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셀스마트 인디입니다. 오늘의 종목 분석입니다.
시장 개요
2025년 시장은 글로벌 경기 둔화와 무역 정책 변화 속에서도 일부 산업의 실적 호조와 신사업 추진으로 긍정적인 흐름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특히, 에너지, 방산, 바이오, 게임 등 성장 잠재력을 갖춘 섹터들이 주목받고 있으며, 저평가된 종목들도 존재합니다.
섹터별 하이라이트
조선/중공업: HD현대미포와 HD현대중공업이 실적 기대치를 상회하며 수주잔고와 글로벌 경쟁력 강화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철강: 포스코홀딩스와 현대제철이 중국과 일본산 수입 감소, 관세 인하 기대 등으로 수익성 개선과 시장 회복 기대를 받고 있습니다.
에너지: 한국전력이 유가 하락과 재생에너지 비중 확대에 힘입어 실적 개선과 저평가 구간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바이오: SK바이오팜이 미국 시장에서의 처방량 증가와 신제품 출시 기대를 바탕으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기타: 이수페타시스와 크래프톤은 각각 공급 부족과 신작 기대를 통해 성장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으며, 오리온은 내수와 중국 시장의 회복으로 안정적 성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핵심 포인트
- 글로벌 경기 둔화와 무역 정책 변화 속에서도 일부 산업은 실적 호조와 신사업 확장으로 성장 모멘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에너지, 조선, 철강, 바이오 등 핵심 섹터에서 실적 기대와 함께 저평가 구간이 형성되어 있어 투자 기회가 존재합니다.
- 환율 변동성과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 무역 정책 변화 등 리스크 요인도 함께 고려해야 하며, 장기적 성장 전략이 중요합니다.
HD현대미포
투자포인트:
- 2025년 예상 영업이익, 405억 원으로 컨센서스 376억 원보다 27.6% 높아
- 3Q25 영업이익, 1,218억 원으로 예상되며, 컨센서스보다 27.6% 상회
- 수주잔고는 13,601백만 달러로 목표의 53.9% 달성, LNG BV 매출 기대감도 높아
- 2025년 3분기 매출액은 11,693억 원, 순이익은 244억 원, EPS는 6,120원으로 예상
투자 인사이트: HD현대미포는 2025년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를 크게 뛰어넘으며 실적 호조가 기대되고 있어요. 특히, 방산사업 확장과 합병 추진으로 수주와 수익성 개선이 예상됩니다. 3분기 실적도 강하게 나오면서 시장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죠. 앞으로 수주잔고와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통해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도 기대할 수 있겠어요. 다만, 환율 변동성과 글로벌 경기 둔화는 리스크로 남아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HD현대중공업
투자포인트:
- 2025년 3분기 매출액, 전년 동기 대비 11.9% 증가한 4조 원 예상
- 2025년 영업이익, 2,065억 원으로 시장 기대치 부합 또는 상회
- 3Q25 영업이익, 컨센서스보다 2.8% 높은 4,960억 원 기록 전망
- 2025년 EPS는 15,836원으로 안정적 성장 기대
투자 인사이트: HD현대중공업은 생산성 향상과 선종 믹스 개선으로 지속적인 실적 호조가 예상됩니다. 2025년에는 수주잔고가 52조 원 이상으로 높게 유지되면서, 실적 안정성을 보여주고 있어요. 특히 LNG와 가스선 프로젝트 전환이 실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시장 기대치에 부합하는 실적 발표가 예상됩니다. 이러한 강점들이 장기적으로 회사의 경쟁력을 높이고, 시장 내 위치를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다만, 수주 목표 미달성이나 환율 변동성 등 일부 위험 요소도 고려해야 합니다.
