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7.32억 달러, 예상치 7.5억 달러 하회
조정 EPS: 17센트, 예상치 8센트 상회
전년 동기 대비 매출 17% 감소, 순이익 흑자 전환
실적 상회(20% 이상) 이벤트 2002년 이후 총 24건
-2주 후 평균 수익률: -0.06%
한 달 후 평균 수익률: -0.18%
Opinion
실적이 예상치를 크게 웃돌았음에도 주가는 하락했다. 이는 게임스탑이 실적보다는 비트코인 같은 외부 변수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어닝 서프라이즈 효과가 제한되는 구조로 볼 수 있다.
Core Sell Point
실적보다 비트코인 연동성이 더 강한 종목은, 서프라이즈에도 주가 반응이 제한적일 수 있다.
게임스탑(GameStop, GME)은 6월 10일(현지시간) 1분기 실적을 발표했으며, 조정 EPS 기준으로는 시장 기대치를 크게 상회했지만, 주가는 시간외 거래에서 4% 이상 하락했다. 매출은 7억3,24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7% 감소했으며, FactSet이 집계한 애널리스트 예상치(7억5,000만 달러)를 하회했다. 반면, 순이익은 흑자 전환에 성공하며 주당 9센트를 기록했고, 조정 EPS는 17센트로 시장 기대치(8센트)를 크게 웃돌았다.
히스토그램은 어떤 이벤트가 발생한 뒤, 과거에 그 종목의 수익률이 얼마나 오르거나 내렸는지를 한눈에 보여주는 그래프입니다.
빨간 점선(MEAN)은 평균 수익률을 나타내며, 과거에 이 이벤트 이후 보통 어느 정도 수익이 났는지를 보여줍니다.
파란 점선(Q1)과 초록 점선(Q3)은 수익률의 하위 25%와 상위 25% 지점을 표시합니다. → 즉, Q1은 손실이 컸던 하위 그룹, Q3는 수익이 컸던 상위 그룹을나타냅니다.
그러나 과거 데이터를 보면, 게임스탑이 실적을 시장 예상보다 20% 이상 상회한 이벤트 이후 주가 흐름은 제한적이었다. 2002년 이후 총 24번의 실적 상회 이벤트에서, 2주 후 평균 수익률은 -0.06%, 한 달 후 평균 수익률은 -0.18%로 오히려 부진했다. 이는 일반적인 어닝 서프라이즈의 기대와는 다르게, 게임스탑의 주가가 실적보다는 다른 요인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게임스탑 실적발표 이벤트 : 2002년 이후 이벤트 24번 발생
<게임스탑 실적 상회(20%이상 서프라이즈), 2주 뒤 수익률 분포>
<게임스탑 실적 상회(20%이상 서프라이즈), 1개월 뒤 수익률 분포>
특히 게임스탑은 비트코인 투자 노출이 알려져 있으며, 마이크로스트래티지와 유사하게 디지털 자산 가격과의 상관성이 높다는 점이 주가 흐름의 왜곡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실적이 호조를 보여도, 시장이 주목하는 변수는 다른 곳에 있을 가능성이 높다.
[Compliance Note]
셀스마트의 모든 게시글은 참고자료입니다. 최종 투자 결정은 신중한 판단과 개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함을 알려드립니다.
게시글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수익과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코어16은 본 글에서 소개하는 종목들에 대해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 매수 또는 매도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