예상 매출액 166.5십억원, 영업이익 15십억원, EPS 288원으로 성장 기대
  • 신규수주 총액 1,665억 원 예상, 디스플레이용 283억 원, 자율주행용 299억 원 확보
  • 2024년 매출액 1440억 원, 영업이익 120억 원, 순이익 100억 원 기록
  • 글로벌 AI 자동차사의 휴머노이드 로봇 부품 수주 발표(2025-05)로 수주 확대 기대

투자 인사이트: 한라캐스트는 2025년 경량화 소재와 자율주행, 로봇 분야에서의 성장 기대가 높은 기업입니다. 올해는 1440억 원의 매출과 120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고, 내년에는 매출이 166.5억 원으로 늘어날 전망입니다. 특히, 2025년 상반기에는 3,523억 원의 신규수주를 기록하며 수주잔고도 1,128억 원에 달해 실적 안정화와 성장세가 기대됩니다. 글로벌 AI 자동차사와의 휴머노이드 로봇 부품 수주 발표도 긍정적 신호로 작용하고 있어요. 이 기업은 자율주행차와 로봇 시장의 확대와 함께 장기적인 성장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만, 경쟁사 진입이나 기술개발 실패 가능성은 염두에 두어야 하겠네요.

한미약품

투자포인트:

  • 2025년 4분기부터 다수 R&D 모멘텀 기대, 신약 가치 리레이팅 기대감 반영
  • 3분기 연결 매출액 3,735억원, 영업이익 583억원으로 시장 기대치 부합 전망
  • 북경한미는 재고이슈 해소 후 전년 동기 대비 11% 성장, 영업이익 970억원으로 정상 궤도 진입 예상
  • 길리어드향 기술 이전 계약금 유입으로 기술이전 관련 수익 기대와 시장 평가 탄력 기대

투자 인사이트: 한미약품은 2025년 4분기부터 본격적으로 R&D 모멘텀을 기대할 수 있어요. 3분기 실적도 매출과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에 거의 부합했고, 북경한미는 재고이슈를 해결하며 안정적인 성장 궤도에 올라섰어요. 특히 길리어드와의 기술 이전 계약이 기대감을 높이고 있어, 앞으로 신약 개발과 관련된 가치 평가가 더욱 탄력을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성과 미달 시 기대감이 하락할 위험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성장 모멘텀과 재무 안정성을 바탕으로, 앞으로의 실적 가시화가 기대되는 종목입니다.

한전기술

투자포인트:

  • 2025년 하반기 체코 두코바니 원전사업 계약 체결 예정, 사업비 약 26조원
  • 2025년 예상 EPS 3,048원으로 실적 성장 기대와 밸류에이션 리레이팅 가능성
  • 미국·중동 원전시장 확대 기대, 관련 수주 기대감 높음
  • 원전수주 확대와 원자력 정책개선 기대, 글로벌 원전 수출 경쟁력 강화

투자 인사이트: 한전기술은 2025년 하반기에 체코 두코바니 원전사업 계약이 예정되어 있어요. 이 사업은 약 26조원 규모로, 회사의 매출과 수익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2025년 예상 EPS가 3,048원으로 높아지고 있어, 시장에서는 밸류에이션이 재평가될 가능성도 보여주고 있어요. 미국과 중동 지역에서 원전 수주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어, 글로벌 원자력 시장에서의 입지 강화가 기대됩니다. 이와 함께, 원전 정책개선과 수주 확대 기대가 시장에 널리 알려지면서, 회사의 성장 잠재력이 더욱 부각되고 있습니다.

현대건설

투자포인트:

  • 2025년 4분기 Palisades SMR 부지 착공 예정으로, 미국 DOE 원전 착공은 2026년 상반기 예상되어 해외 원전 매출 본격화 기대
  • 2025년 예상 EPS는 2,664원이며, 목표 PER 11.0배를 적용해 저평가 상태로 평가되고 있다
  • 2023년 매출액은 2조 9,651억 원, 영업이익은 785억 원으로, 해외 플랜트 손실 반영으로 실적 부진이 있었음
  • Palisades SMR 프로젝트는 Holtec와 EPC 계약 체결, 피드 계약 추진 중으로, 원전 수주와 매출 증가가 기대됨

투자 인사이트: 현대건설은 미국과 유럽에서 원전 관련 프로젝트를 적극 추진하며 성장 모멘텀을 확보하고 있어요. 2025년 말 착공 예정인 Palisades SMR 부지와 2026년 상반기 착공 예정인 미국 DOE 원전 프로젝트는 회사의 실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비록 2025년 EPS는 하향 조정되었지만, 해외 원전 수주 기대와 함께 글로벌 원전 시장 확대에 힘입어 장기적으로 주가 상승 가능성이 높아 보여요. 현재 저평가 상태를 감안할 때, 원전 관련 수주와 매출이 본격화되면 기업가치 재평가가 기대됩니다. 다만, 사업 지연이나 계약 실패 위험도 함께 고려해야 하겠어요.

현대차

투자포인트:

  • 2025년 3분기 자동차 부문 영업이익률은 4%대 초반 예상
  • 관세율 25%에서 15%로 인하되면 2026년 어닝 회복 기대
  • 인도 푸네 공장 연내 개시로 연간 생산 능력 100만대 이상 확대
  • HEV 신차 사이클 확대와 수출 증가가 중장기 성장 동력

투자 인사이트: 현대차는 2025년 3분기 실적이 4%대 초반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관세 인하로 인해 단기적인 불확실성이 해소되면서, 2026년에는 어닝이 회복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어요. 인도 푸네 공장 개시와 함께 연간 생산 능력이 100만대 이상으로 확대되면서 수출과 글로벌 시장 점유율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HEV 신차 사이클의 확대와 수출 증가는 중장기 성장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이러한 변화들은 현대차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시장 내 위치를 더욱 공고히 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휴비츠

투자포인트:

  • 2024년 예상 매출액 1,179억원, 전년 대비 안정적 성장 유지
  • 2023년과 2024년 각각 18.5%와 18.6% 매출 증가 기록
  • 2025년 4분기 구강스캐너 LS-100 판매 본격화 기대
  • 2026년 OCT 구강스캐너 상용화 목표로 개발 진행 중

투자 인사이트: 휴비츠는 2024년에도 매출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특히 2025년 4분기부터 신제품인 LS-100의 판매가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2026년에는 OCT와 구강스캐너 기술을 결합한 신제품이 시장에 출시될 예정으로, 이는 디지털 덴티스트리 시장에서 중요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어요. 글로벌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이 10% 이상인 가운데, 국내 시장도 활발히 확대되고 있어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경쟁사보다 낮은 가격 전략으로 시장 진입이 용이하며, 기술 개발이 차질 없이 진행된다면 시장 내 입지 강화가 기대됩니다. 다만, 기술개발 지연이나 경쟁사의 기술 확보와 같은 위험 요소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오늘의 시장 분석 및 주요 종목 업데이트, 잘 살펴보셨나요?

여러분의 성공적인 투자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다음에도 유익한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Compliance Note]

  • 셀스마트의 모든 게시글은 참고자료입니다. 최종 투자 결정은 신중한 판단과 개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함을 알려드립니다.

  • 게시글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수익과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 코어16은 본 글에서 소개하는 종목들에 대해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 매수 또는 매도할 수 있습니다.

0
0
0
댓글
0
가장 먼저 댓글을 달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