POSCO홀딩스
투자포인트:
- 2025년 3분기 연결영업이익, 5,516억 원으로 전년 대비 25.8% 감소 전망
- 2025년 3분기 매출액, 17조 6940억 원으로 전년 대비 3.4% 감소 예상
- 철강 부문 EBITDA, 5,081십억 원, 친환경인프라 5,610십억 원, 친환경소재 7,402십억 원으로 평가
- 중국 철강 감산 기대와 AD 관세 효과로 국내 판매량과 마진 회복 기대
투자 인사이트: 포스코홀딩스는 철강 업황이 회복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어요. 특히, 중국의 철강 감산 기대와 국내 시장의 수요 증가로 인해 철강 부문의 수익성이 좋아질 전망입니다. 그러나 건설과 리튬 등 신사업 비용이 늘어나면서 단기적으로는 비용 불확실성이 존재해요. 2025년에는 영업이익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되지만, 원가 변동성과 글로벌 시장의 변수도 고려해야 합니다. 전반적으로 철강을 기반으로 한 턴어라운드가 기대되지만, 비용과 시장 변동성에 따른 리스크도 함께 내포되어 있답니다.
SK바이오팜
투자포인트:
- 2025년 3분기 매출, 전년 동기 대비 28.3% 성장한 1,752억 원 기록
- 2025년 3분기 영업이익, 전년 대비 149.4% 증가하여 482억 원 달성
- 미국 시장 엑스코프리 처방량, 연간 목표치인 약 4억~4억5천만 달러 달성 기대
- 내년도 신제품 출시와 글로벌 판매 확대가 기업가치 상승을 견인할 전망
투자 인사이트: SK바이오팜은 엑스코프리와 Briviact의 우수한 효능 덕분에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어요. 2025년 3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큰 폭으로 증가했고, 미국 시장에서도 처방량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습니다. 특히, 내년에 예정된 신제품 출시와 글로벌 시장 확대는 회사의 성장 잠재력을 높이고 있어요. 글로벌 뇌전증 치료제 시장이 연평균 약 4.9%의 성장률을 기록하는 가운데, SK바이오팜은 미국 시장 점유율이 약 72.9%로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단기 실적 기대뿐만 아니라, 중장기적으로도 기업가치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집니다.
넥센타이어
투자포인트:
- 2025년 관세율 15%로 하락, 연간 관세 비용 약 600억 원으로 감소 예상
- 관세율 인하로 영업이익이 기존 추정치 대비 20% 상승 가능
- 2025년 예상 매출액은 3,132.9십억원으로, 실적 개선 기대
- 2026년 영업이익률, 현재보다 약 1.2%포인트 개선 전망
투자 인사이트: 넥센타이어는 미국 관세 정책 변화의 영향을 크게 받는 업체입니다. 2025년 관세율이 25%에서 15%로 낮아지면, 연간 관세 비용이 약 400억 원 정도 줄어들어 영업이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요. 특히, 관세 인하로 인해 영업이익이 기존 예상보다 20% 정도 높아질 가능성도 기대됩니다. 미국 내 재고 확충과 판가 인상 전략이 더해지면서 실적이 시장 기대를 뛰어넘을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2026년에는 영업이익률이 약 1.2%포인트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어, 경쟁력 강화도 기대할 수 있겠네요. 다만, 무역 정책 변화나 판가 인상 실패와 같은 위험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대한항공
투자포인트:
- 2025년 3분기 별도 영업이익 3,763억 원, 전년 대비 39.2% 감소
- 2025년 예상 매출액은 24조 9,260억 원으로 전망됨
- 2025년 예상 EPS는 2,982원으로, 2024년 EPS 2,873원 대비 3.9% 증가
- 방산사업 수주 성공과 무인기 개발, 내년 상반기 KF-21 윙맨 시범비행 예정
투자 인사이트: 대한항공은 3분기 실적 부진에도 불구하고, 방산사업과 신사업 추진으로 미래 성장 기대를 받고 있어요. 2025년에는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증가할 전망이며, 환율과 노선 수요 회복 기대도 긍정적입니다. 다만, 단기적으로는 실적 부진이 지속될 가능성도 있어 시장의 눈높이를 낮추는 것이 필요하겠네요. 경쟁 심화와 수요 둔화 우려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전체적으로 보면, 장기 성장 가능성은 높지만 단기 변동성에 유의해야 하는 종목입니다.
세아제강
투자포인트:
- 2025년 3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3,273억 원으로 YoY -11.0%, QoQ -14.7% 기록
- 3분기 영업적자 예상, 2억 원으로 전년과 전분기 대비 적전 상태 유지
- 중국과 일본산 열연에 대한 반덤핑 잠정관세 부과로 열연 수입이 크게 감소
- 열연 수입 감소로 국내 가격 상승 기대와 원/달러 환율 하락이 ASP 상승을 유도
투자 인사이트: 세아제강은 2025년 3분기에 수익성 악화로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중국과 일본산 열연에 대한 반덤핑 잠정관세 부과로 수입이 줄면서 국내 가격 상승 기대가 높아지고 있어요. 그러나 강관 판매량은 전년과 전분기 대비 감소하는 등 수요 부진이 지속되고 있어, 실적 회복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글로벌 철강 시장의 경쟁력 저하와 무역 긴장 상황이 계속되면서, 단기적으로는 어려움이 예상됩니다. 하지만, 수출 환경 개선이나 원자재 가격 안정이 이루어진다면 일부 긍정적 영향을 기대할 수 있겠어요. 전반적으로는 수익성 악화와 시장 불확실성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 보여요.
에스티팜
투자포인트:
- 2025년 3분기 실적, 매출액 324.5십억원(3조 245억원), 영업이익 47.7십억원(477억원) 전망
- IDWeek2025에서 Pirmitegravir 2a상 중간 분석 구두 발표, 혈장 HIV-1 RNA 유의미하게 감소(p<0.0001)
- 2026년 고용량(600mg) 데이터 기대, 신약가치 재평가와 기술 이전 기대감 형성
- 2025년 예상 EPS 1,524원으로, 전년 대비 14.4% 감소하나 매출액은 증가세 유지
투자 인사이트: 에스티팜은 2025년 실적 전망이 양호한 가운데, IDWeek2025에서 진행된 HIV 치료제 임상 결과가 발표되어 관심이 집중되고 있어요. 혈장 HIV-1 RNA 수준이 유의미하게 감소한 점은 신약의 잠재력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또한, 2026년 고용량 데이터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기술 이전과 시장 점유율 확대 가능성도 기대되고 있죠. 비록 EPS는 전년 대비 감소했지만, 매출액은 꾸준히 늘어나고 있어 회사의 성장 잠재력은 여전하다고 볼 수 있어요. 시장에서는 발표 후 차익 실현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신약가치 재평가와 글로벌 경쟁력 강화가 기대됩니다.
오리온
투자포인트:
- 2025년 9월 법인별 매출액 2,940억 원, 전년 대비 12% 증가
- 2025년 영업이익 529억 원, 전년 대비 6% 성장 기대
- 한국·중국 법인 실적 회복이 지속되며 경쟁력 유지
- 12MF PER 8.8배로, 시장 평균 PER(7.7~10.1배) 내에 위치
투자 인사이트: 오리온은 2025년 법인별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전년 대비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어요. 특히 한국과 중국 법인의 실적 회복이 뚜렷하게 나타나면서, 시장 점유율과 경쟁력도 유지될 전망입니다. PER도 8.8배로, 시장 평균 범위 내에 있어 밸류에이션 매력도 존재하죠. 다만 비용 압박과 지정학적 이슈는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으니,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는 것이 좋겠어요. 앞으로도 내수와 온라인 채널의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여, 안정적인 성장 흐름이 기대됩니다.
이수페타시스
투자포인트:
- 2025년 3분기 영업이익, 525억 원으로 시장 기대치 상회 예상
- 2025년 연결 매출액, 1조 66억 6천만원(1,066.6십억원) 기록 전망
- MLB 공급부족으로 과점 체제 유지, 2026년 가격 2~3배 상승 기대
- 페타시스의 생산 설비 증설 효과로 4분기 최대 실적 기대
투자 인사이트: 이수페타시스는 MLB 공급 부족 현상이 지속되면서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어요. 2025년에는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기대치를 넘어설 것으로 보여서, 앞으로의 성장 가능성이 높게 평가되고 있습니다. 특히, MLB의 고사양화와 ASP 상승이 수익성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돼요. 시장에서는 이 회사의 기술력과 공급망 강화를 바탕으로 장기적인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따라서, MLB 시장의 구조적 변화와 회사의 생산 확대 전략이 앞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크래프톤
투자포인트:
- 2025년 3분기 매출액 8,824억 원, YoY 23% 성장 기대
- 영업이익 3,714억 원, QoQ 51% 증가로 실적 호조 예상
- 2026년 차기 신작 '펍지블라인드스팟' 출시 예정으로 기대감 형성
- 2026년 하반기 '서브노티카2' 출시 기대, 신작 기대감이 주가 반영될 가능성
투자 인사이트: 크래프톤은 글로벌 게임사로서 배틀그라운드 등 인기 게임을 개발하며 성장하고 있어요. 2025년 3분기 실적이 기대 이상으로 나오면서 실적 호조가 예상되고 있죠. 특히, 2026년 차기 신작 '펍지블라인드스팟'의 출시와 '서브노티카2' 기대감이 시장의 관심을 받고 있어요. 앞으로 신작과 콘텐츠 업데이트가 지속되면서 중장기 성장 가능성도 높아 보여요. 다만, 경쟁 심화와 글로벌 경기변동은 주의해야 할 리스크로 남아 있습니다.
한국전력
투자포인트:
- 2025년 3분기 영업이익, 5조 8천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0.7% 증가 전망
- 2025년 예상 영업이익, 16조 3300억 원으로 분기 최대 실적 달성 가능성 높음
- 2024년 매출액 97,295.3억 원, 영업이익 15,191.7억 원, ROE 21.09% 기록
- 2025년 예상 EPS 14,934원, PER 2.3배, PBR 0.5배로 저평가 구간 유지
투자 인사이트: 한국전력은 2025년 실적 개선 기대가 높은 종목입니다. 3분기 영업이익이 5조 8천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어, 전년 대비 큰 폭으로 성장할 전망이에요. 유가 하락과 SMP 약세, 재생에너지 비중 증가 등 에너지 가격 하락 요인들이 실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요. 또한, 재무구조가 개선되고 배당 정책 변화 가능성도 기대되고 있어, 장기적인 성장 모멘텀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시장에서는 저평가 구간에 머무르고 있어, 실적 호조와 함께 투자 매력도가 높다고 평가되고 있어요.
현대제철
투자포인트:
- 2025년 3분기 연결영업이익, 전년 동기 대비 106.9% 증가 전망
- 판가 인상 약 1.5만원/톤, 비용 절감 효과 200억 원 반영
- 중국산 후판·열연 관세 부과로 판매량 증가 기대, 4분기 재고 소진 후 시장 경쟁력 강화 예상
- 별도 영업이익 626억 원, 전년 대비 95.3% 상승, 영업이익률 1.4% 기록
투자 인사이트: 현대제철은 2025년 3분기에 강한 실적 개선이 기대되고 있어요. 특히 판가 인상과 비용 절감 효과가 실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죠. 중국산 재고 소진과 관세 부과로 인해 판매량이 늘어날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어요. 다만, 봉형강 공급 과잉과 수요 부진은 여전히 부담으로 남아 있어, 단기 호재와 중장기 불확실성이 공존하는 상황입니다. 전체적으로 실적 개선 기대감이 크지만, 시장의 변동성도 고려해야 할 것 같네요.
오늘의 시장 분석 및 주요 종목 업데이트, 잘 살펴보셨나요?
여러분의 성공적인 투자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다음에도 유익한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Compliance Note]
셀스마트의 모든 게시글은 참고자료입니다. 최종 투자 결정은 신중한 판단과 개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함을 알려드립니다.
게시글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수익과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코어16은 본 글에서 소개하는 종목들에 대해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 매수 또는 매도할 수 있습니다.